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진동감쇠방안

Search Result 2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n the Vibration Reduction Method for Main steam Piping in Nuclear Power Plant (원자력발전소 주증기관의 진동감쇠 연구)

  • Kim, Yeon-Whan;Kim, Jong-Yeob;Lee,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6.04a
    • /
    • pp.215-220
    • /
    • 1996
  • 원자력발전소의 주증기관은 증기발생기와 터빈을 연결하는 주요 계통으로서 여기서 발생하는 배관진동은 주요기기의 연결부, 밸브, 배관지지물과 건물 등에 복합적인 반복하중을 가하여 관련 지지물 및 구조물에 열화현상을 발생시켜 발전소의 안전운전에 심각한 영향을 초래할 가능성을 항상 내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관진동 대책은 대부분 지지물을 추가로 설치하여 진동준위만 낮추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구체적인 배관진동의 예측, 측정 및 평가, 감쇠방안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지물의 열화현상 및 부분적인 파손으로 진동준위가 높아진 것으로 추정되는 원자력발전소 주증기관의 진동특성 및 요인을 분석하여 진동감쇠 방안을 도출하고 검증함으로써 배관 및 주변 구조물의 건전성을 확보하고 설비의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주증기관을 모델링하여 해석하였으며, 발전소의 기동 및 정상운전시의 진동준위를 측정하였다. 또한 발전소의 정진기간중 일부 배관계에 대한 실험적 모우드 해석을 수행하였다. 여러가지 진동감쇠 방안을 검토하여 탄성지지 및 에너지 흡수효과를 동시에 발휘할 수 있는 특수 지지물(WEAR$_{TM}$)을 설치하는 방안을 도출하였으며, 현장에 설치한 후 배관의 진동상태를 확인함으로서 효과적인 방안임을 검증하였다.

  • PDF

Analytical Estimation of Thermoelastic Damping (열탄성 진동감쇠에 관한 해석적 연구)

  • 이우식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9 no.6
    • /
    • pp.801-809
    • /
    • 1985
  • 다음 세대의 우주 비행선(spacecraft) 및 우주 구조물 등은 매우 정밀한 수행 능력은 물론 발사 경비의 절감을 위해 자체 무게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설계 방안을 요구하고 있다. 이같은 중 요한 요구 조건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진동 제어의 한 방법으로써 재료 고유진동감쇠(material damping)의 효과적인 응용이 매우 중요시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열기류(Thermal currents)에 의해 발생하는 열탄성 진동감쇠(thermoelastic damping)를 연관 열탄성학(coupled thermoelasticity)에 근거하여 해석적으로 추정하고 진동감쇠율에 구조적, 기하학적 형태가 미치는 영향에 관해 고찰하였다. 단일 구조물의 형태, 경계조건 및 진동모우드 등이 진동감쇠에 미치는 영향을 새로운 계수로서 공식화 하였으며 아울러 최대 진동 감쇠율을 얻을 수 있는 최적조건을 고찰하였다.

Design to Control Vibration for Stay Cable with Damper (댐퍼도입에 의한 사장 케이블의 제진설계)

  • Kim, Hyeon Kyeom;Hwang, Jae Woong;Lee, Myeong Jae;Seo, Ju W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1A
    • /
    • pp.51-58
    • /
    • 2008
  • A cable element happens to vibration easily rather than other elements because a cable element has few rotational stiffness. Dynamic motion of stay cable is distinguished from vibration by wind and/or rain and excitation by support movement. Mostly a stay cable is vibrated by wind and/or rain except that when natural periods coincide between stiffening girder and stay cable. It happens to deterioration of serviceability and durability by vortex shedding, rainy-wind induced vibration, and galloping. Additional damping generated by installation of cable damper is well known good scheme against above phenomena. Researchers have lack of effort to develop the recommendations even if cable stayed bridges are designed and constructed in Korea. Therefore, development of the domestic recommendations should be achieved as soon as possible. This study suggests the consistent and systematic recommendations on vibration controlling design of stay cable by installation of damper. It gives readers two important methodologies that one evaluates required damping ratio, the other determines installing point considering efficiency.

