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직병렬 구성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43초

2의 보수 직병렬 승산을 위한 논리구조 (An Architecture for Two's Complement Serial-Parallel Multiplication)

  • 모상만;윤용호
    • ETRI Journal
    • /
    • 제13권2호
    • /
    • pp.9-14
    • /
    • 1991
  • 직병렬 승산기는 피승수와 승수중 어느 하나가 병렬로 입력되고 또다른 수는 직렬로 입력되는 구조를 가지며, 디지틀 신호처리, 온라인 응용, 특수 목적용 계산 시스팀 등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2 의 보수를 위한 직병렬 승산기의 논리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한 2의 보수 직병렬 승산기는 효과적인 2의 보수 직병렬 승산 알고리즘에 의해서 모든 데이터 신호가 국부적 연결만으로 구성되며, 간단하고 모듈화된 하드웨어의 구성으로 쉽게 설계할 수 있다. 이 승산기는 무부호 승산과 마찬가지로 2n+1 사이클만을 필요로 하고, 각 사이클 시간은 무부호 직병렬 승산에 비해서 2의 보수 승산을 위한 XOR 게이트의 지연시간이 추가된 것뿐이다. 또한, 제안한 2의 보수 직병렬 승산기는 VLSI 구현에 매우 적합한 구조를 지닌다.

  • PDF

브리지회로의 개선에 의한 직병렬 공진 고주파 유도가열 시스템의 실현 (Implement of Serial-Parallel Resonant High-Frequence Induction Heating System by Improvement of Bridge Circuit)

  • 류민섭;홍순일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9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788-790
    • /
    • 1999
  • 고주파 열처리 유도로의 설계에서 품질의 향상을 위하여 인버터의 고주파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주파 유도가열 장치의 대용량, 고주파 화를 실현하기 위하여 회로 설계 기술과 제어방식을 제안하였다. 부하 공진 인버터는 H형 전-브리지로 구성하고 각 암 당 IGBT를 2병렬로 조합하여 구성하고 부하는 직병렬 공진회로로 구성한다. 스위칭 동작은 8개의 IGBT중 각 암 당 2개씩 순차제어하여 고속 대용량의 고주파 전력을 출력시킨다. 또한 스위칭은 스위치 턴온 오프시에 스위칭 손실을 줄이기 위해 ZVS기법을 도입한다. 제어는 고정주파수 PWM제어를 하여 전력변환 효율을 극대화한다.

  • PDF

RPPT 시스템을 위한 단순화된 직.병렬 구조 (A Simplified Series-Parallel Structure for the RPPT(Regulated Peak Power Tracking) System)

  • 양정환;배현수;이재호;조보형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2-74
    • /
    • 2007
  • 기존에 사용된 저궤도 인공위성 전력계 시스템을 분석하고,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단순화된 직병렬 구조를 제안한다. 인공위성이 지구를 공전하는 동안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제안된 구조의 동작을 모드로 분류하고, 제안한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시스템 운용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모의 실험을 통하여 기존의 직렬구조와 제안된 구조의 효율을 비교 한다. 제안된 단순화된 직병렬 구조의 안정적인 동작을 검증하기 위해, 200W급 태양전지와 100W급 전력조절기 두 모듈을 병렬로 구성하여 실험하였다.

  • PDF

태양광 발전용 직류/교류 변환장치의 개발동향

  • 정용호;설승기;최호현
    • 전기의세계
    • /
    • 제39권10호
    • /
    • pp.37-46
    • /
    • 1990
  • 지금까지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이용되는 직/교류 변환장치의 기본 구성도와 각각의 동작특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기본 구성도중에서 전체 시스템의 성능과 효율을 좌우하는 주요 요소기술의 최근 기술 동향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는데, 이중의 일부 기술은 이미 상당한 수준까지 도달한데 비해서 인버터의 병렬운전 제어알고리즘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진한 편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제어알고리즘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할 수가 있겠으며, 본고에서 언급하고 있는 인버터의 순시전압 제어와 병렬운전에 대한 제어알고리즘도 그러한 노력의 하나로 생각한다. 뿐만아니라 향후에 태양전지의 가격이 충분히 감소하게 되면 전체 시스템의 가격중에서 직/교류 변환 장치의 저가격화도 도모해야하며, 이와 동시에 시스템의 신뢰성 향상엥도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 PDF

전류모드 OFDM FFT LSI를 위한 전류모드 직병렬/병직렬 변환기 (Current-Mode Serial-to-Parallel and Parallel-to-Serial Converter for Current-Mode OFDM FFT LSI)

  • 박용운;민준기;황성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39-4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최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빠른 데이터전송 방식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OFDM 통신방식의 저소비전력화 방안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OFDM에서 주요 신호처리 방식은 디지털을 이용한 프리에 변환이다. 이런 디지털 프리에 변환은 많은 소비전력이 필요하며 이것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커다란 제약이 되고 있다. 전류모드를 이용한 아날로그 프리에 변환(FFT) LSI는 이러한 소비전력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주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신호처리 방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류모드를 이용한 직병렬/병직렬 변환기(Serial-to-Parallel/Parallel-to-Serial Converter)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전류모드로 구성한 아날로그 프리에 변환(FFT) LSI를 이용해 수신단의 저소비전력을 실현하기 위해 필수적인 새로운 전류모드 직병렬/병직렬 변환기를 제시하였으며 설계된 칩의 측정결과가 시뮬레이션 결과와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안된 전류모드 직병렬/병직렬 변환기의 개발로 저소비전력에 큰 장점을 지니고 있는 아날로그 FFT LSI의 활용이 가능해졌으며 송수신단 시스템에서 큰 소비전력의 감소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전류 컷 기법을 적용한 저전력형 직병렬/병직렬 변환기 설계 (Design of Low-power Serial-to-Parallel and Parallel-to-Serial Converter using Current-cut method)

