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진공포장

Search Result 32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Development of an Automatic Packer Using Vacuum Packaging and its Effects on the Rice Quality

  • Yan, T.Y.;Chung, J.H.;Rhee, C.O.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29 no.2
    • /
    • pp.131-14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배아미, 현미, 가능성쌀들 및 진공을 요하는 식품의 품질을 보존하기 위해서 연속식 자동진공포장기를 국내 최초로 개발하였다. 배아미의 진공포장 성공률은 92.6%이었고, 실패율 7.4%에서 진공포장기 자체에서 불완전 테이핑의 밀봉작업으로 진공이 서서히 풀리는 경우가 5.5%, 그리고 진공하기 전 자동비닐포장기에서 포장시 봉지 윗부분 밀봉이 불완전해 1.9%가 진공이 풀렸다. 이에 개발한 자동진공포장기의 진공포장성공률은 약 94.5%수준이었다. 진공포장기로 진공시간에 따른 진공압력을 측정하였고, 배아미 2, 3, 5 kg를 진공포장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각각 6, 8, 11초이었다. 진공포장으로 처리한 배아미와 진공포장 처리하지 않은 배아미를 각각 3재월간 저장실험하여 백도, 함수율, 과산화물가, 산가를 저장기간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백도는 진공처리가 2 감소, 비처리가 4 감소하였고, 함수율은 진공처리가 0.8%감소, 비처리가 1.3%감소, 과산화물가는 진공처리가 최대 1.89 meq/kg까지 서서히 증가하였고, 비처리가 3.45 meq/kg까지 급속히 증가하였다가 서서히 감소하였다. 산가 역시 진공처리가 최대 0.71 mg/g까지 서서히 증가하였고, 비처리의 경우는 0.98 mg/g까지 급속히 증가하였다. 그리고 현미의 진공포장에서도 산가 및 과산화물가 변화가 배아미 경우와 비슷하였다. 또한 진공포장 제품에 인위적으로 쌀벌레들을 넣은 경우 15일 지나면 산소부족으로 모두 사멸하였다. 따라서 개발한 진공포장기로 진공포장한 경우 배아미 및 현미의 품질을 잘 보존할 수 있었다.

Effects of Wrap and Vacuum Packaging on Shelf Life of Chilled Pork (랩포장과 진공포장이 냉장돈육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 고명수;양종범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14 no.3
    • /
    • pp.255-262
    • /
    • 2001
  • 랩포장 및 진공포장이 냉장 돈육이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돈육의 등심부의를 랩포장 및 진공포장한 후 냉장저장하면서 저장기간에 따른 세균수,휘발성 염기질소, pH, 보수력 드립감량, 가열감량 및 경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랩포장의 경우 일반세균수는 저장 10일에 2.0$\times$$10^{7}$ CGU/㎤의 수준에 달하였고, 휘발성 염기질소 함량은 저장 15d일에 26mg%로서 식육의 부패수준인 20mg%를 초과하였으며 , pH는 저장 7일 이후 급속하게 증가되어 저장 10일에 5.98의 수준이었다. 반면에 진공포장의 경우에는 일반세균수가 저장 30일에 7.7$\times$$10^{6}$ CGU/㎤의수준에 달하였고, 휘발성 염기질소 함량은 저장 30일에 19.8mg%로서 부패수준인 20mg%에 근접하였으며, pH는 저장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매우 완만하게 증가되어 저장 30일에 pH5.75의 수준이었다. 보수력은 저장 1일에는두 시험구가 75.0%의 수준으로 비슷하였으나, 저장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랩포장이 진공포장에 비해 급속하게 증가되었다. 드립감량과 가열감량은 저장초기인 저장 7일까지는 진공포장이 랩포장에 비해 다소 높은 수준이었으나 그 이후에는 랩 포장이 높은 수준이었다. 경도는 두 시험구 모두 저장 1일에 가장 높았고, 저장 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점차 저하되었으며, 랩포장에 비해 전공포장이 비교적 완만하게 저하되었다.

