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직업의 의미

검색결과 318건 처리시간 0.027초

미국작업치료학회지(AJOT)에 나타난 직업재활에 관한 연구동향 (Research Trend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Through Analysis of Studies i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 노동희;조은주;감경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436-444
    • /
    • 2017
  • 본 연구는 미국작업치료학회지(AJOT)에 게재된 연구를 바탕으로 작업치료 영역에서 직업재활과 관련된 연구동향을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2000년 1월부터 2016년 6월까지 미국작업치료학회지에 게재된 직업재활과 관련 있는 35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형태, 연구의 질적 수준, 연구대상자, 연구주제 등을 분류하여 기술적 통계를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연구형태에서는 종설과 메타분석이 8편(22.9%), 질적 및 자연주의적 연구가 7편(20%), 집단비교 및 상관관계연구, 실험 및 결과연구는 각 4편(11.4%), 사례 연구 및 단일대상연구, 설문조사는 각 3편(8.6%)순으로 나타났으며, 질적 수준은 level V 14편(40.0%), 연구 대상자의 진단명은 정신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7편(33.3%)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주제별 분류 및 결과에서는 직업재활 과정과 관련된 연구 25편(71.4%), 일의 의미 및 가치에 관련된 연구 10편(28.6%)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미국의 작업치료 분야에서 직업재활과 관련된 주요 연구동향과 대상자, 연구형태, 질적 수준을 알 수 있었고 추후 국내에서도 직업재활과 관련하여 질적으로도 높고, 다양한 질환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아울러 직업재활의 과정과 일의 의미 및 가치에 대한 연구도 수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직업 이동성증대 시대의 뉴서비스러닝 연구 (A Study of New Service Learning in the Age of Increasing Occupational Mobility)

  • 김종열;김현수
    • 서비스연구
    • /
    • 제8권3호
    • /
    • pp.51-62
    • /
    • 2018
  • 본 연구는 기존 교육 시스템에 대한 여러 진화와 대안을 살펴보고 최근의 서비스경제 시대까지 진화되어온 교육의 발전과 2016년 세계경제포럼(WEF)의 인간역량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까지 포괄하는 보다 구체적인 교육시스템의 단계를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제4차 산업혁명의 급속한 전개에 따라 직업의 의미가 변화하고 있다. 향후의 직업교육은 직업 이동이 빈번하게 일어날 것을 예상하면서 그에 맞는 교육방법론을 채택할 필요가 있다. 새로운 교육 방법론은 이전에 없던 기술이 기존의 문화와 충돌하면서 다양한 융합이 일어나는 현상을 대비하는 모델이 필요하다. 그리고 산업과 사회의 문제를 실제 교육시스템에 연결하기 위하여 인간의 역량과 환경에 대한 고차원적 교육철학이 새롭게 요구된다.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에 따른 교육 수요 변화를 살펴보면서 직업 수퍼모빌리티시대의 새로운 교육시스템으로서 New Service Learning의 도입 필요성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개념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New Service Learning을 혁신성, 현대성, 지속가능성, 인문성, 기술성이라는 5개의 개념으로 나누어서 의미를 살펴보았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한 New Service Learning의 개념을 실증분석하여 연구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대졸 신입사원의 직업적 성공 귀인이 직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Attribution of Career Success on the Occupational Adaptation of College Graduate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 이혜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84-9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1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대졸 신입사원의 직업적 성공에 대한 귀인이 직업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귀인에 따라 자기효능감과 직업적응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적 성공에 대해 노력 귀인을 할 때 직장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업무만족도와 자기효능감에서도 노력 귀인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운 귀인을 할 때 직장만족도, 업무만족도, 자기효능감 수준이 가장 낮게 나타나 직업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Sobel-Test를 통해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직업적 성공에 대한 귀인과 직업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신입사원이 자신의 노력에 따라 직업적 성공이 좌우된다고 인지할수록 직무를 성공적으로 해낼 수 있다고 믿고,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더 많은 노력과 인내심을 가지고 적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기업에서 신입사원에게 직업적 성공에 대한 노력 귀인을 습득할 수 있도록 내재적 및 외재적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직업적응도를 높힐 수 있음을 시사한다.

