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진동굴성생물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1초

신단양 고수동굴의 환경과 서식생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vironment and Inhabitant of Gosu Cave in Sindanyang)

  • 김병우;박상영
    • 동굴
    • /
    • 제67호
    • /
    • pp.11-20
    • /
    • 2005
  • 고수동굴의 동굴환경과 동굴생물의 지속적 보전을 위한 학술적 기초 자료를 얻고자 2002년 4월부터 2003년 3월까지 동굴내부를 조사하였다. 고수굴은 하계평균기온이 16도내외, 동계평균기온은 14도내외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습도는 동계평균습도가 $90\%$내외, 하계평균습도는 $85\%$내외이다. 동굴 입구부근의 Site 1에서는 외래성생물이 4종, 호동굴성생물인 알락곱등이가 발견되었다. 입구안쪽의 Site 2와 동굴중앙부의 Site 3에서는 외래성생물이 2종, 호동굴성생물이 2종, 진동굴성생물 4종이 발견되었다. Site 4에서는 진동굴성생물인 갈르와벌레가 발견되었다. Site 5에 진동굴성생물인 장님굴새우와 외래성생물인 돌좀이 서식하고 있었다. 고수 동굴 심층부의 환경과 진동굴성 생물의 보존은 중요하다.

영춘남굴과 노동굴의 생물분포 밀도와 이의 보전책

  • 임기영
    • 동굴
    • /
    • 제5권6호
    • /
    • pp.20-22
    • /
    • 1980
  • 동굴 속이라는 특수환경 속에 사는 동물을 우리는 동물생물(Gavernicole)이라 부르며, 이 동굴생물은 i)외래성(trogloxene) : 개구리(Amphibia) 따위의 양서류와 파리(Piptera) 등. ii) 호동굴성(troglophile) : 푸라나니아(Tricladia), 거미류(Araneido) 박쥐(Chirptera) 등. iii) 진동굴성(troglobiont): 새우류(Amphipoda), 톡톡이(Collembala), 좀류(Thysanura), 노래기(Aiplopada) 등. 3가지로 분류하고 있다.(중략)

  • PDF

평창(平昌) 쌍굴(雙屈)의 서식생물(棲息生物)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Inhabitant of Ssang-Cave in Pyeongchang, Korea)

  • 손규남;김병우
    • 동굴
    • /
    • 제89호
    • /
    • pp.1-15
    • /
    • 2008
  • 평창군 미탄면 기화리에 소재한 쌍굴의 동물종 구성과 생태적 개체군 변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5년 1월부터 2005년 6월까지 6개 조사지로 구분하여 관찰, 채집, 조사한 결과 전체 동물종은 총 4강 11목 16과 19종이었고, 총 조사개체수 중 알락꼽등이가 66.6%, 등줄굴노래기가 22.4%로 전체의 확인 개체군 중 우점종으로 확인되었다. 조사된 생물 중 생태적 특성에 의한 진동굴성이 5.3%, 호동굴성이 21.1%, 그리고 외래성이 73.7%로 외래성이 가장 많은 종을 차지하였다. 포유강에서는 관박쥐와 물윗수염박쥐의 2종이 확인되었으며, 그 중 관박쥐가 58.9%를 차지하고 있어 우점종으로 확인되었다. 외래성인 담흑물결자나방은 겨울철인 1, 2월에 가장 많은 개체수가 확인되었다. 진동굴성인 등줄굴노래기는 6월에 503개체가 관찰되었고 호동굴성인 알락꼽등이는 4, 5월을 정점으로 봄철에 많은 개체수가 나타났으나, 6월에는 개체수가 급격히 줄었다.