A Study on the Stabilization of Gun Barrel by Viscoelastic Damping Material (점탄성 감쇠재료를 이용한 포신 잔류진동의 조기 안정화 방안연구)

  • 임재희;백판구;이재영;정백기
    • Journal of KSNVE
    • /
    • v.9 no.4
    • /
    • pp.714-719
    • /
    • 1999
  • Because the residual vibration of a gun barrel acts negatively on the firing of a large calibers gun, the fast stabilization of theresidual vibration is indispensible to the precise and successive firing. In this study, the residual vibrations of a gun barrel carrying a bore evacuator and a muzzle brake are investigated by the experimental method. The influence of the eigenfrequencies and the mode shapes of gun barrel on the fast stabilization of the residual vibration is studied for the various masses of bore evacuator and muzzle brake, the possition of bore evacutor. Also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uncamental frequencies and the settling times of the gun barrel are investigated for the various parameters. The experiments to reduce the residual vibration using the viscoelastic damping treatment gives the best result among the various treatments for the reduction of residual vibration of the system.

  • PDF

Enhancing Robustness of Floor Vibration Control by Using Asymmetric Tuned Mass Damper (비대칭 동조질량감쇠기를 활용한 바닥진동제어의 강건성 향상 방안)

  • Ko, A Ra;Lee, Cheol Ho;Kim, Sung Y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26 no.3
    • /
    • pp.177-189
    • /
    • 2014
  • When floor vibration problems occur in existing buildings, TMD (tuned mass damper) can be a viable alternative to resolving the problem. Only when TMD has been exactly tuned to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floor, it can control the vibration as intended in design. However, TMD gets inefficient in the situation where the natural frequency changes as a result of the uncontrollable variation of the floor mass weight. This physical phenomenon is often called as TMD-off-tuning. This study proposes asymmetric TMD for enhancing the robustness of floor vibration control against uncertain natural frequencies. The proposed TMD features two asymmetric linear springs such that the floor vibrational energy can be dissipated through both the translational and rotational motion. An easy-to-use graphical optimization method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he asymmetric TMD proposed outperformed in vibration control by 28% compared to that of conventional TMD. The robustness of asymmetric TMD of this study was two times higher than that of conventional TMD.

Optimal and Durability Analysis of Engineering Plastics in Contact Situations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접촉문제 신뢰성 분석 및 최적화)

  • 최덕현;전지훈;황운봉;김명덕;김영수;조성진;박관룡
    • Proceedings of the Korean Reliability Society Conference
    • /
    • 2002.06a
    • /
    • pp.205-210
    • /
    • 2002
  •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제품의 경량화 및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 접촉부재의 부품으로 교체될 때는 접촉부재와의 마멸 및 마찰 특성이 시스템 전체의 신뢰성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한 접촉부재의 일반적인 역할이 마찰력에 따른 동력의 전달 및 진동 감쇠와 같으므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교체에 따른 시스템의 효율을 고려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접촉부재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교체함에 따른 마멸 및 마찰 특성을 분석하여 접촉부재에서의 신뢰성을 분석해 보고, 접촉부재에서의 진동 감쇠 특성을 분석하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교체에 관한 최적의 재료를 선정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여러 종류의 시스템에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접촉부재 교체에 따른 신뢰성 향상 방안 및 최적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Analytical Study on Vibrational Properties of High Damping Polymer Concrete (고 감쇠 폴리머 콘크리트의 진동 특성에 관한 해석적 연구)

  • Kim, Jeong-Jin;Kim, J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4 no.5
    • /
    • pp.119-125
    • /
    • 2020
  • Research on high-attenuation concrete for the vibration reduction performance by mixing epoxy-based synthetic resins and aggregates is actively being conducted. The curing time of high-attenuation concrete is very short because water is not used, and the physical and dynamic properties are very excellent. therefore, it is expected to be widely used in building structures requiring reduction of interior-floor noise and vibration. Furthermore, A way to expand the applicability of the high-damping concrete mixed with polymer in the field of reinforcement material have been variously studied. In order to replace polymer concrete with ordirnary concrete and existing anti-vibration reinforcement material, it is necessary to review overall vibration reduction performance considering physical properties, dynamic properties, productivity and field applicability. In this study, the physical and dynamic properties of polymer concrete by epoxy mixing ratio compared with ordirnary concrete. As a result, the elastic modulus was similar. On the other hand, polymer concrete for the compressive, tensile, and flexural strengths was quite more excellent. In particular, the measured tensile strength of polymer concrete was 4-10 times higher than that of ordirnary concrete. it was a big difference, and the frequency response function and damping ratio was studied through modal test and finite element analysis model. The dynamic stiffness of polymer concrete was 20% greater than that of ordirnary concrete, and the damping ratio of polymer concrete was approximately 3 times more than that of ordirnary concrete.