퇴직 후 창의적 직업을 선택한 남성 노인의 직업적응 경험 (Vocational Adjustment in Elderly Men Who Chose a Creative Occupation after Retirement)

  • 이학승;전혜정
    • 한국노년학
    • /
    • 제39권2호
    • /
    • pp.261-284
    • /
    • 2019
  • 본 연구는 퇴직 후 창의적 직업을 선택한 남성 노인의 직업적응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그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창의적 직업을 희망하는 노인에게 구체적인 경험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퇴직 후 창의적 직업에 종사 중인 만 65세 이상의 남성 노인 총 5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하였다. 이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질적 내용분석을 하였고 그 결과, 총 132개의 개념과 25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7개의 범주는 <해방감이 이끄는 도전>, <'재미'에 대한 욕구의 반영>, <비전공자로서 느끼는 어려움과 한계>, <늘어나는 지출을 감당하기 위한 고민과 노력>, <성취를 향한 기쁨>, <자신의 창의성을 활용하는 방법>, <사회 참여의 확대에서 오는 보람>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나타난 창의적 직업의 적응 경험은 남성 노인의 잠재된 창의성이 발현되는 과정이었다. 이전에 느끼지 못했던 일하는 재미와 즐거움을 경험했고, 일을 수행하며 겪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사회 참여를 확대해 나아가는 일련의 과정은 창의적 노화의 목표와 부합한다. 우리나라에서 노년기 창의적 직업의 선택과 적응을 돕기 위해서는 퇴직전 창의적 직업 관련 교육의 필요성과 사회적 환경의 변화를 고려한 다양한 정책적 노력과 함께 실천적 노력이 요구된다. 나아가 우리나라 노인의 퇴직 후 새로운 삶을 위한 창의적 직업의 선택이 성공적 노화를 위한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의미분석법에 의한 과학자 이미지 측정도구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Tool for Measuring on a Scientist Image by the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 송영욱;최혁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8권1호
    • /
    • pp.63-73
    • /
    • 2024
  • 학습자들이 가지고 있는 교과관련 직업에 대한 이미지를 아는 것은 교사의 교수·학습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좋은 자료가 된다. 기존의 그리기 이미지 분석도구는 과학자의 외형적인 이미지 및 그림을 분석하는 데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의미분석법은 특정 대상의 이미지를 분석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의미분석법을 활용한 연구는 초창기 연구에서 사용한 형용사쌍을 연구 내용에 맞추어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시대 변화에 따른 용어나 요인들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의미분석법을 활용하여 중등학생의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중학생에게 적용하여 과학자 이미지 측정도구 활용의 유용성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한다.

이동보조기 사용에 따른 직업만족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중증과 경증 외부신체 장애자근로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Relation to the Use of Movement Assisters -Focused on a Comparison between Workers with Severe and Slight External Physical Disabilities-)

  • 심미영;안성아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71-76
    • /
    • 2012
  • 본 연구는 외부신체 장애근로자를 대상으로 이동보조기 사용에 따른 직업만족과 삶의 질의 차이를 장애유형에 따라 비교분석하고, 이동보조기 사용자의 직업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경증의 경우 일의 내용에서만 이동보조기 사용자의 직업만족이 높은 것과는 달리 중증의 경우 일의 내용, 근로환경, 근로시간, 발전가능성,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에 대한 만족이 높게 나타났으며, 삶의 질에서도 중증의 경우 가족, 거주지, 일에 대한 삶의 질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동보조기 사용자의 직업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결과, 직업만족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의미 있는 영향을 나타내어 직업만족이 높을수록 삶의 질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M전문가의 직업윤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nstruction Management Professionals' Vocational Ethics)

