• Title/Summary/Keyword: 진동 촉각

Search Result 65,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 Cane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케인 설계)

  • Ahn, Jeonghwan;Lee, Young-Doo;Koo, Insoo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8 no.3
    • /
    • pp.167-175
    • /
    • 2018
  • Despite the rapid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still use simple forms of walking sticks and need more advanced walking aids. Smart Cane, which is developed based on Internet service and sensor, can provide high safety and convenience compared to existing sticks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by conveying peripheral information and walking situation to these visually impaired people through voice and vibr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nd implement SmartKane to overcome lack of miniaturization, user friendly form, and sensing sensitivity, which have been pointed out as a problem of existing SmartKane.

Implementation of a Bubble Popping System for Educational Augmented Reality (교육용 증강 현실을 위한 버블 포핑 시스템 구현)

  • Lee, Woo-Keun;Jung, Da-Un;Choi, Chang-Yeol;Kim, Man-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371-374
    • /
    • 2009
  • 가상 현실과 현실 세계가 공존하는 증강 현실은 현재 및 향후 실감미디어 콘텐츠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증강 현실은 게임, 엔터테인먼트, 교육 분야 등에서 응용에 따라 다양한 기술들의 결합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교육적 효과를 주는 버블 포핑 증강 현실 기법을 제안한다. 버블 포핑 시스템은 비디오 입력용 웹캠, 마커 패턴 영상, 그래픽 구 버블 객체, 그래픽 마우스 등으로 구성된다. 일반 마우스의 이동에 따라 그래픽 마우스가 3차원 공간상에서 이동하면서 버블과의 충돌이 발생하게 되면, 충돌시 발생하는 버블의 이벤트로 동적 움직임, 터짐 등의 버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충돌 검출은 카메라와 마커 패턴의 좌표계 및 버블의 3차원 공간위치, 그리고 3차원 모델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현한다. 제안 시스템은 ARToolkit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시각적인 마커 기반 시스템으로 버블의 움직임과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통해, 버블 포핑의 증강현실을 전달한다. 향후, 현재 개발 중인 포스 피드백 기능이 있는 진동촉각공간 햅틱 마우스와 접목하여 보다 실감적인 증강현실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 PDF

A Vibrotactile Display for Hand-held Devices and Its Preferable Pattern Generation Method (모바일 기기를 위한 진동촉각 디스플레이와 선호하는 패턴 생성방법)

  • Yang, Gi-Hun;Jin, Yeonsub;Kang, Sungchul
    •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 /
    • v.20 no.8
    • /
    • pp.795-800
    • /
    • 2014
  • In this paper, a vibrotactile pad system, T-mobile, is developed to provide vibrotactile cues for hand-held devices. A grooved and slim design is adapted to the back-side plane of the T-mobile, and the contact part consists of 12 vibrotactile panels which can operate independently and separately. To be isolated among vibrotactile actuators, the surface of the cover is divided into several pieces. Each vibrating module consists of a linear resonant actuator, a section of covering surface, and a vibration isolator. In order to provide spatial and directional information, sensory saltation and phantom sensation are applied to the T-mobile. To evaluate the developed device,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test whether directional information and spatial information can be successfully displayed by the device. Additionally, in order to find optimal stimulation by sensory saltation, an empirical test was conducted. As a result, spatial and directional information would be useful for displaying intuitive information for hand-held devices with vibrotactile feedback and reasonable near-optimal value for sensory saltation was obtained.

Wearable devices for the visually and aurally handicapped (시각 및 청각 장애인의 생활 보조를 위한 착용형 단말기 개발)

  • Kim, Rae-Hyeon;Ha, Seong-Do;Park, Jin-Yeong;Jo, Hyeon-Cheol;Park, Se-Hyeo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585-590
    • /
    • 2007
  • 최근 IT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더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 시키는 웨어러블 컴퓨팅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일반인뿐만 아니라 장애인들의 일상생활의 보조 도구에 활용되어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시각 및 청각장애인을 위해 개발된 착용형 단말기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시각 장애인용 단말기인 SmartWand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에 부착하거나 손에 휴대할 수 있는 장치로, 시작장애인을 위한 보행 보조 및 색상과 명암 정보 인식 보조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SmarWand는 시각장애인이 보행 시 이용하는 기존의 지팡이로는 감지할 수 없는 전방의 장애물을 초음파 센서를 통해 탐지하여 촉각이나 음성으로 경고해주고, 물체의 색깔이나 주변의 밝기 정도를 측정하여 시각장애인에게 알려준다. 청각 장애인용 단말기인 SmarWatch는 손목에 착용하는 장치로서 아기 울음소리, 노크나 초인종 소리, 물 끓는 소리, 화재 경보 등 가정에서 발생하는 일상적인 소리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해준다. SmartWatch는 입력 모듈의 마이크로 입력된 소리를 문선통신을 통해 컴퓨터로 전송한 후에 소리의 종류를 인식하고 적절한 제어신호를 다시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받아 감지된 소리의 종류를 해당하는 진동과 시각정보로 표시해준다. 이런 착용형 단말기들을 통해 시각 및 청각 장애인의 일상 생활의 안정성과 편의성이 증대 되기를 기대한다.

