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진동 모델링

Search Result 76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nalysis of Natural Frequency Change of Pier According to Bridge Superstructure Modeling Methods (교량 상부구조물의 모델링 방법에 따른 교각 고유진동수 변화분석)

  • Park, Byung-Cheol;Chang, Sung-Hee;Kim, Young-Hoon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187-190
    • /
    • 2010
  • 기초세굴에 따른 교각에서의 1차 모드 고유진동수 변화를 이용하여 교량 세굴 건전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공용중인 광탄1교의 T형 교각 1기에 대하여 충격진동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교축직각방향의 1차 모드 고유진동수를 수치해석결과와 비교하였다. 교량 상부구조물의 모델링 방법에 따라 상부구조물을 전체 모델링한 방법과 교각만을 모델링하고 상부구조물의 영향범위를 가정하여 교량받침 위치에 질점질량으로 변환하여 적용한 방법으로 구분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상부구조물을 전체 모델링한 경우와 집중하중 형태로 상부구조물을 모델링한 경우 모두 고유진동수는 충격진동실험결과와 큰 차이를 보였다. 충격진동실험을 통해 얻은 고유진동수는 교각의 국부적인 진동수로 사료되는 반면, 수치해석을 통해 구한 결과는 교량 상부와 하부의 Coupling 효과가 반영된 시스템 전체의 고유진동수이기 때문에 결과의 큰 편차가 생기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충격진동실험에서 구한 고유치 양상을 올바로 구현하기 위한 모델링을 찾기 위해서는 새로운 접근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Bend Modelling Technique in the Vibration Analysis of the Exhaust System (배기계 진동해석에서의 굴곡부 모델링 기법)

  • 김윤영;이장명;김영호;김진홍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4.04a
    • /
    • pp.88-93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배기계의 진동해석과 관련하여, 배기계 파이프에 대한 보 모델링기법을 제안하였다. 굴곡부가 통상의 직석보로 모델링될 때는 실제보다 고유진동수가 상당히 높게 평가되므로, 이 굴곡부의 강성을 적절히 수정해 주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적 변형에너지개념을 이용하여 실제 엔지니어들이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간단하면서도, 합리적인 기법을 제시하였다. 실제 배기계의 중앙파이프의 진동해석에 적용해 본 결과 이 기법의 타당성과 효율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 PDF

A Modeling of Cylindrical Vibration Gyroscope using Electromagnetic Force (전자기력을 이용한 실린더형 진동 자이로스코프의 모델링)

  • 권혁성;이학성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3.07c
    • /
    • pp.2597-2600
    • /
    • 2003
  • 본 논문은 소형화, 저가, 저 소비 전력의 특성을 가지는 전자기력을 이용한 실린더형 진동 자이로의 기존의 기계적 모델링이 실제 자이로스코프의 특성과 부합하지 않음을 개선하기 위해 전자기적 해석을 포함하여 기존의 기계적 모델링보다 성능을 향상시켰다. 전자기적 해석은 실린더의 진동 운동에 인해 실린더 내부에 발생된 기전력 성분 측정과 자이로스코프의 전기적 해석이다. 기전력 성분은 자이로 센싱 저항이 실린더 유무에 따른 전압 값 변화로 확인하였다. 전자기적 해석을 포함한 제안된 모델링을 통해 이론적인 자이로스코프의 특성이 실제 자이로스코프 특성에 부합되고 기존 모델링 특성보다 우수함을 비교를 통해 입증하였다.

  • PDF

Finite Element Modeling of Ship Structure using Isoparametric Mapping Method (Isoparametric Mapping 방법을 사용한 선체 유한요소 모델링)

  • 송의준;이재환;김병현;김용대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2 no.1
    • /
    • pp.67-74
    • /
    • 1999
  • 본 문에서는 선체 중앙부의 유한요소 모델링과 진동해석이 수행되었다. 횡부재와 종통부재가 만나 3차원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선체구조는 복잡한 구조적 특성 때문에 모델링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선수, 선미부에 비해 비교적 부재간의 접속이 간단한 중앙평행부의 진동해석과 같은 경우에는 모델링 기법을 개발해 사용할 수도 있다. 중앙부 횡부재와 종통부재가 만나는 부분의 접속성과 형상표현을 위해 keypoint, super element(SE) 개념을 도입하였고 형성된 SE 들을 isoparametric mapping 기법을 접속된 3차원 부재용으로 개선하여 유한요소로 분할하였다. 진동해석용으로 형성된 선체중앙부 요소망을 ANSYS로 가시화하였고 자유진동해석을 수행하였다.

