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직선거리

Search Result 251, Processing Time 0.069 seconds

A Model Experiment Study to Secure the Straight Line Distance between the Air Inlet and Exhaust Section of the Living Room (거실제연설비중 공기유입구와 배출구간 직선거리 확보를 위한 모형실험연구)

  • Saeng-Gon Lee;Se-Hong Mi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9 no.2
    • /
    • pp.439-450
    • /
    • 2023
  • Purpose: When conducting fire inspections in Korea, there are objects that violate the fire protection regulations that require a straight line distance of more than 5m between the air inlet and the discharge section if the floor area is less than 400m2, and this paper analyzes the reasons and conducts a model experimental study to support the need for related fire protection regulations. Method: Domestic firefighting objects were investigated and confirmed, domestic and foreign papers, policies, and laws and regulations were examined, and spaces with a straight line distance of less than 5m and more than 5m between the air inlet and discharge section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rough model experiments in a living room of less than 400m2 . Result: When examining the domestic fire protection regulations (NFPCNational Fire Perpormance Cod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ir inlet and the outlet is more than 5m when the floor area is less than 400m2 , but as a result of the actual investig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firefighting objects that cannot keep the separation distance. In addition, when a paper review of overseas fire protection regulations for a straight line distance of more than 5m showed that there was no regulation on the straight line distance between the air inlet and the discharge section, the model experiment showed that the discharge speed was better when the straight line distance between the air inlet and the discharge section was more than 5m than when it was less than 5m. Conclusions: In this study, when examining overseas fire laws and regulations by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the fire protection ratio for the straight line distance between the air inlet and the exhaust section, there is no mandatory regulation for the straight line distance, but the domestic fire protection regulations (NFPCNational Fire Perpormance Code) require more than 5m. It is hoped that this will be reflected in the design stage in the future, and a foundation will be laid to reduce the responsibility and burden of fire superintendents.

Design and Analysis of a Distance Estimation using Ultrasonic Sensors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거리 측정 설계 및 분석)

  • Lee, Woo-Sik;Kim, Namg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93-94
    • /
    • 2009
  • 초음파를 이용한 거리 측정은 무선 센서네트워크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Cricket 모트 두 개를 가지고 거리측정을 하여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거리 측정 방법은 RF 신호와, 초음파 신호의 시간 차를 이용한 TDOA 방식을 적용하였으며, 한 모트는 Sender, 다른 모트는 Receiver로 설정하여 직선거리에서 거리측정을 하였다.

A Study on Integrating Similarities (유사도 통합에 관한 연구)

  • Kim, Sunkyung;Park, Ji Su;Shon, Jin G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53-56
    • /
    • 2020
  • 유사도는 두 객체의 비슷한 정도를 실수로 나타낸 것이며 반대 개념인 다른 정도를 나타내는 것을 거리라 한다. 실세계에서 정확히 같은 것은 존재하기 힘들기 때문에 많은 응용 분야에서 유사도나 거리를 이용한다. 거리 중 대표적인 것으로 유클리드 공간에서 두 점 사이의 직선거리이다. 이 거리를 유클리드 거리라고 한다. 코사인 유사도는 벡터 공간에서 두 벡터 사이각의 코사인 값이다. 이외에도 용도에 따라 다양한 거리 또는 유사도가 연구되고 있다. 수학적으로 유사도는 이변수 함수로 나타낸다. 앞선 연구에서 민코프스키는 맨하탄 거리, 유클리드 거리 등을 매개변수 p를 이용하여 하나의 식으로 통합하였다. 이러한 유사도 통합은 유사도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하고 또 다른 응용을 제공한다. 본 논문은 기존 유사도의 의미를 개관하고 추가적인 매개변수를 도입하여 민코프스키 거리와 코사인 유사도를 통합한 식을 제시한다.