고층건물의 진동제어

  • 윤정방;김상범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7 no.1
    • /
    • pp.25-30
    • /
    • 1994
  • 본 고에서는 강한 바람이나 지진에 의한 고층 구조물의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능동제어장치가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이었다. 그러나 능동제어장치를 실제 구조물에 널리 적용하기에는 아직 많은 문제점들이 남아있다. 첫째, 효과에 비해 고가의 진동제어장치가 필요하며 유지관리에도 많은 비용이 필요하다. 또한 진동제어장치가 원활히 작동하기 위해서는 계속된 에너지의 공급이 있어야 하는데, 지진과 같은 과도한 구조물의 진동시 이를 보장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극한상황에서는 진동을 오히려 증폭시킬 수도 있다. 둘째, Control Force의 산정시 사용되는 목적함수의 가중행렬을 결정하는 정형화된 방법이 아직 존재하지 않으며 효율적인 산정을 위해서는 많은 시행착오가 필요하다. 그밖에도 복잡한 실제 구조물의 단순한 모형화에 따라서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기 쉬우며, 실제 제어시에는 시간지연효과나 측정되지 못한 거동에 의한 문제 등이 있다. 구조물의 진동 저감방안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로는, 일반적인 경우에 있어서는 Base Isolator와 같이 재료의 감쇠특성을 이용하는 방법이 추천되고 있으나, 현재 내진설계된 고층건물과 같은 대형 구조물의 진동제어 등의 몇몇 경우에 있어서 능동제어의 필요성이 인정되고 있다. 좀더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제어기법의 개발에 의해 많은 실제 구조물에 적용 범위를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Vibration Characteristic of Large Main Steam Pipelines in Power Plant (발전소의 대형 주증기배관의 진동 특성)

  • Kim, Yeon-Whan;Lee, Hyun
    • Journal of KSNVE
    • /
    • v.6 no.6
    • /
    • pp.709-715
    • /
    • 1996
  • In recent years, the piping vibration in many Power Plants is being increased by the aged generating facilities due to a long time use. Generally, the pressure fluctuations associated with the flow-induced excitations in this case are broadband in nature. Mainly, the dominant sources of vibration are a vortex-shedding, plane waves and boundary layer turbulence. The peak level of the spectrum is proportional to the dynamic head. A severe disturbance in pipeline results in the generation of intense broadband internal sound waves which can propagate through the piping system. The characteristic frequencies of operating loads of 20%, 57%, 70%, 100% are 4 - 6 Hz and coincide with the results from impact hammering test and FEM analysis. We chose the wire energy absorbing rope restraint as a vibration reduction method after reviewing the various conditions such as site, installing space and economic cost etc. After installation, the vibration level was reduced about 54% in velocity.

  • PDF

Shimmy Model and Experiment of Steering System of a Passenger Car (승용차 조향계 Shimmy 모델과 실험)

  • 박철희;김중희;김철수;송상기;오진우
    • Journal of the KSME
    • /
    • v.33 no.10
    • /
    • pp.884-891
    • /
    • 1993
  • 최근 승용차의 설계는 일반적으로 고속화, 경량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것이 진동문제로서, 그중에서도 조향계(steering system)의 진동은 보다 쾌적한 승차감 내지 조정성능을 저해하고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초래하는 진동으로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되어 왔다. 따라서 이러한 조향계의 진동인 쉬미(shimmy)현상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등이 있다. 1) 가진원이 되는 타이어의 불균형 질량을 줄이거나 타이어의 정밀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2) 진동전달 경고상의 감쇠특성과 조향계의 강성을 변화시켜 전달률을 줄이는 방법. 3) 차체의 동특성 변화를 통하여 고유진동수를 변화시켜 공진영역을 옮기는 방법. 이 글에서는 쉬미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되어지는 여러 중요한 인자들을 단계적으로 포함 시켜가면서 이론해석 결과와 실험결과를 비교 . 검토 . 보완해갈 것이며, 그 결과 이론적으로 쉬미현상을 예측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