  • 박용운;황성호;차재상;양충모;김성권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10A호
    • /
    • pp.776-783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OFDM과 같은 대용량 무선 전송방식의 베이스밴드단(Baseband) 신호처리 방식 중 직병렬/병직렬 변환기(Serial-to-Parallel/Parallel-to-Serial Converter)를 전류모드(Current-mode) 회로로 구현했을 경우 유효한 설계 기법을 제안한다. 전류모드를 이용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직교주파수분할다중)용 아날로그 프리에 변환(FFT) LSI의 병렬 입출력을 담당하는 전류모드 직병렬병직렬 변환기의 홀드모드(Hold mode)의 불필요한 전류를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류모드로 구성한 아날로그 신호처리 시스템의 저소비전력을 실현하기 위해 필수적인 새로운 전류모드 직병렬/병직렬 변환기를 제시하고 설계된 칩의 측정결과가 시뮬레이션 결과와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저전력형 대용량 무선통신 시스템의 베이스밴드단 구축이 가능한 전류모드 아날로그 시스템의 구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직.병렬 구조를 가지는 고압 DC 전원장치 (High Voltage DC Power Supply having Serial-Parallel Structure)

  • 정창용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00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2-375
    • /
    • 2000
  • 본 논문은 대용량에 적합한 직·병렬 구조를 가지는 공진형 고압 DC 전원장치에 대한 것이다 이 장치는 전력소자(IGBT)가 스위칭 할 때 발생하는 스위칭 손실과 EMI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UC3879를 이용한 영전압 스위칭 (ZVS; Zero Voltage Switching)방식을 채택하였고 영전압 스위칭 위상차제어 직렬 공진형(ZVS PCS-SPI ; ZVS Phase Shifted Control Series Resonant Inverter)으로 동작시켜 고압변압기의 누설 인덕터와 기생 캐패시터를 이용하여 승압이 효과적으로 일어나도록 하였다 또한 고압부는 입력과 효과적으로 일어나도록 하였다 또한 고압부는 입력과 출력부분이 각각 병렬과 직렬로 구성되어 있어서 각각의 모듈이 독립적인 ZVS가 일어나도록 하여 대용량화가 용의 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10kV/60kW급의 대용량 고압 DC 전원 장치를 구성하여 이를 증명하였다.

  • PDF

모듈러 기반의 배터리 모듈 설계 기법 (Modular Based Battery Module Design Techniques)

  • 장태욱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17-218
    • /
    • 2022
  • 2차 전지는 충방전이 용이하여 적용분야가 급격히 늘어 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납축 배터리를 기반으로 장비등이 제작 사용 되고 있다. 기술의 발전으로 리튬 계열의 2차 전지가 출시 되면서 자동차, 드론등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기존 장비와의 전압차등이 존재하여 기존 장비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모듈 개념을 도입하여 단위 모듈을 기존 납축 전지의 전압에 준하여 구성하고 전류를 최대한 구성하는 방식으로 구성하면 기존 장비 및 신규 장비에 적용이 가능한 방법을 찾을 수 있다.

  • PDF

PSIM기반의 유성기어를 사용한 직병렬 혼합형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파워트레인 모델링 (PSIM based Modeling of a Series-Parallel Hybrid Electric Vehicle Powertrain Using Planetary Gear)

  • 배태석;임덕영;최재호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93-29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유성기어를 사용한 직병렬 혼합형 하이브리드 자동차(SPHEV)의 파워트레인 모델링과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모드(전기자동차 모드(EV), 엔진 모드, 하이브리드 모드(HEV) 등등)변화에 따른 파워 분배 및 동특성 해석에 대하여 기술한다. 내연기관, 전동기, Energy Storage System(ESS)과 같은 구성요소들의 정격은 에너지 개념과 Electrical Peaking Hybrid(ELPH)를 이용하여 설계하였으며, 동특성 분석을 위하여 전력전자 분야 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시뮬레이션 툴인 PSIM을 이용하여 모델링 하였다.

  • PDF

IGBT를 이용한 직.병렬 공진방식 인버터의 고주파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igh-Frequency of Series-Parallel Resonant Inverter using the IGBT)

  • 홍순일;류민섭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1999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0-113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고주파 유도가열을 위한 전원장치에 사용되는 인버터 시스템의 대용량, 고조파화를 실현하기 위한 고주파화 기술을 제안하였다. 부한 공진 인버터는 H형 전-브리지(Full-Bridge)로 구성하고 각 암당 IBGT를 2병렬로 조합하여 구성하고 부하는 직병열 공진회로로 구성한다. 스위칭 동작은 8개의 IGBT중 각 ARM당 2개씩 순차 제어하여 고속 대용량의 고주파 전력을 출력시킨다. 또한 스위칭은 스위치 턴온·오프시에 스위칭 손실을 줄이기 위해 ZVS(Zero-Voltage Switching) 기법을 도입한다. 제어는 고정주파수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를 하여 전력변환 효율을 극대화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