Broadcasting and Caching Schemes for Location-dependent Queries in Urban Areas (도심환경에서 위치의존 질의를 위한 방송과 캐싱 기법)

  • Jung Il-dong;Yu Young-ho;Lee Jong-hwan;Kim Kyongsok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32 no.1
    • /
    • pp.56-70
    • /
    • 2005
  • The results of location-dependent queries(LDQ) generally depend on the current locations of query issuers. Many mechanisms, e.g. broadcast scheme, hoarding, or racking policy, have been developed to improve the system peformance and provide better services, which are specialized for LDQs. Considering geographical adjacency of data and characteristics oi target area, caching policy and broadcast scheme affect the overall performance in LDQ. For this reason, we propose both the caching policy and broadcast scheme, which these features are reflected in. Based on the adjacency of data in LDQ, our broadcast scheme use Hilbert curve to cluster data. Moreover, in order to develop the caching policy suitable for LDQ on urban area, we apply the moving distance of a MH(Mobile Host) to our caching policy W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caching policy measuring the workload of MHs and the correctness of LDQ results and the performance of the broadcast scheme measuring the average setup-time of MHs in our experiments. Finally, we expect that our caching policy Provides more correct answers when executing LDQ in focal cache and leads significant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of MHs. It also seems quite probable that our broadcast scheme leads improvement of battery life of the MH.

Factor Estimation For Food Wastes Collection Using GIS (GIS를 활용한 단독주택지역의 음식물쓰레기 수거요소 분석연구)

  • Yoo, Kee-Young;Kim, Boo-kyum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10 no.3
    • /
    • pp.92-97
    • /
    • 2002
  • This study is to analyze collection factor of food wastes using GIS. For calculation of collection crews and equipment, It was measured velocity(43m/min), moving coefficient(1.9), moving distance(17,200/day), collection rate(0.313kg/day) on the basis of S2Dong. Moving coefficient was able to analyze straight distance of S2Dong using GIS and other areas were also applied to analyze straight distance of each area using same method. At N autonomous district, 10 persons of collection crews were necessary, but collection of food wastes by four forces resulted to be 11 persons of crews necessary. 7 vehicles were necessary, but 8 vehicles were needed by same reason.

  • PDF

Voronoi Diagrams with a Transportation Network (도로망이 설치된 평면에서의 보로노이 다이어그램)

  • 배상원;좌경룡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a
    • /
    • pp.949-951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유클리드 평면상에 도로망이 주어져 있어서 여행자들이 그 도로들을 이용하여 더욱 빠르게 이동할 수 있을 경우를 가정한다. 이 때, 두 점 사이의 거리는 기하학적 직선거리가 아닌 주어진 도로들을 이용하여 두 점 사이를 이동할 때 필요한 최소시간으로 측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새로운 거리 척도를 고려할 때에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이 어떤 특성을 갖는 가를 연구하며 그것을 이용하여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효율적으로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이알고리즘은 O(nm$^2$logn+m$^3$logm)의 시간과 O(m(n + m))의 공간을 필요로 한다. 이 때, n은 주어진 싸이트의 개수이고 m은 주어 진 도로의 개수이다.

  • PDF

Estimation of downstream Scour of Labyrinth Weir (래버린스 위어 하류단 세굴 규모 산정)

