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직업활동

검색결과 552건 처리시간 0.028초

간호대학생의 봉사활동, 자아존중감 및 직업존중감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olunteering, Self-esteem and Job-esteem on Major Satisfaction among Nursing Students)

  • 신미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1024-1035
    • /
    • 201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봉사활동, 자아존중감 및 직업존중감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전라남북도에 소재한 2개 대학교의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1~4학년 3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봉사활동은 대상자의 34.8%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은 성별, 종교, 경제상태, 학교생활만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직업존중감은 종교와 학교생활만족에서 전공만족도는 학년, 경제상태, 학교생활만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봉사활동 특성에 따른 자아 존중감은 봉사활동만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직업존중감은 봉사활동경험과 봉사활동횟수에서 그리고 전공만족도는 봉사활동횟수, 봉사활동일, 봉사활동만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교생활만족, 자아존중감, 직업존중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교생활만족, 자아존중감 및 직업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Career Attitude Maturity in Middle School Students)

  • 최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07-316
    • /
    • 2015
  • 본 연구는 중학생의 진로직업의식, 학교진로활동참여, 학교진로활동만족도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를 파악하며 학교진로활동 활성화 및 진로태도성숙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집된 301명의 자료는 SPSS 18.0을 통해 기술통계, t분석, ANOVA,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진로태도성숙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으며, 진로와 직업의식에 대해 생각을 자주할수록 진로태도성숙 수준이 높았다.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성별, 진로직업의식, 진로활동만족도로 나타났다. 이에 성별간 차별화되고 개개인의 욕구에 부합하는 진로활동 프로그램 및 진로와 직업의식 향상을 위한 정보제공이 요구된다.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직업선택요인 및 취업준비활동간의 관계연구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dentity, Career Choice factors and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of College Students)

  • 한미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214-220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직업선택요인 및 직업준비활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KCYPS) 중 1패널 7차년도 2016년 자료인 대학생들(2091명)을 선정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SPSS 21.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 자아정체감은 직업선택요인과는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취업준비활동과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은 직업선택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업준비활동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진출이 과업인 대학생들을 위하여 자아정체감의 확립 뿐만 아니라 직업선택과 취업준비활동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구체화되고 체계적인 프로그램 및 교육이 활성화 되기를 기대하며 이에 대한 중요성을 시사하고자 한다.

정신적 장애인의 소득수준과 직업능력에 따른 취업욕구 (Employment Needs of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 Centering on Income and occupational ability Variables)

  • 박효은;최만규;이현경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3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87-388
    • /
    • 2013
  • 본 연구는 정신적 장애인의 소득수준과 직업능력에 따른 취업욕구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취업 활성화를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8년~2010년 장애인 고용패널조사'에 3년간 참여한 정신적 장애인 298명(가중빈도적용:154,348명)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직업교육을 희망하는 정신적 장애인이 남성, 중졸 이상, 자격증 소지자, 그리고 정신적 장애인 유형중 지적장애일때 교육참여 희망률이 높았다. 한편, 취업의사를 가진 정신적 장애인은 남성, 가구주, 중졸이상, 자격증 소지자, 육체활동 능력이 높아질 때, 그리고 정신적 장애인 유형 중 자폐장애일 때 취업의사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정신적 장애인의 경제활동참여를 높이기 위하여 정신적 장애인의 의사를 반영한 직업재활서비스제공, 사업주 주도적 직업활동을 제안하였다

  • PDF

대학생의 전공관련 봉사활동이 공동체 의식과 직업가치관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Major-related Voluntary Services on Community Spirit and Occupational Values of University Students)

  • 강수경;김다혜;김선혁;노시홍;신민규;신혜인;윤효정;임동욱;오명화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75-184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전공관련 봉사활동이 공동체 의식과 직업가치관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전라도에 소재한 D대학교에 재학중인 학생 566명을 대상으로 2017년 09월 06일부터 09월 13일까지 공동체의식과 직업가치관대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가 기입방식으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봉사활동참여 유무는 성별, 학년, 계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전공관련 봉사활동은 계열에 따라서만 차이가 있었다. 봉사활동 참여유무에 따른 공동체의식과 직업가치관을 살펴본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전공관련 봉사활동 참여유무에 따른 공동체의식과 직업가치관은 직업가치관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대학생들의 전공관련 봉사활동을 포함한 봉사활동 참여의 확대를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정신적 장애인의 경제수준, 직업능력 및 취업욕구관련 분석 (Employment Needs of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 Centering on Economic Status and Occupational Ability Variables)

