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직업교육개혁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3초

중국 전문대학의 혼합소유제 개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ixed Ownership Reform in Vocational Colleges in China)

  • 조원;임령;이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87-94
    • /
    • 2022
  • 중국 직업대학의 혼합소유제 개혁은 직업교육 발전의 중요한 원동력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중국 직업교육개혁의 지침에 따라 현 단계의 전문대학 혼합소유제 개편의 운영방향을 논의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헌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전문대학의 혼합소유제 개혁의 필요성과 존재하는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문대학의 혼합소유제 개혁은 법률지원, 인센티브 제공, 평가제도 개선 등 측면에서 대책을 마련하여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전문대학의 혼합소유제 개혁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문제점을 분석하였으며 정책적 대책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실무적 의의가 있다.

탐방 - 공공직업교육 훈련의 산실, 한국폴리텍대학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통권239호
    • /
    • pp.67-73
    • /
    • 2010
  • 한국폴리텍대학 (Korea Polytechnics)은 지난 2006년 새로운 직업교육 패러다임과 미래지향적이며 역동적인 이미지, 한국을 대표하는 직업교육훈련기관이라는 개혁 의지로 새롭게 출발했다. 1968년 "중앙직업훈련원"으로 출발. 2006년 기능대학 및 직업전문학교 통폐합을 거쳐 현재 전국 35개 캠퍼스를 갖춘 대한민국 대표의 직업교육훈련기관이 되었다. 본지는 기능교육의 산실인 한국폴리텍대학의 전반적인 현황과 설비관련학과 교육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 PDF

입력수급전망(入力需給展望)과 고등교육(高等敎育) 개혁과제(改革課題)

  • 이주호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16권4호
    • /
    • pp.3-25
    • /
    • 1994
  •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인력계획(人力計劃)을 위한 인력필요량(人力必要量) 예측(豫測)에 초점(焦點)을 맞추기보다는 인력공급전망(人力供給展望), 인력수요분석(人力需要分析), 수급간(需給間) 상호관계(相互關係)등에 주목함으로써 고등교육제도(高等敎育制度)의 개혁과제(改革課題)를 도출(導出)하고자 하였다. 인력공급(人力供給) 측면에서는 2000년대 고졸자의 격감(激減)을 전망(展望)하고 이에 근거(根據)하여 대학교육(大學敎育)에 대한 초과수요(超過需要)를 전제로 하였던 규제위주(規制爲主)의 교육제도(敎育制度)의 근본적인 변화(變化)가 요구됨을 보인다. 인력수요(人力需要) 측면에서는 우리 경제(經濟)가 지식집약경제(知識集約經濟)로 이행(移行)함에 따라 고등교육(高等敎育)의 양적(量的) 팽창(膨脹)보다는 질적(質的) 향상(向上)이 보다 요구되고 있음을 논의한다. 또한 수급간(需給間) 상호관계(相互關係)에도 주목하여 직업기술(職業技術) 고등교육기관(高等敎育機關)과 기업(企業)을 연계(連繫)하는 네트워크가 구축(構築)되어야 함을 강조(强調)한다. 이러한 인력수급분석(人力需給分析)을 바탕으로 대학(大學)의 경쟁여건(競爭與件) 조성(造成)과 직업기술 고등교육의 산(産) 학(學)네트워크 구축(構築)을 위한 교육개혁(敎育改革)의 기본과제(基本課題)를 제시(提示)한다.

  • PDF

우리나라 고학력화 현상의 원인과 전망

  • 강희돈
    • 대학교육
    • /
    • 통권73호
    • /
    • pp.79-90
    • /
    • 1995
  •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 고학력화 현상의 원인을 봉건주의 시대 이후 일제기까지 형성된 교육요구, 그리고 교육자격의 예비직업자격 기능, 사회이동 통로로서의 학교교육 및 노동시장 분절 그리고 중간층의 증대를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우리 사회에서 고학력 선호경향이 쉽사리 가라앉을 전망은 없어 보인다. 우리 사회의 경우, 우리의 가치관에서부터 사회제도에 이르기까지 모든 요소들이 고학력에 대한 열망을 부추기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고학력화 현상에 대한 문제는 개인의 능력.개성.특성이 존중되어 '삶의 질'을 만족스럽게 높여줄 수 있는 방향으로의 제도개혁과 함께, 나의 자식만을 위한 교육이 아닌 '우리들의 자식을 위한 교육'이라는 의식개척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중국의 고등직업교육 정책과 사회적 책임 분석 (Analysis of Chinese Higher Vocational Education Policy and Social Responsibility)

