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진동판

Search Result 731,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Behaviour of Micro-loudspeaker Diaphragms (마이크로 스피커 진동판의 특성)

  • Jung Kyung-Il;Yi Han-Ryang;Oh Sei-Jin;Yoon Suk-Wang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499-500
    • /
    • 2004
  • 일반적으로 진동판의 크기와 형태는 스피커의 음파 방출 효율과 재생대역 및 왜곡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연구결과들은 직경 25mm 이상, 두께 0.1mm 이상의 다양한 소재의 진동판으로 이루어진 스피커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러나 현재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마이크로스피커에 사용되는 진동판들은 직경이 20mm 이하이고, 그 두께는 수십 ${\mu}m$ 필름 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마이크로스피커의 동작특성은 일반적인 스피커에 비해 재생대역이 좁고, 고조파 왜가 크게 나타난다. 본 논문은 수 십 ${\mu}m$ 두께의 필름 진동판을 사용하는 마이크스피커의 설계 시, 기본적인 특성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진동판의 두께 변화, 단면의 곡률변화에 따른 스피커의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 PDF

Vibration Pattern Prediction through The Analysis on the Break-up Mode and the Heat Transfer Relationship of Slim Speaker Diaphragm (슬림 스피커 진동판의 분할진동 모드와 열전달 관계 분석을 통한 진동 패턴 예측)

  • Kim, Hyun-Kab;Kim, Hiesi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3 no.10
    • /
    • pp.109-115
    • /
    • 2016
  • In this paper, In this paper, we use two methods to compare the slim speakers. That way, the diaphragm scan using laser and diaphragm photographed using a thermal imaging camera. Slim speaker has the structure of a flat plate type. Break-up mode by this characteristic is displayed in a larger size. Further, since the installation space is narrow, it has limited moving coil cooling. As a result, the break-up mode slim speakers, a significant impact on quality. In this study, try to connect the break-up mode of the diaphragm, the heat transfer mode of the diaphragm. Experiment for comparison, a two-step. The first step is to measure the divided vibration through the vibration plate scan. The second step measures the diaphragm photographed using a thermal imaging camera. Then, compare the results of both of the same frequency. Thus, comparing the heat transfer pattern and the pattern of break-up mode. Tend to be analysis of break-up mode from the pattern comparison, and document for the optimum design.

A Flat Loudsspeaker driven by Multi-layer diaphragm (다층 진동판으로 구동되는 평판 스피커)

  • Yi H.R.;Kim B.N.;Oh S.J.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131-136
    • /
    • 2004
  • 스피커는 진동판의 크기와 형태 외에도 소재 또는 내부구조에 따라 구동 특성이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신호가 입력되는 두 진동판 사이에 공동을 형성시킨 경우, 다공성 흡음재를 삽입한 경우 스피커의 특성 변화를 관측하였다. 특히, 다공성 흡음재를 삽입한 경우, 다공성 물질의 체적을 동일하게 하고 진동판 표면 상태에 따른 영향과 진동판 상의 진동 전달 경로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여 내부물질에 따른 특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 PDF

Acoustic characteristics of micro-loudspeaker used metallic diaphragm (금속 진동판을 이용한 초소형 스피커의 음향 특성)

  • Doh Sung-Hwan;Jun Kyo-Pil;Oh Sei-Ji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503-504
    • /
    • 2004
  • 휴대용 개인 단말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의 높은 보급률에 따라 초소형 스피커(Micro-loudspeaker)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초소형 스피커의 성능 개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소형 스피커의 진동판 소재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와 폴리에테르 이미르(PEI)의 수지 계열 진동판과 니켈(Ni) 진동판의 방사 효율을 비교 분석하여, 진동계의 관점에서 금속 진동판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sign of an Acoustic Actuator Based on the Singing Mechanism of Cicadas (매미의 발음 기제를 모사한 음향 발생 장치의 설계에 관한 연구)