  • 김승진;권준범;이재욱;김한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89-98
    • /
    • 2012
  • CM시장의 성장은 CM전문가의 활동 영역을 확대시키는 긍정적인 기회와 함께 CM전문가 직업윤리의 확보 제고라는 도전도 함께 던지고 있다. CM전문가 직업윤리의 확보 제고는 개인적인 차원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CM기업적 산업적 차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논문의 목적은 CM전문가에게 요구되는 직업윤리의 중요도와 현재 수준을 비교 분석하여 주요 특징과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으며, 이를 위해 중요도-실행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기법을 분석 도구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발주자에게 성실하고 질 높은 CM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제공할 수 있는 CM역량을 보유하는 것이 CM전문가에게 요구되는 가장 중요한 직업윤리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 수준은 이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규모 및 직급에 따라 CM전문가의 직업윤리를 바라보는 시각에 유사점과 차이점이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학교밖 중도입국 청소년의 진로준비에 대한 현상학적 융합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Career Preparation Out of School)

  • 김민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49-258
    • /
    • 2020
  • 본 연구는 학교밖 중도입국 청소년들이 진로준비 경험을 통해 구성해 낸 진로준비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탐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대상은 서울시, 경기도, 충청도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학교밖 중도입국 다문화청소년 7명을 대상으로 심층적으로 인터뷰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9년 7월에서 2019년 9월 까지 행해졌으며 자료의 분석은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총 56개의 의미를 기반으로 하여 경험의 본질적 구조인 14개의 주제와 5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14개의 주제는 친구와 좋은 관계, 빠른 습득력, 배려하는 성격, 꿈이 없음, 꿈이랑 상관없는 취미 즐기기, 배움에 대한 두려움, 내 미래에 미치는 직업의 영향력, 진로에 미치는 어머니의 강력한 영향력, 모국어와 관련된 직업찾기, 진로에 대한 무개념, 자신의 관리를 못함, 돈많이 버는 직업 원함, 다이어트 노력, 시험에 대한 부담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도입국 청소년에게 진로준비에 있어 객관적 진로검사와 자신에 대한 탐색이 있어야 하고, 현실적인 직업의 개념과 진로행동을 유도해야 하며, 문화적 고려가 있어야 한다.

병원에 종사하는 의료기사 직종의 전문직업성과 조직성과 (The Medical Professionalism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Medical Technician in Hospital)

  • 임정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910-920
    • /
    • 2013
  • 본 연구는 35개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물리치료사, 방사선사, 임상병리사, 작업치료사 437명을 대상으로 전문직업성이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의료기사 직종 종사자들의 전문직업성은 직업에 대한 가치 구성변수 중 직무수행능력과 직무의미성 보수의 적절성 직무자율성이 성별과 연령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직무에 대한 영향력은 연령에 따라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조직성과 측정변수인 직장에 대한 애착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는 직업에 대한 가치 변수중 보수의 적절성이었다. 셋째, 직무특성 중 현 병원 근무년수가 높을수록 직장에 대한 애착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직종별로 살펴본 결과, 의료기사 직종의 조직성과(직장에 대한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전문직업성 변수들은 의료기사 직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자활직업훈련 사업의 임금 효과 분석 - Propensity Score Matching 방법으로 - (An analysis of the income impact of Self-Sufficiency training Program - by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

  • 안서연
    • 사회복지연구
    • /
    • 제37호
    • /
    • pp.171-197
    • /
    • 2008
  • 본 연구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 하의 조건부 수급자가 자활직업훈련 프로그램의 참여로 인해 임금이 향상되었는지에 관해 실증적으로 분석 하였다. 분석 자료로는 한국노동연구원에서의 자활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자활대상자 직업훈련 실태'조사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하는 2004년 '자활패널'조사 자료를 결합하여 '자활직업훈련 실태'조사의 응답자를 실험그룹으로'자활패널'을 비교그룹으로 구성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존 연구의 통계적 취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Propensity Score Matching 방법을 이용하여 자활직업훈련의 임금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활직업훈련 참가자들이 그와 비슷한 특성을 가진 비교그룹에 비해서 약 12만원 정도 소득이 낮음을 확인함으로써, 이러한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난 원인과 의미에 대해서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