  • 이현경;박효은;최만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265-277
    • /
    • 2013
  • 본 연구는 정신적 장애인의 경제수준과 직업능력에 따른 취업욕구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직업재활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는 2008년부터 2010년 까지 장애인 고용패널조사에 3년간 참여한 정신적 장애인 298명(가중빈도적용:154,3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직업교육 참여희망은 남성일 때, 중졸 이상일 때, 자격증을 보유했을 때, 그리고 장애유형중 지적장애일 때 직업교육 참여희망이 높았다. 한편, 취업의사 관련요인은 남성일 때, 가구주일 때, 중등교육 이상 이수하였을 때,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을 때, 육체활동 능력이 높아질 때, 그리고 장애유형 중 자폐장애일 때 취업의사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정신적 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를 높이기 위하여 정신적 장애인의 의사를 반영한 직업재활 서비스제공 및 사업주 주도적 직업활동 등을 제안하였다.

고령자의 고용가능성 제고를 위한 직업훈련 참여 강화 방안 (Approaches to Enhance Older Adults' Employability through Vocational Training)

  • 문한나;홍성표;강선애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203-214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65세 이상 고령자의 직업훈련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고령자의 고용가능성 제고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고령층의 학력과 경제활동 상태가 직업훈련 참여에 영향을 미치며, 경제활동과 직업훈련은 고령자의 역량 개발과 고용가능성 증진에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령자 중 상당 수가 근로를 계속 희망하며 이들의 경우, 직업훈련에 더 많이 참여하는데, 이는 고령자의 직업훈련 참여를 촉진하고 적합한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정책적으로 중요함을 시사한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성별, 학력, 경제활동 여부, 근로 희망, 연금 수령액이 직업훈련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를 통해 정부 지원 정책이나 저학력 고령자를 위한 구체적 대책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금 수령액이 낮을수록 직업훈련 참여를 촉진하는 접근이 요구된다는 점도 본 연구의 중요한 시사점이라 할 수 있다.

중년층의 직업특성과 활동특성이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Occupation and Activity Nature of the Middle-Aged on Retirement Preparation)

  • 신계수;조성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296-312
    • /
    • 2011
  • 급속한 저출산과 고령화 추세를 보이고 있는 우리나라는 IMF 외환위기 이후 저성장과 저금리가 장기적으로 지속되면서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여건에서 현재 중년층은 다가올 노년기에 대비하기 위해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 은퇴준비를 체계적으로 해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업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년층의 직업특성과 활동특성이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 은퇴준비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수도권과 충청권 지역의 회사원, 공무원, 자영업, 전문직에 종사하는 30~50대 344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이 높고 건강이 좋을수록 직장에서의 역할이 안정적이고 여가활동을 많이 할수록 신체적 준비를 더 많이 하고 있었다. 둘째, 남성에 비해 여성이 직장동료와 좋은 관계를 유지할수록 직업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고 여가활동을 중요시할수록 심리적 준비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신의 직장이 안정적이라고 인식하며 사회활동과 여가활동을 많이 할수록 사회적 준비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을수록 경제적 준비 정도가 높았지만 직업특성과 활동특성은 경제적 준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은퇴준비가 직업 특성과 활동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주며, 향후 중년층의 은퇴준비를 위한 구체적인 정책과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준비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직업교육훈련을 위한 플립러닝 기반 교육모델 개발 (Development of Flipped Learning-based Educational Model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 위영은;정효정;임정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37-4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 교육훈련을 위한 플립러닝 기반 교육모델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 연구를 토대로 해당 직종에서의 플립러닝의 정의, 단계별 주요 학습활동, 운영 전략을 포함하는 교육모델을 도출하였다. 또한 HRD 및 직업교육훈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적용 모델에 대한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2차례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유효성이 확인되었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직업교육훈련을 위한 플립러닝 교육모델은 사전학습-본학습-사후학습의 3단계로 구성되며, 사전학습 단계는 온라인 강의 수강-간단한 과제 수행, 본 학습 단계는 도입활동-능동적 학습활동 및 코칭-디브리핑 강의, 사후학습 단계는 개별 성찰-추가과제 수행 활동을 포함한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교육모델은 직업교육훈련의 목표에 따라 유연하게 확장가능하며, 연계성과 훈련성과 향상에 초점을 두고 개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