  • PDF

진공포장이 배아미와 현미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 김재연;정종훈;이종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10a
    • /
    • pp.191-191
    • /
    • 2003
  • 쌀에 함유된 지방질은 가공 처리 중 쉽게 가수분해나 산화를 일으켜 이취 또는 불쾌한 맛을 생성하여 밥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산화를 억제시키기 위해서는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목적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쌀의 저장기간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배아미와 현미를 진공포장한 후 실온에서 보관하면서 14주 동안 2주마다 과산화물가와 산가를 분석하여 산패도를 측정하였다. 비포장 현미와 배아미의 과산화물가는 처음 4주동안은 모두 6∼9 meq/kg정도로 차이가 없었지만, 현미의 경우에는 6주후에는 배아미보다 산패가 빨리 진행되어 휘발성 물질의 생성에 따라 이취미가 나기 시작하였다. 진공포장한 현미와 배아미는 지방질 함량의 차이 때문에 초기에는 과산화물가 0.3 meq/kg정도의 차이가 있었고, 저장과정 중에는 과산화물가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산가(유리지방산)의 양도 비포장한 배아미와 현미의 경우에는 저장기간중 0.5 mg/g정도의 차이가 있었지만, 진공포장을 한 경우에는 8주 동안에는 큰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10주후 부터는 0.6 mg/g정도의 차이를 나타냈다. 본 실험으로 배아미와 현미를 진공포장할 경우 비포장하였을 때보다 산패가 억제되어 10주 정도의 저장기간이 연장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Study on the technique improvement of vacuum packaging for rice exported (수출 쌀 진공포장기술 개선 연구)

  • Choi, Dongsoo;Park, Seokho;Kim, Jinse;Kim, Yonghun;Lee, Sujang;Park, Jongwoo;Park, Cheon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00-100
    • /
    • 2017
  • 2016년부터 중국에 수출한 진공포장 쌀이 진공이 풀려 중국 현지 소비자들에게 품질에 대한 신뢰저하로 외면 받아 판매에 어려움을 겪었다. 진공풀림 원인은 주로 포장재의 모양, 과열 열접착 및 운송 중 부주의 등을 들 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쌀 진공포장 후 진공 풀림현상이 발생되는 원인을 분석하고, 진공포장에 적절한 포장재 및 취급조건에 대해 구명하여, 중국 쌀 수출 시 품질신뢰도 및 경쟁력 제고로 쌀 수출 확대를 위해 진공 포장재, 진공포장기술 및 운송 취급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미곡종합처리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플라스틱 필름 포장재의 적합 여부를 살펴보기 위하여 산소투과도 및 투습도를 산소투과도 측정장치(OX-Tran Model 2/61, Mocon, USA), 투습도 측정장치(Permatran-W Model 3/33, Mocon,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적정 열접착 온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열접착 작업시간 간격 3, 5, 10초 3수준으로 하고 가열시간을 0.2초~2초까지 9수준으로 설정하여 포장필름을 열접착한 후 접착상태를 조사하였다. 진공 포장된 쌀을 골판지상자에 2차 포장하여 운송할 때 진공풀림 현상이 발생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가상 운송시험을 진동시험 장치를 이용하여 수직 및 수평으로 진동시험을 수행하였으며, 또한 취급조건에 따라 진공풀림을 조사하기 위하여 골판지 상자단위, 비닐포장 단위로 50, 70, 90cm 높이에서 낙하 시험을 하고 진공풀림여부를 조사하였다. 유통 중인 쌀 진공 포장재는 나이론(nylon)+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복합필름으로 산소투과도가 $30{\sim}70cc/m^2{\cdot}day$, 투습도가 $2{\sim}4.5g/m^2{\cdot}day$로 산소투과도 및 투습도가 충분히 낮아 진공포장재로 적합했으며, 적정 열접착온도 조건은 $130{\sim}150^{\circ}C$에서 1~1.5초가량 가열해야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진동시험 및 낙하시험결과, 골판지박스 포장 시 완충재를 사이에 넣은 경우 진골풀림이 적었고, 상자단위나 비닐포장단위 모두 가능한 50cm보다 높은 곳에서 낙하충격을 받지 않도록 취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한우고기 극상근(supraspinatus m.)의 냉장 저장 중 포장방법에 따른 품질 및 저장성에 관한 연구

  • Lee, Hyeon-Jeong;U, Ji-Seon;Jeong, Gu-Yong;Kim, Hyeo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5.10a
    • /
    • pp.221-224
    • /
    • 2005
  • 본 연구는 한우 앞다리살 부위육인 극상근(supraspinatus m.)의 포장방법(일반포장, 진공포장, 가스포장)에 따른 냉장 저장 중 품질변화를 살펴보았다. 포장방법에 따른 pH 변화는 차이가 없었으며, TBA는 대조구의 경우 저장 15일에 가식권을 넘었으나 진공포장과 가스포장구는 저장 25일째에도 산패도에 대한 큰 영향은 미치지 않았다. 포장감량은 진공포장, 대조구, 가스포장의 순으로 높았으며, 경도는 처리구 중 가스포장구가 가장 낮았다. 따라서 극상근의 연도와 저장성을 고려 할 때 가스포장이 적합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a Vacuum Packaging Machine for Peeled Onions (진공식 탈피양파 포장기 개발)