  • PDF

Tilt-based Photo Browsing UI on Mobile Devices (휴대기기에서의 기울임 기반 사진 감상 UI)

  • Jo, Seong-Jeong;Murray-Smith, Roderick;Choe, Chang-Gyu;Seong, Yeong-Hun;Lee, Gwang-Hyeon;Kim, Yeon-Ba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429-434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기울임 동작에 기반한 휴대기기 상의 사진 감상 UI를 제시하고 사용성을 평가한다. 기존의 기울임 입력 방식의 세가지 조작성 문제(overshooting, fluctuation, 부분 이미지 제시)를 개선하기 위하여, 사진 위치 및 기울임에 의존하는 사진 이동 제어 dynamics 모델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은 기울임 감지용 가속도 센서, 기울임에 의한 사진 이동 제어 dynamics 모델, 다중모달(시각, 청각, 촉각)을 통한 모델 상태 출력부로 구성된다. 센서 입력과 다중 모달 출력을 위하여, 삼성 MITs 4300 PDA의 배터리 팩을 개조하여 3축 가속도 센서와 진동 출력장치 (VBW32)를 장착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기존의 대표적인 사진 감상 입력 방법인 버튼과 iPod wheel과 비교하였다. 정량적 비교를 위하여 7명의 사용자에게 100장의 사진 중 20장을 차례로 검색하는 과제를 부여하면서 수집한 로그를 분석하였으며, 정성적인 비교를 위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이 기존 기울임 기반 dynamics에 비하여 overshooting 횟수를 30%, 사진간 이동 거리를 25%, 이동 시간을 17% 감소하였다. 또한 제안한 방법이 버튼과 유사한 조작성을 갖고 있으며, 버튼과 iPod보다 더욱 흥미성이 뛰어났다. 상업적으로 뛰어난 성공을 거둔 iPod이 다수의 overshooting 발생으로 실제로는 사용성이 떨어진다는 점이 예상치 못한 흥미로운 발견이었다.

  • PDF

Distribution of ion channels in trigeminal ganglion neuron of rat (흰쥐 삼차신경절 뉴론의 이온통로의 분포에 관한 연구)

  • Kim, Ae-Kyung;Choi, Kyoung-Kyu;Choi, Ho-Young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7 no.5
    • /
    • pp.451-462
    • /
    • 2002
  • 삼차신경은 구강악안면영역의 운동 및 감각을 담당하고 있으므로 치과임상에서 매우 중요하다. 삼차신경근 중 삼차신경절에 세포체를 갖는 뉴론은 주로 체성 감각을 전달하는 1차 구심신경으로 악안면영역의 촉각, 압각, 진동감각 온도각 및 통각을 담당한다. 이러한 감각의 전달은 기본적으로 신경세포의 이온통로의 활동에 의존하는데 삼차신경절 세포에 여러 종류의 이온통로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체 염색법을 이용하여 이온통로가 존재를 확인 하고자 한다. 횐쥐의 삼차신경절로부터 통법에 따라 뉴론을 단일 세포로 분리하고 immunocytochemistry 방법으로 세포를 염색하여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 실험에서 이온전류의 측정 등으로 관찰된 여러 종류의 이온통로들을 면역 염색법으로 확인하였다. 횐쥐의 삼차신경절 뉴론에서 확인된 이온통로는 소디움통로와 N, P 및 Q-type의 칼슘통로 그리고 BK$_{Ca}$, Kv 4.2 및 Kir 2.1 등의 포타슘통로이었으며 이온통로의 종류에 따라 분포에 차이를 나타내었다.

A Multi Modal Interface for Mobile Environment (모바일 환경에서의 Multi Modal 인터페이스)