  • Cho Wan-Ho;Ih Jeong-Guo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309-31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매미가 소형이면서도 광대역의 소리를 낼 수 있는 원리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이중 음향 발생 장치 제작에 적용할 수 있는 요소를 도출하였다. 매미의 발음기관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복부 공명실과 진동판이다. 복부 공명실은 위상 반전형 인클로져 시스템으로 모델링 할 수 있으며, 진동판은 돔 형태의 박판으로 볼 수 있다. 근육에서 발생된 입력 신호는 진동판의 곡면에 의해 판에 좌굴을 일으켜 높은 음압의 소리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소리는 복부를 통해 위상이 반전되어 특정 대역이 강조된다. 진동판의 가장 큰 특징은 곡면구조에 의한 비선형적인 출력이며 이를 통하여 가진 주파수와 상이한 주파수 성분들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음향 발생장치로 활용하기 위하여 단순한 곡면판의 기하학적 파라미터 변화에 따른 출력 변화 경향을 관찰 하였으며, 이러한 원리를 활용한 음향 발생장치를 구성하였다.

  • PDF

Correlation Between Tensile Strength of Diaphragm and Resonance Frequency for Micro-Speaker (원형 마이크로스피커 진동판의 인장강도와 공명진동수 사이의 연관성)

  • Oh, Sei-Jin;Kim, Hae-Young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8 no.4
    • /
    • pp.299-307
    • /
    • 2009
  • In this study, the acoustical properties of micro-speaker had been studied as a function of diaphragm patterns. The diaphragm was divided into two sections, such as edge and dome sides. The pattern change at each side affected the tensile strength of diaphragm. As a result, the resonance frequency was varied with the change. With increasing the number of pattern at the edge side, it was increased at the first, but it reversed to the exponential decrease of that. It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of tensile strength to be caused by using "U" type of drill and whirlwind pattern, and decreasing of drill angle at the edge side. However, it was decreased due to the decrease of tensile strength to be by increasing the number of radiation pattern and dome hight, and decreasing the dome radius at the dome side.

Practical Vibration Analysis of Deck Floor Slab (데크 바닥판 구조물의 실용적인 진동해석)

  • Kim, Gee-Cheol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8 no.1
    • /
    • pp.61-69
    • /
    • 2005
  • As long-span and light-weight deck floor slab are flexible and have low inherent damping, the significant floor vibration could be induced by residents' activities. These floor vibrations affect to safety and serviceability of building structures. So the vibration criteria are applied to the quality assessment of building structure. Therefore, the accurate vibration analysis should be performed for the correct assessment of deck floor slab. In this paper, practical analysis method with considering orthotropic rigidity of deck floor is proposed tot the accurate vibration analysis of dock floor slabs with form deck plates.

Analysis of the Flexural Vibrations for the Rotating Cantilevered Rectangular Plates (회전하는 외팔 사각판의 굽힘진동 해석)