  • Wang, GuanEn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 /
    • 제1권2호
    • /
    • pp.102-117
    • /
    • 2021
  • 한국의 고등직업교육은 40년의 발전 끝에 기초적인 발전에서 질적인 발전으로의 전환으로 이미 칭찬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중국의 고등직업교육원은 개혁개방을 거쳐 많은 양의 양질의 기술기술인재를 각 분야로 이송하였다. 고등직업교육은 중국 교육제도의 필수불가결한 부분으로서 "고품질", "실용" 및 "기능성" 인재를 양성하는 중요한 능력으로 경제 및 사회 발전에 큰 기여를 한다. 이와 함께 소작농, 가사도우미, 퇴직근로자 등 상대적으로 기능이 낮은 근로자의 고용스트레스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고등 교육은 실업 문제를 해결하고 강력한 인적 자원을 사회에 제공하기 위해 국가 정책을 안내하고 지원하는 데 필수적이다.

영국과 독일의 직업훈련·숙련자격제도: 특정 및 최근 변화 (Vocational Training and Qualifications Systems in Britain and Germany: Their Distinct Features and Recent Developments)

  • 정주연
    • 노동경제논집
    • /
    • 제26권1호
    • /
    • pp.75-110
    • /
    • 2003
  • 최근에 시급해진 국내의 직업훈련이나 숙련자격제도의 평가나 개혁을 위해 선진국의 제도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영국의 경우 제도의 구조가 최근에 자유방임형에서 정부주도형으로 변화되고 있는 반면에 독일의 제도는 여전히 사회적 합의형으로 분류되고 있다. 이 구조적 특성은 기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고 독일의 제도가 상대적으로 양호한 평가를 받아 왔다. 그러나 독일의 제도의 구조나 성과도 1990년대의 정치적 통일과 경제적인 장기불황의 상황하에서 상당한 한계를 노출하고 제도의 접진적인 개혁이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는 두 국가의 제도의 구조 및 기능적 특성이나 그 최근 변화는 교육철학이나 직업문화, 정부 및 사용자의 역할의 차이, 이에 기초한 훈련 과정이나 숙련자격제도의 작동방식의 차이, 독일의 환경적 변화와 높은 연관성을 보임을 확인했다. 이러한 두 국가의 제도에 대한 이해는 국내의 제도의 개혁을 주장하는 일부 연구에서 이 선진국들과 국내의 제도의 차이를 충분히 이해하지 않고 그 제도에 속하는 특정한 정책쓸 이식하자는 성급한 진단에 의문을 제기한다.

  • PDF

수업연한 다양화와 순환형 직업교육체제 구축을 통한 전문대학 발전 방안 (A Prosperity Scheme of College Systems via the Diversification of Years Required for Gradua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Recurrent Vocational Education System)

  • 김호동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전문대학교육위원
    • /
    • pp.159-172
    • /
    • 2001
  • 우리나라 전문대학은 1979년 설립당시에 비하여 괄목할 만한 양적 성장을 이루었으나 그에 비해 질적 성장과 위상의 정립은 아직 미흡한 설정이다. 산업사회에 맞추어 설계된 전문대학 교육제도는 지식기반사회에 맞는 인적자원개발 기능과 사명을 다할 수 있도록 재 설계되어야 한다. 따라서 획일화된 수업연한과 계속교 육체제의 미완성이라는 구조적 문제를 개혁해야만 하여야 할 시점이다. 수업연한은 다양한 전공과 사회의 수요에 맞추어 $2{\sim}3$년 범위안에서 다양하게 선택적으로 운영되어야 하고 단절된 학제를 연결시킬 수 있는 전공심화 과정이나 시니어보케이셔널칼리지(SVC) 제도를 도입하여 국민기본공통교육 10년 이후에 2+2(3)+2(1) +2 체제로 이어지는 순환형 직업교육체제를 구축하여야 한다.

  • PDF

역량기반의 전문대학 교육과정 개선 방안 (Development of the College Curriculum using the Competency-based Model)

  • 최길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464-478
    • /
    • 2010
  • 최근 교육개혁과 관련하여 자주 언급되고 있는 '역량'이라는 단어는 학문과 지식을 중시했던 기존 교육이 현실 사회 적응력을 중시한 교육으로 변화됨을 나타낼 때 주로 사용된다. 전문대학의 교육도 장차 직업생활에서 요구되는 실천적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데 적합하도록 교육과정의 개선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 교육과정 운영 실태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았으며, 역량기반 교육모델에 대한 선행연구 자료를 검토하여 전문대학 교육과정에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여, 도입이 타당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개발한 직업기초능력 표준을 직업교육의 교과내용으로 반영하고 이를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교육과정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