  • 박종률;이영희;조남홍;최승묵;김재규;김희대;오교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3.07a
    • /
    • pp.327-333
    • /
    • 2003
  • 최근 간편함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소비형태 변화로 세척, 박피, 절단 등 가정식 대체식품(HMR)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양파는 껍질을 벗겨야 하는 불편함 때문에 소비촉진에 한계가 있었으나, 최근 백화점, 대형할인점 등에서는 껍질을 벗긴 양파를 2개 또는 3개씩 진공 포장한 것이 유통되고 있다. 진공포장기법은 제품의 위생적 보관이나 신선도의 장기간 유지를 위해 식품포장 등에 널리 이용되는 기술로 탈피한 양파를 진공포장하면 포장봉지내에 산소가 거의 없기 때문에 미생물의 발육이 억제되어 유통 중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중략)

  • PDF

염절임 가지(시키부, Shikibu)의 저장방법에 따른 성분 변화

  • 남학식;홍주연;김남우;엄영철;신승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10a
    • /
    • pp.195-195
    • /
    • 2003
  • 본 연구는 수출방법의 개선과 절임 가공식품의 개발하고자 일본 수출용 시키부(Shikibu) 염절임 가지의 저장방법과 저장중에 당류, 유기산 및 아미노산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총당 및 환원당 함량은 저장방법에 관계없이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조금씩 감소하였고, 침지 저장한 것보다는 진공포장하여 저장한 것이 변화가 적었다. 가지에서 분리 정량된 유기산은 acetic acid, citric acid, lactic acid, malic acid 그리고 succinic acid 총 5종이었으며 acetic acid와 mal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저장 초기에 비해 acetic acid의 함량은 증가하였는데 반해 malic acid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가지의 주요한 구성아미노산은 valine, leuc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proline, alanine 등이었으며,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저장 초기에 비해 진공포장하여 저장한 방법에서는 감소하였다가 증가하였는데 반해 침지하여 저장한 방법에서는 계속 증가하였고 저장 20일째에는 진공포장한 방법보다 l00mg/100g 정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유리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alanine, cystine과 proline등의 함량이 높았고,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저장초기에 비해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증가하였는데, 특히 진공 포장하여 저장한 가지에 비해 침지 저장 한 가지에서 그 함량이 높았다. 또한 아미노산 유도체의 함량은 phosphoserine, taurine, ${\gamma}$-aminoisobutyric acid 및 hydroxyproline의 함량이 높았고, 저장중에 phosphoserine의 함량은 감소하였는데 반해 ${\gamma}$-aminoisobutyric acid는 진공포장하여 20일 동안 저장하였더니 생가지 보다 5배 이상의 증가를 보였다. 스키부품종의 절임가지의 저장방법과 저장기간에 따른 성분의 변화를 고려할 때 축양품종과 동일하게 진공포장하는 것이 절임가지의 품질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ffects of Packag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Korean style Beef and Pork Jerky During storage (포장방법에 따른 한국형 우육 및 돈육 육포의 저장중 품질 특성)

  • Choi, Yun-Sang;Jeong, Jong-Youn;Choi, Ji-Hun;Han, Doo-Jeong;Kim, Hack-Youn;Lee, Mi-Ai;Paik, Hyun-Dong;Kim, Cheon-Jei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23 no.5
    • /
    • pp.579-588
    • /
    • 2007
  • The effects of packag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beef and pork jerky samples prepared Korean- style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their pH, water activities ($A_w$), thiobarbituric acid (TBA) values, total bacterial counts, and sensory evaluations during storage at room temperature ($25^{\circ}C$ for 90 days. The jerky was subjected to plastic packaging and vacuum packaging conditions at $25^{\circ}C$ Levels of pH slightly decreased during storage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ackaging methods. (p>0.05) Also, water activity decreased as storage time passed (p<0.05), and vacuum packaging resulted in a higher water activity value than plastic packaging. The hardness value of the jerky in plastic packaging was higher than that in vacuum packaging (p<0.05). In addition, hardness and TBA increased over the storage periods (p<0.05). The total bacterial counts in of the vacuum packaged jerky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plastic packaged jerky. The vacuum packaging treatments had higher scores than the plastic packaging treatments for all sensory traits. Based on our findings, we conclude that vacuum packaging is a more effective storage method than plastic packaging for jerk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