  • Seo, Yong-Won;Lee, Beom-Chan;Lee, Jun-Hun;Kim, Jong-Phil;Ryu, Je-Ha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666-671
    • /
    • 2006
  • 'Multi modal 인터페이스'란 인간과 기계의 통신을 위해 음성, 키보드, 펜을 이용, 인터페이스를 하는 방법을 말한다. 최근 들어 많은 휴대용 단말기가 보급 되고, 단말기가 소형화, 지능화 되어가고,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도 다양해짐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입력 방법에 기대치가 높아가고 있다. 현재 휴대용 단말기에 가능한 입력장치는 단지 단말기의 버튼이나 터치 패드(PDA 경우)이다. 하지만 장애인의 경우 버튼이나 터치 패드를 사용하기 어렵고, 휴대용 단말기로 게임을 하는데 있어서도, 어려움이 많으며 새로운 게임이나 어플리케이션 개발에도 많은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이런 문제점들은 극복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의 새로운 Multi Modal 인터페이스를 제시 하였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를 이용하여 더 낳은 재미와 실감을 줄 수 있는 Multi Modal 인터페이스를 개발하였다.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손목으로 제어를 가능하게 함으로서,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색다른 입력 장치를 제공 하였다. 향후 음성 인식 기능이 추가 된다면, 인간과 인간 사이의 통신은 음성과 제스처를 이용하듯이 기계에서는 전통적으로 키보드 나 버튼을 사용하지 않고 인간처럼 음성과 제스처를 통해 통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여기에 진동자를 이용하여 촉감을 부여함으로써, 그 동안 멀티 모달 인터페이스에 소외된 시각 장애인, 노약자들에게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실제로 사람은 시각이나 청각보다 촉각에 훨씬 빠르게 반응한다. 이 시스템을 게임을 하는 사용자한테 적용한다면, 능동적으로 게임참여 함으로서 좀더 실감나는 재미를 제공할 수 있다. 특수한 상황에서는 은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앞으로 개발될 모바일 응용 서비스에 사용될 수 있다.

  • PDF

Effects of Vibrotactile Bio-Feedback Providing Pressure Information in Real Time on Static Balance and Weight Bearing Rate in Chronic Stroke Patients - Pilot Study (실시간 압력정보 제공 진동 촉각 피드백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정적균형능력과 체중 지지율에 미치는 영향 - 예비실험연구)

  • Kil, Ki-Su;Kim, Ho;Shin, Won-Seob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
    • v.9 no.1
    • /
    • pp.41-48
    • /
    • 2021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if it helps to improve static balance ability and weight bearing rate for chronic stroke patients with poor balance in clinical intervention through a method of correcting movement errors while performing a task by vibrotactile bio-feedback providing pressure information. Methods : Fifteen chronic stroke patients (12 male and 3 female)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effects of vibrotactile bio-feedback and general standing without bio-feedback on static balance ability and weight distribution symmetric index in all subjects randomized with R Studio. The static balance ability and weight distribution symmetric index of the participants was evaluated using a force plate. A paired t-test was used for comparison of each condition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α=0.05. Results : The comparisons of static balance ability and weight distribution symmetric index in chronic stroke patients after two different condition are as follows. In the static balance ability and weight distribution symmetric index, the vibrotactile feedback providing pressure inform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none feedback (p<.001). Conclusion : The vibrotactile bio-feedback providing pressure information in real time can support an improve in static balance ability, uniform weight bearing rehabilita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a follow-up study that provides a better direction of intervention compared to various feedback interventions commonly used in clinical practice.

Effect of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on Proprioception and Tactile in Spastic Cerebral Palsy (전신진동 자극 훈련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고유수용감각 및 촉각에 미치는 영향)

  • Yun, Hye-Lyeong;Lee, Eun-Ju
    • PNF and Movement
    • /
    • v.20 no.1
    • /
    • pp.103-113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hole-body vibration stimulation on proprioception and tactile in patients with spastic cerebral palsy.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9 children diagnosed with spastic cerebral palsy. Of the single case study methods, the ABAB design was employed in this study. Out of a 12-week study period, three weeks were allocated to each of two baseline periods and two intervention periods. The exercise was performed twice a week for 30 minutes. A general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was performed during the baseline period and a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accompanied with whole-body vibration was performed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Evaluation was performed five times in total: before the experiment, after baseline 1, after intervention 1, after baseline 2, and after intervention 2.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exercise method, a skin sensory evaluation tool (monofilament kit) and a trunk proprioception sensor (digital dual inclinometer) were used.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exercises at baseline and after intervention, an analysis of variance on repeated measures (repeated ANOVA)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from baseline in the means of proprioception and tactile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with whole-body vibration (p <.05). Conclusion: Whole-body vibration can be proposed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for improving the proprioception and tactile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and this exercise method is expected to be actively used in clinical practice.

Virtual Object Weight Information with Multi-modal Sensory Feedback during Remote Manipulation (다중 감각 피드백을 통한 원격 가상객체 조작 시 무게 정보 전달)

  • Changhyeon Park;Jaeyoung Park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25 no.1
    • /
    • pp.9-15
    • /
    • 2024
  • As virtual reality technology became popular, a high demand emerged for natural and efficient interaction with the virtual environment. Mid-air manipulation is one of the solutions to such needs, letting a user manipulate a virtual object in a 3D virtual space. In this paper, we focus on manipulating a remote virtual object while visually displaying the object and providing tactile information on the object's weight. We developed two types of wearable interfaces that can provide cutaneous or vibrotactile feedback on the virtual object weight to the user's fingertips. Human perception of the remote virtual object weight during manipulation was evaluated by conducting a psychophysics experiment. The results indicate a significant effect of haptic feedback on the perceived weight of the virtual object during manip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