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직장 여성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27초

안경사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Job Stress of Opticians)

  • 황해영;김현목;김인수;손정식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0
    • /
    • 2013
  • 목적: 울산지역 안경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측정하고, 해당 요인의 부하와 관계된 영향요소가 무엇인지를 평가하고자 한다. 방법: 울산 지역에 근무하는 안경사 1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를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 '직무스트레스요인 측정지침(KOSHA code H-42-2006)'으로 제시한 한국형 직무스트레스 요인 측정 도구(이하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직무스트레스 요인 평가 결과 평가 점수의 성별 중위수 값을 한국 근로자 참고값과 비교해 볼 때 8개의 스트레스 요인들 중 남, 여 모두 관계갈등(참고값; 남, 여 33.4, 측정값; 남성 38.3, 여성 41.5)과 직장문화(참고값; 남, 여 41.7, 측정값; 남성 47.4, 여성 49.3)에서 한국 근로자 참고 값 평균보다 높은 스트레스 부하를 나타내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관계갈등에서는 직책이 낮고, 근무시간이 길수록, 미혼인 경우, 평균 급여가 작을수록 관계갈등에 대한 스트레스 부하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문화에서는 최종학력이 낮을수록, 휴무일수가 적을수록,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평균 급여가 적을수록, 근무시간이 많을수록 직장문화에 대한 스트레스 부하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결과들을 살펴볼 때 안경사의 주요한 직무스트레스 요인인 관계갈등과 직장문화 영역의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관리를 위해서는 안경사의 처우개선과 직장내에서 상호 수평적인 의사소통 체제를 통하여 긍정적인 조직문화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라 하겠다.

체류자 아내/어머니로 살아가기: 싱가포르 거주 한국인 기혼 직장 여성의 일과 가족 양립 문제에 대한 탐색적 연구 (Living as expatriate wives/mothers: Balancing work and family issues among Korean working women in Singapore)

  • 김지훈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1권1호
    • /
    • pp.217-248
    • /
    • 2011
  • 이 글은 싱가포르에 거주하는 한국인 기혼 여성을 대상으로 영구 이민이 아닌 체류이주 맥락에서 일과 가족 양립 문제의 어려움과 그 대응전략을 살펴보는 탐색적 질적 연구이다. 지난 십여 년간 꾸준히 증가한 해외 거주 한국인 중장기 체류자(sojourner)의 수는 2007년 기준으로 1백5십만 명을 넘어섰다. 그 중 상당수는 한국계 기업 파견 직원('주재원')이나 비한국계 다국적기업 혹은 현지기업 종사 이주자로 파악된다. 고학력 전문 기술직 이주자(highly educated professional/high skilled migrant)에 대한 연구가 매우 드문 한국의 맥락에서, 전문 기술직 체류자 중심으로 이주 한국인 사회가 구성된 싱가포르는 전문 기술직 이주자의 일과 가족 양립 문제뿐만 아니라, 체류자 사회(expatriate community) 전반적인 연구의 중요한 대상지로서의 장점이 크다.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체류자로서 외국에서 일하며 살아가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특히, 이러한 맥락에서 기혼 여성의 일은 어떠한 의미를 지니며 어떠한 대응전략을 마련하는가? 이 연구는 2006년부터 2007년 사이 수행한 전일제 전문직종 종사자, 파트타임 종사자, 전업주부 등 자녀를 둔 26명의 기혼 여성에 대한 심층면접 자료에 근거하여, 아내이자 어머니로서의 일과 가족 양립에 관한 체험적 경험(lived experience)을 탐색적으로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일제 전문직 종사자의 경우 가정친화적 근무 환경을 갖춘 직장으로의 이직, 남편과의 야간근무 조정 등을 포함한 다양한 전략들을 채택하였다. 파트타임 종사자의 경우 과거 한국에서 전일제 근무를 경험하고 현재 상대적으로 경제적 여유가 있는 경우는 전일제 근무로부터 벗어나는 '일시적 행복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 비교적 경제적 여유가 없는 경우, 어머니 역할 부족을 발견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이러한 어머니로서의 역할은 친지를 비롯한 한국어 구사를 할 수 있는 가사 보조 네트워크가 결핍된 체류이주 맥락에서 일하며 살아가는 것에서 있어, 비교적 쉽고 저렴하게 가사노동자를 고용하더라도, 어머니로서의 역할을 보조하는 데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생각을 확인시켜준다.

취업준비 고등학생을 위한 성희롱 예방 표준교육내용 및 방법 개발 : 델파이 기법을 활용 (Development of Standard Contents and Methods of the Prevent Education of Sexual Harassment in High School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Using Delphi Method)

  • 구민욱;박완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82-94
    • /
    • 2018
  • 취업을 선택하는 취업준비 고등학생 인구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2015년 여성가족부의 직장 내 성희롱 실태 조사에 따르면 직장 내 성희롱 피해경험자의 연령대별 l위가 20대로 나타나, 직장생활에 입문하게 되는 취업준비 고등학생들은 직장 내 성희롱 대상의 취약 연령대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취업을 앞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을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성희롱예방 표준교육 내용과 방법을 개발하여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델파이조사의 전문패널은 학교 성교육 및 취업담당 전문가 30명으로, 구조적인 델파이 방법의 의견수렴과 합의과정을 통해 도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0.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문항별 가중치 순위, Kendall's W 순위, 적절성을 분석하였다.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한 교육내용과 방법의 정제 결과, 5개 영역 140개의 내용에서 최종적으로 3개 영역의 37개 표준교육내용과 방법이 최종 선정되었다. 교육부 학교성교육표준안 및 2015 개정교육과정의 고등보건교과 성교육 영역, 고용노동부의 성희롱예방 대응매뉴얼의 지침과 서로 비교분석하여 본 연구 결과의 차별성을 제시하면서 취업준비 고등학생의 직장 내 성희롱 예방을 위한 교육계획 수립을 위한 학문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3.0시대 건강수명 120세를 위하여 3 - 한여름 무더위에도 손발은 꽁꽁 수족냉증 극복하기