원주(原州) 회옥굴(窟)의 서식생물(棲息生物)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inhabitant of Hoe-ok cave in Wonju)

  • 박종범;김병우
    • 동굴
    • /
    • 제88호
    • /
    • pp.7-25
    • /
    • 2008
  • 치악산에 위치한 원주 신림면 성남2리에 있는 회옥굴의 동굴생물 종의 분포와 생태적 특성을 알기위해 2004년 11월부터 2005년 6월까지 현장조사 연구를 통해 동굴생물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조사된 회옥굴의 동굴생물 분포는 8강 18목 28과 34종이었으며, 곤충강이 7목 11과 14종(41.2%)이었다. 회옥굴 내의 서식 생물을 생태적 특성에 따라 구분하면 진동굴성은 8종(23.5%), 호동굴성은 7종(20.6%), 외래성이 19종(55.9%)으로 나타났으며, 동굴에의 적응율은 44%로 외래성 생물의 분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동굴의 동굴생물

  • 홍시환
    • 동굴
    • /
    • 제16권17호
    • /
    • pp.78-95
    • /
    • 1988
  • 동굴생물에 대한 최초의 개발은 1600년경에 유고스라비아 동굴에서 개발된 뱀장어의 일종인 프로테우스 앙귀누스이다. 우리나라도 1966년 이래 한국동굴협회, 한국동굴학회를 중심으로 조사연구되어 그 일부가 발표된 바 있으나 아직까지 종합적인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동굴의 생물은 일반적으로 행태적으로 생리적으로 동굴내에서 생활하기에 짜여져 있어 동굴밖에서는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없는 진동굴성생물과 동굴내에서도 동굴외와 같이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는 호동굴성생물과 동굴내에서 발견되지만 본래의 생활장소가 동굴외에 있어, 동굴내에서는 정상적인 생활활동을 할 수 없는 외내성생물로 크게 나눌 수 있다.(중략)

  • PDF

한국 동굴의 구조적 특성 (The Structural Feature of Caves in Korea)

  • 홍시환;정민채
    • 동굴
    • /
    • 제45권46호
    • /
    • pp.33-47
    • /
    • 1996
  • 동굴이 휴양명소로 자리잡아 감에 따라 동굴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는 때에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동굴의 구조적 특성을 밝히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 분포한 동굴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그 중 대표적인 석회동굴과 화산동굴의 구조적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에는 260개 이상의 동굴이 분포하고 있는데, 강원도와 충청북도 지방에 75% 이상이 집중되어 있으며, 이것은 이들 지역이 우리나라의 지체구조사 옥천지향사에 해당하는 곳이어서 석회석이 발달한 때문이다. 둘째, 우리나라의 동굴은 성인상으로 분류하면 석회동굴 ·화산동굴 ·해식동굴 ·저리굴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석회동굴이 가장 많고, 화산동굴은 제주도에 주로 분포한다. 셋째, 동굴지형면에서 석회동굴은 이차 생성물의 성장으로 인해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는 반면에, 제주도의 화산동굴은 규모면에서 세계적이라는 것이 특징이고, 몇몇 동굴에서는 해안가 패사류의 퇴적으로 인해 석화동굴에서만 볼 수 있는 이차 생성물이 발달된 곳도 있다. 마지막으로 동굴생물적 측면에서는 동굴의 깊이가 클수록 진동굴성 동물이 비교적 많이 발견된다. 또한 본토의 석회동굴과 제주도의 화산동굴 내에 분포하는 동굴생물은 다소 그 종류에서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제주도의 화산동굴에는 그곳에만 독특하게 사는 동굴생물들이 발견되어 종의 이름에 ‘제주도...’ 라고 명명하는 것이 특징이다.

  • PDF

韓國産 뿔톡토기科의 6新種 및 洞窟産 1未記錄種등에 관한 分類學的 硏究 (Some Entomobryidae Including Six New Species and One New Record of Cave Form (Collembola) from Korea)

  • Lee, Byung-Hoon;Park, Kyung-Hwa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77-188
    • /
    • 1984
  • 남한의 30여개 지역의 삼림토양에서 뿔톡토기과를 채집하여 동정한 결과 3속 10종을 얻은 바 이 가운데 6신종 (Entomobrya jirisana n. sp., Entomobrya quadrata n. sp., Entomobrya vigintiseta n. sp., Entomobrya monopunctata n. sp., Homidia heugsanica n. sp., Homidia bilineata n. sp.) 및 1 한국미기록종 (Sinella curviseta Brook, 1882)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Entomobrya monopunctata n. sp. 는 잣나무에서 채집되었고 Sinella dubiosa Yosii, 1956는 눈이 없는 진동굴성으로 삼척의 초당굴미기록종이다. 본 연구결과 한국산 뿔톡토기는 모두 3속 23종이 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