  • PDF

Effect of Design Factors on the Vibration of the Steering Wheel of a Passenger Car (승용차 조향계 진동에 미치는 제인자)

  • 박철희;홍성철;송상기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0 no.5
    • /
    • pp.37-45
    • /
    • 1991
  • 일반 소형 승용차의 고속 주행시 발생하는 진동 중 조향휠의 원주방향의 진동인 shimmy 현상을 연구하였다. Shimmy 현상은 쾌적한 차량 설계단계에서 예측할 수 있고 그 원인을 추정할 수 있도록 조 향계의 모델링 및 이론해석을 하였으며 실험결과치와의 비교검토를 통하여 모델링에 대한 타당성을 검 증하였다. 검증된 모델링을 이용하여 조향계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감쇠, 강성, 타이어의 트레일 및 stabilizer bar 의 강성등의 변화가 조향휠 진동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특히 shimmy 현상이 타이 어의 편마모등에 의한 unbalance mass에 얼마나 민감한가를 실험 및 이론적인 해석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 PDF

A Study on Vibration Analysis and Test of Satellite Solar Panel Structure (위성용 태양전지판 구조물의 진동해석 및 시험에 관한 연구)

  • 문상무;이주진;이상설;최익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5.04a
    • /
    • pp.73-80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범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인 NASTRAN을 이용하여 실위성용 복합소재 태양전지판 구조물의 유한요소 모델링을 통해 진동특성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진동 특성 측정용 치구를 제작하고, 측정센서의 질량이 미치는 영향을 해석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진동특성 측정시험을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 해석결과를 시험결과와 비교하므로써 태양전지판 구조물의 진동특성 시험방법을 정립하고 모델링기법을 검증하였다.

  • PDF

A Case Study on Blasting Vibration 3D Modelling with Electronic-Delay System Detonator (전자발파시스템을 이용한 발파진동 3D 모델링 연구 사례)

  • Kim, Gab-Su;Yang, Ruilin;Kim, Yong-Gyun;Kang, Dae-Woo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24 no.2
    • /
    • pp.131-142
    • /
    • 2014
  • This study is using electronic-delay system detonator which can input an accurate detonating delay, compare predicted blasting vibration level derived from vibration 3D modelling with real measured blasting vibrations, and then considered modelling results are able to apply blast design. It confirmed there are certain relations between modelling and real vibration data, so modelling prediction method also can be apply design various blast conditions and prediction equation of blast vibration.

Vibration Identification of Gasoline Direct Injection Engine Based on Partial Coherence Function (부분기여도 함수를 이용한 직접분사 가솔린 엔진 부품의 진동원 분석)

  • Chang, Ji-Uk;Lee, Sang-Kwon;Park, Jong-Ho;Kim, Byung-Hyu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6 no.11
    • /
    • pp.1371-1379
    • /
    • 2012
  •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for estimating the contribution of vibration sources in gasoline direct injection engine parts with a multiple-input system. A partial coherence function was used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linear dependence indicated by an ordinary coherence function. To apply the partial coherence function to vibration source identification in the powertrain system of a gasoline direct injection engine, a virtual model of a two-input and single-output system is simulated. For the validation of this model, the vibration of the powertrain parts was measured by using triaxial accelerometers attached to the selected vibration sources-a high-pressure pump, fuel rail, injector, and pressure sensor. After calculating the partial coherence between each source based on the virtual model, the vibration contribution of the powertrain system is calculated. This virtual model based on the partial coherence function is implemented to determine the quantitative vibration contribution of each powertrain part.

Prediction of Ground Blasting Vibration using Superposition Modeling Data of Single Hole Blasting Waveform (단일공 발파파형 중첩모델링 자료를 이용한 지반 진동의 예측)

  • Kim, Jong-In;Kang, Choo-Won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17 no.6
    • /
    • pp.484-492
    • /
    • 2007
  • The blasting vibration prediction in the country is mainly carried out by using the scaled distance method. But, this method needs a real-scale test blasting. The blasting vibration prediction has been performed using the data measured at borehole blasting for the purpose of a geological investigation before beginning a construction of a tunnel. In this prediction method, it is difficult to reflect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ground vibration generated from a real-scale blasting. propagation. This paper presents a new method for estimating blasting vibration by using superposed data of single hole blasting waveform with a delay time.

A Study on Modeling for Vibration Serviceability Evaluation (교량의 진동사용성 평가를 위한 모델링에 관한 연구)

  • Lee, Hu-Seok;Ha, Sin-Yong;Hwang, In-Ho;Lee, Jong-Seh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39-42
    • /
    • 2010
  • 최근 보행자가 교량의 진동에 의한 불안감을 느끼는 경우가 발생되면서 설계 단계에서 진동에 대한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설계자는 범용유한요소프로그램에 이동하중을 적용하여 동적응답해석을 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그 결과 Meister감각곡선에 의한 진동사용성 평가도 정확히 수행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자들이 수행하는 교량의 진동사용성 평가방법의 간편한 적용을 위하여 이동하중모델 생성툴을 연구하였으며, 범용유한요소프로그램으로 모델링 된 교량의 매개변수를 변화해가며 진동사용성 평가를 수행하였고 연구 결과 중 매개변수의 하나인 보요소의 길이에 따른 진동사용성 평가결과만을 작성하였다. 평가결과 보요소의 길이에 따라 교량에 발생되는 진동과 가속도의 응답치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발생되는 주요주파수 범위도 다르게 해석되었다. 이러한 동적응답의 결과가 다르게 해석되면서 Meister 감각곡선에 의한 평가등급이 차이도 발생되었다. 따라서 정확한 진동사용성 평가를 위해서는 동적응답해석 시 다양한 매개변수에 의한 동적응답의 결과에 대한 연구는 물론 다양한 교량 형식과 그에 맞는 모델링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