  • 이종민;이영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2.10a
    • /
    • pp.59-64
    • /
    • 1992
  • 터빈 블레이드와 같이 회전하는 구조물의 파단은 공진 근처에서 진동이 발 생할 때에 이에 기인하는 피로에 의하여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파단 을 피하기 위해서는 설계 단계에서 이론적인 계산에 의하여 구조물의 고유 진동수를 결정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 판이 회전을 받게 되면 원심력에 의하여 판의 강성이 증가하므로 고유진동수가 회전하지 않는 판의 고유진동 수보다는 상당히 증가하게 된다. 이에 대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상당수 행하 여졌지만, 연구의 대부분이 회전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은 정지판(stationary plate)에 대한 것이며 뢰전을 고려한 연구는 극히 제한되어 있다. 또한 회전 의 영향을 고려한 연구의 대부분이 해석 대상을 보로서 단순화 시켰고 해법 으로는 유한요소법과 Ritz법 등을 사용하였다. 이는 블레이드가 지니고 있는 기하학적인 형상과 진동 특성이 해석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는 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실제적으로는 터빈 블레이드와 같은 회전체의 진동 특성이 설치각이나 비틀림각, 판의 형상비, 회전속도 등의 변화에 의하여 영 향을 받기 때문에 보와 같은 진동 거동을 보이기보다는 판이나 셀과 같은 진동 거동을 보이므로 보다 정확한 해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해석 대상을 판이나 셀로서 취급하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이 유 때문에 해석 대상을 등방성 사각판과 직교이방성 복합재료 사각판으로 선택하였으며, 구조물의 고유진동수에 영향을 미치는 다음과 같은 인자들을 해석에 고려하였다. 1. 회전속도 (rotational speed) 2. 설치각 (setting angle) 3. 허브의 반경 (hub radius) 4. 판의 형상비 (aspect ratio) 5. 적층순서 (stacking sequence)구조물에 대한 동적실험(dynamic test)을 통하여 단기간에 동적특성을 결정하고 SDM(structure dynamic modification)이나 FRS(force response simulation)를 수행하여 임의의 좌표 공간에 대한 진동수준을 해석적으로 예측할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진동제어 를 위한 동적인자를 변경시킬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며 장비를 방진할 경우 신뢰성 있는 전달률을 결정할 수 있다. 실험적으로 철교, 교량이나 건물의 철골구조 및 2층 바닥 등 대,중형의 복잡한 구조물에 대항 동특성을 나타내 는 모빌리티를 결정할 경우 충격 가진 실험이 사용되는 실험장비 측면에서 나 실험을 수행하는 과정이 대체적으로 간편하다. 그러나 이 경우 대상 구조 물을 충분히 가진시킬수 있는 용량의 대형 충격기(large impact hammer)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동적실험은 약 길이 61m, 폭 16m의 4경간 교량에 대 하여 동적실험을 수행하여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여기서는 실험실 수준의 평 판모델을 제작하고 실제 현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진동제어 구조물에 대 한 동적실험 및 FRS를 수행하는 과정과 동일하게 따름으로써 실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나 error를 실험실내의 차원에서 파악하여 진동원을 있는 구조 물에 대한 진동제어기술을 보유하고자 한다. 이용한 해마의 부피측정은 해마경화증 환자의 진단에 있어 육안적인 MR 진단이 어려운 제한된 경우에만 실제적 도움을 줄 수 있는 보조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ofile whereas relaxivity at high field is not affected by τS. On the other hand, the change in τV does not affect low field profile but stron

  • PDF

Excitation of ultrasonic vibration on a simply supported plate with a piezoelectric actuator (압전 액츄에이터를 이용한 단순지지 평판에서의 초음파 대역 진동 발생)

  • 안순홍;노용래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2
    • /
    • pp.25-31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유리판에 초음파 대역 진동을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압전 액츄에이터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자동차 유리판을 단순지지 평판으로 가정하였으며, 액츄에이터로는 PZT 진동자를 사용하였다. 유한 요소법(Finite Element Method)을 통하여 유리판의 최적 공진 주파수와 유리판에 부착할 압전 진동자의 구조 조건인 최적 위치와 개 수를 결정하였다. 설계 결과에 따라 자동차 유리판에 압전 진동자를 부착하여 임펄스 응답 해석(impulse response analysis)과 임피던스 해석(impedance analysis)을 수행하여 구동 주 파수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이 주파수로 가진하여 유리판 전면에 걸쳐 고른 초음파 진동이 분포함을 확인하였으며, 나아가 전기적 임피던스 매칭(impedance matching)을 통해 더 큰 효율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었다.

  • PDF

Vibration Analysis Using Laser Speckle (레이저 스펙클을 이용한 진동분석)

  • Ruck, Do-Jin;Sung, Duk-Yong;Kang, Sung-Soo;Lee, Won-Jin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6 no.2
    • /
    • pp.77-80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hat by using speckle phenomena of low-level He-Ne laser, it analyzes the movement condition of surface elements on a substance vibrating. The lights from laser reflect against a copper plate and will be shown as speckles on a vibration board. If we vibrate these speckles by sound waves of a speaker installed on the back, the speckles change with various shapes. When a vibration board has a maximum vibration, the frequency becomes a dynamical resonance frequency and we can mark the changes of speckles at that time on a vibration boar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