  • 손지혜
    • 건강소식
    • /
    • 제38권8호
    • /
    • pp.14-15
    • /
    • 2014
  • 인터넷 검색창에 '수족냉증'을 쳐보면 의외의 결과에 놀라게 된다. 보통 여성들이 출산 후 산후조리를 소홀히 해 손과 발이 시린 수족냉증을 호소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사실 수족냉증은 10대 청소년부터 혈기왕성한 대학생, 직장 남성까지 매우 다양한 연령대의 환자들이 고통받고 있는 생활형 질병이다.

  • PDF

조직 속 개인 위한 직장인 실용가이드

  • 이성수
    • 출판저널
    • /
    • 통권138호
    • /
    • pp.15-15
    • /
    • 1993
  • 명함은 오른손으로 주고 왼손으로 받으며 항시 두 손을 포개야 한다는 것이나, 업무전화는 건쪽에서 먼저 끊는다는 예의는 이제 상식이다. 그러나 상식을 자칫 모르고 있거나 알고 있다고 해도 가끔 잊는 직장인들을 위한 예절교양도서가 독자들의 손을 기다리고 있다. 신입사원, 여성사원을 위한 예절서의 대략을 살펴본다.

  • PDF

사회적 기업에서 활동하는 결혼이주여성의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Empowerment Program Development and Effects for Internationally Married Women in Social Enterprises)

  • 김효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528-543
    • /
    • 2016
  •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에서 활동하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구성한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 이해, 양육문제에 대한 합의 능력, 사회적 기업 및 기업문화에 대한 학습, 직장 내 갈등 및 스트레스 대처기제, 직무역량 향상을 위한 문제해결, 의미 있는 삶을 추구하는 결혼이주여성의 모습이라는 프로그램 목표를 갖춘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개발, 각 10인으로 구성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실시하고 그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검증결과, 사회적 기업에서 활동하는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역량강화 프로그램은 자아정체감, 자기효능감, 대처기제능력 및 사회적 문제해결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결혼이주여성 역량강화 프로그램에 대한 논의 및 정책적 제언이 소개되었다.

기혼 직장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HRQOL) in Married Working Women)

  • 손연정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22-435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HRQOL for married working women.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77 full-time working married women living in five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April to September 2006. Results: A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HRQOL(total) according to age, education, menopause, family income, leisure activities, residence, duration of marriage, number of children, firstborn age, household duties of husband, job, career, type of work, women's income, and purpose of working. The level of HRQOL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BMI and behavioral factors except for caffeine intake and follow up health screening. The HRQOL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marital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HRQOL were significantly predicted by depression, marital satisfaction, education, regular exercise, daily working hours and job satisfaction. These variables explained 48.5% of the variance of HRQOL. Depression was the main predictor of HRQOL. Conclusion: It could be concluded that nursing intervention to reduce depression should be developed to promote the HRQOL for married working women.

  • PDF

여대생과 직장여성들의 사회적지지, 우울, 음주, 흡연에 대한 비교 연구 (Social Support, Depression, Drinking and Smoking in College and Working Females)

  • 김옥수;김계하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63-372
    • /
    • 2001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social support, depression, drinking and smoking in college and working females. The convenience sample consisted of 169 college females and 133 working females.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May, 2000. Social support was measured by the 6-item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which assesses the size of the emotional social support network and satisfaction with social support.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was utilized to measure the level of depression symptoms. The average number of drinks and cigarettes smoked per week during the previous month was assessed. Results indicated that college students had more social support than working female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their support, depression, drinking and smoking between two groups. College females who smoked cigarettes were more depressed and had less social support than those who did not smoke. Also college females who drank alcohol were more depressed than those who did not drink during the previous month. However, the level of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were not associated with drinking and smoking among working females. Based on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e application of various interventions to deal with drinking and smoking behavior among college and working females.

  • PDF

직장여성의 육아경험 - 1세 이하 유아를 중심으로 - (The Lived Experience of Working Women Raising Children)

  • 이내영;구미지;김소희;김영미;장경오;김영혜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3권3호
    • /
    • pp.329-337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scribe the essential structure of the lived experience of working women raising children.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10 employed women with children who were under 2 years of age.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done using the phenomenological analytic method suggested by Colaizzi (1978). Results: In this study, 6 essential themes were extracted: 'knowing by intuition child-rearing is difficult', 'having guilt-conscious of not being able to perform duties as a mother', 'hard work of maintaining two jobs', 'Lost self', 'realizing that one has become amother', 'thirsting for a social support system'. Conclusion: With a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working wome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n the field of nursing is in understanding the child-rearing experience of working women. The findings indicate the need for a systemic and emotional support system for working women raising childre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