  • Cho, Hun Sik;Yeo, Chang Geon;Im, Janghyuk;Lee, Seung Oh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99-99
    • /
    • 2011
  • 하천에서 위어 하류단의 세굴은 매우 중요한 현상이며 위어 형상에 따른 수리학적 흐름특성이 세굴거리 및 세굴심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적절한 하상보호공 설계를 위해 다양한 위어 하류단의 세굴 규모 및 세굴 형상을 산정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다리꼴 래버린스 위어를 적용하여 일반적인 직선형 위어와 비교하였으며, 3차원 수치모의를 통해 하류단의 세굴 규모를 분석하였다. 현재 세굴 방지를 위하여 설치되는 위어 하류부 물받이 및 하상보호공의 설계 기준은 월류흐름에 의해 발생되는 하류부 세굴영향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며, 대부분 설계자료가 광정위어 및 예연 위어 형태만을 고려하고 있어 위어의 형상변화에 따른 고려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하류부 세굴방지공의 안전하고 경제적인 설계를 위하여 위어의 형상 변화에 따른 위어 하류부 세굴 특성 분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래버린스(labyrinth) 위어는 수로 내에 설치된 횡방향 직선형 위어의 단면 형상을 변경하여 월류길이를 증가시킨 긴 마루(long crested) 위어 형태의 일종이다. 일반적으로 래버린스 위어는 월류량 증대, 수질개선 및 수심유지 효과가 필요한 수공구조물에 이용되어 하천에 적용될 경우, 관련 수공구조물의 수심 확보 측면에서 기여할 수 있는 구조물로 잘 알려져 있다. 수로폭과 유입유량을 알고 있을 경우 기존 연구자들에 의해 제시한 공식에 의해 직선형 위어의 하류단의 세굴거리와 세굴심을 산정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세굴거리 비와 세굴심 비를 통해 래버린스 위어의 세굴거리 및 세굴심을 예측할 수 있었다. 분석결과 래버린스 위어의 하류단의 세굴거리는 직선형 위어에 비해 감소하고 세굴심은 증가하였으며, 총 마루길이 당 유입유량과 유입유량 조건에 따른 세굴거리 비 및 세굴심 비 변화를 통해 통수능 및 래버린스 위어의 마루길이 변화에 따른 세굴 영향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추후 다양한 유량조건과 확폭비를 고려한 연구를 수행한다면 래버린스 위어의 마루길이에 따라 하상보호공 설계시 중요한 인자인 세굴거리와 세굴심을 조절할 수 있으며, 위어 형상에 따른 하류단 세굴 규모를 산정과 더불어 확장된 하상보호공 설계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Effects of Room Shape on the Acoustics of Rectangular Rooms (장방형 실의 형태가 실내음향에 미치는 영향)

  • Yeon Chul-Ho;Park Kye-Kyun;Kim Hong-Bae;Haan Chan-Hoo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443-446
    • /
    • 2000
  • 본 연구는 과학적이고 실험적인 접근을 통하여 공간의 비례와 실내음향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체적과 마감재료가 같고 비슷한 기본축척의 모델을 중심으로 가로, 세로, 높이의 비율이 다른 4개의 모델에서 각각 SPL, EDT, C, RT, LEF, IACC 등을 측정하여 각 형태의 모델의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잔향은 동일한 체적인 경우 음원으로부터 평균거리가 멀리 위치한 장방형의 형태가 양쪽 측벽 사이의 거리가 넓은 장방형보다 잔향시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음압은 실의 체적이 작고 음원으로부터의 평균거리가 짧은 순서로 큰 반면, 명료도는 잔향의 크기순서에 반대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음원으로부터의 직선거리가 짧은 순서로 명료도가 좋게 나타났다. IACC는 양쪽 측벽의 거리가 가장 긴 모델에서 가장 작게 나타났다 그러나, 초기 음장에서는 그 변화가 작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IACC가 실의 형태에 장시간 관여하는 지수라는 것을 의미한다.

  • PDF

A geometric analysis of range measurement error (거리 영상 측정 오차의 기하학적 분석)

  • 윤강식;이병욱;박래홍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2 no.6
    • /
    • pp.1259-1265
    • /
    • 1997
  • We investigate depth measurement error of a range finder based on triangulation method. Geometric analysis resulted in intuitive understanding of the error sensitivity. We show that the depth error is propostion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 andthe camera. The measurement value has the highest accuracy when the line connecting the focal point of the camera and the object is perpendicular to the line joining the object and the light source of herange finder. Also we analyze the error using a perturbation method and verify that the results are identical through an experiment.

  • PDF

Development of Shortest Path Searching Network Reduction Algorithm (최단경로 탐색영역 축소 알고리즘 개발)

  • Ryu, Yeong-Geu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2 no.2
    • /
    • pp.12-21
    • /
    • 2013
  • This study developed searching network reduction algorithm for reduce shortest path searching time. Developed algorithm is searching nodes that have the including possibility of less weights path than temporal path that consists minimum number of nodes and minimum sum of the straight line distances. The node that has the including possibility of shortest path is the node that the sum of straight line distance from start node and straight line distance to target node is less than the value that temporary path's weights divided by minimum weights units. If searching network reconstitutes only these nodes, the time of shortest path searching will be reduced. This developed algorithm has much effectiveness that start node and target node is close in large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