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an Automatic Packer Using Vacuum Packaging and its Effects on the Rice Quality

  • Yan, T.Y. (Graduate Student, Dept. of Biosystems and Agricultural Engineering, Inst. of Ag. Sci. and Tech.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Chung, J.H. (Dept. of Biosystems and Agricultural Engineering, Inst. of Ag. Sci. and Tech.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Rhee, C.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Inst. of Ag. Sci. and Tech.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4.04.01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배아미, 현미, 가능성쌀들 및 진공을 요하는 식품의 품질을 보존하기 위해서 연속식 자동진공포장기를 국내 최초로 개발하였다. 배아미의 진공포장 성공률은 92.6%이었고, 실패율 7.4%에서 진공포장기 자체에서 불완전 테이핑의 밀봉작업으로 진공이 서서히 풀리는 경우가 5.5%, 그리고 진공하기 전 자동비닐포장기에서 포장시 봉지 윗부분 밀봉이 불완전해 1.9%가 진공이 풀렸다. 이에 개발한 자동진공포장기의 진공포장성공률은 약 94.5%수준이었다. 진공포장기로 진공시간에 따른 진공압력을 측정하였고, 배아미 2, 3, 5 kg를 진공포장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각각 6, 8, 11초이었다. 진공포장으로 처리한 배아미와 진공포장 처리하지 않은 배아미를 각각 3재월간 저장실험하여 백도, 함수율, 과산화물가, 산가를 저장기간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백도는 진공처리가 2 감소, 비처리가 4 감소하였고, 함수율은 진공처리가 0.8%감소, 비처리가 1.3%감소, 과산화물가는 진공처리가 최대 1.89 meq/kg까지 서서히 증가하였고, 비처리가 3.45 meq/kg까지 급속히 증가하였다가 서서히 감소하였다. 산가 역시 진공처리가 최대 0.71 mg/g까지 서서히 증가하였고, 비처리의 경우는 0.98 mg/g까지 급속히 증가하였다. 그리고 현미의 진공포장에서도 산가 및 과산화물가 변화가 배아미 경우와 비슷하였다. 또한 진공포장 제품에 인위적으로 쌀벌레들을 넣은 경우 15일 지나면 산소부족으로 모두 사멸하였다. 따라서 개발한 진공포장기로 진공포장한 경우 배아미 및 현미의 품질을 잘 보존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AOCS. 1973. Official and Tentative Method. American Oil Chemist Society, Illinois, U.S.A
  2. Barber, S. 1972. Milled rice and changes during ageing. In 'Rice: Chemistry and Technology"(D. F. Houston,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innesota, U.S.A
  3. Calderon, M. and R Barkai-Golan. 1990. Food Preservation by Modified Atmospheres. CRC Press, Inc., England
  4. Erdman, G., G. N. Sandor and S. Kota. 2001. Mechanism Design Analysis and Synthesis. 4^{th} Edition, Prentice-Hall, Inc
  5. Hosokawa, A., T. Ban, J. Yokosawa, H. Yanase and S. Chikubu. 1995. Rice Post-Harvest Technology. THE Food Agency,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Japan
  6. Houston, D. F. 1972. Rice Chemistry And Technology.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Inc
  7. Kim, S. K. and E. J. Cho. 1993. Effects of storage temperatures on the physicochemcial properties of milled rice.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Chemical Society. 36(3):146-153.(In Korean)
  8. Murcia, M. A., M. Martinez-Tome, M. C. Nicolas and A. M. Vera. 2003. Extending the shelf-life and proximate composition stability of ready to eat foods in vacuum or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Food Microbiology, 20:671-679 https://doi.org/10.1016/S0740-0020(03)00013-3
  9. Van, T. Y, J. H. Chung, J. U. Rhee and K. H. Lee. 2003. Development of a continuous auto vacuum packer using virtual prototyping - Kinetic Analysis -. Proc. of the KSAM 2003 winter conference, 8(1):118-124.(In Korean)

Cited by

  1. End-use quality characteristics of hermetically stored paddy vol.59, 2014, https://doi.org/10.1016/j.jspr.2014.07.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