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직물유형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초

타이어 밴드 직물의 불량유형 분류를 위한 불량 픽셀 하이라이팅 (Highlighting Defect Pixels for Tire Band Texture Defect Classification)

  • 소로;고재필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113-118
    • /
    • 2022
  • 사람은 독서나 필기 중 중요 문구를 형광펜으로 칠하는 것에서 착안하여, 본 논문에서는 복잡한 배경 질감을 가진 영상에서의 불량유형을 효과적으로 분류하기 위해 불량 픽셀 영역을 하이라이팅 하여 신경망을 훈련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의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불량유형 구분이 매우 어려운 타이어 밴드 직물의 불량유형 분류에 제안 방법을 적용한다. 또한, 타이어 밴드 직물 영상에 특화된 백라이트 하이라이팅 방법을 제안한다. 백라이트 하이라이트 영상은 GradCAM 기법과 간단한 영상처리를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실험에서 우리는 제안하는 하이라이팅 기법이 분류 정확도뿐만 아니라 훈련속도 면에서 기존 방법보다 우수함을 보였다. 인식률 면에서는 제안 방법이 기존 방법 대비 최대 13.4%의 향상을 달성하였다. 타이어 밴드 직물 영상에 특화된 백라이트 하이라이팅 기법이 윤곽 하이라이팅 기법보다 정확도 측면에서 우수함을 보였다.

진주류씨(晉州柳氏) 합장 묘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Excavated Fabrics from the Couple's Tomb of Jinju Ryu)

  • 조효숙;이은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51-62
    • /
    • 2007
  • This study explicates some properties of the fabrics used in the 16th century b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90 pieces of fabric excavated from the graves of Mr. Ryu of Jinju and his wife Mrs. Park of Euiin. The fabrics were classified into silk tabby(紬), thin silk tabby, satin damask(段), complex gauze(羅), mixture fabric with silk and cotton(絲棉交織), cotton(棉布) etc. Compared to other contemporary fabrics excavated previously, the fabrics unearthed from the couple's graves presented very naive feelings. Patterned satin damask occupied a small portion. In the case of plain fabric, little filament silk tabby(絹) or thin filament silk tabby(細紬) was unearthed. Important data on the history of Korean costumes are provided by the noteworthy, first-ever excavation of a small cap made of complex gauze(羅) and the tiger-leopard embroidered patches called hyoongbae(胸背), which were worn on the front and back of official robes made of tabby with supplementary gold thread(金線). Only 3 pattern types could be clearly identified in form, cloud pattern, lotus and vine pattern(蓮花蔓草), and small flower and treasures pattern(七寶細花). These three patterns are very similar to those of other 16th century fabrics unearthed previously in terms of the form and arrangement of patterns.

조선시대 $16{\cdot}17$세기 출토복식의 직물유형 및 문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brics and Pattern of the Excavated Costume During $16{\cdot}17th$ Century in Joseon Period)

  • 임현주;조효숙
    • 복식
    • /
    • 제54권8호
    • /
    • pp.113-128
    • /
    • 2004
  • This study examined textiles used for ancient costumes of the $16{\cdot}17th$ century in Joseon period, focusing on fabric types and patterns of the costumes from tomb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brics and social backgrounds, especially change in using fabrics through the war from Hidyoshi's Invasion of Korea in 1592. Since the war must have had an effect on the life of people's. The result of the study is that silk occupies $69{\%}$ of all textiles, and cotton, linen follow The weaving method of silk was primarily Plain and satin weaves. However the use of twill, gauze, and double weave, that had led weaving methods of silk during the Koryo Period, were considerably decreased in Joseon Period. Types excavated fabrics in the $16{\cdot}17th$ century Joseon period can be said various. Of this, silk was the most remarkable one till Hidyoshi's Invasion of Korea in 1592, when the ratio of patterned silk dramatically decreased. Contrarily, the ratio of cotton and plain fabric increased rapidly in Hidyoshi's Invasion of Korea in 1592. It is supposed that the result is largely due to unusual condition of the war time. After the war, it is estimated that use of pattened fabric as well as silk was decreased. Patterns of textile fabrics in $16{\cdot}17th$ century were various. In result of surveying a trend of increment and decrement, it is known that the ratio of patterned textile fabrics decreased dramatically in Hidyoshi's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Manchu war of 1636. Tendency of textile use by social Position is more notable. It is appeared that a lot of silk fabrics were used in High hierarchy. The excavated remain and ratio of silk were the highest in Kyonggi Province including Seoul.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한 심장활동 신호 검출용 접촉식 직물전극의 구조가 센싱 성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Configuration of Contact Type Textile Electrode on the Performance of Heart Activity Signal Acquisition for Smart Healthcare)

  • 조현승;구혜란;양진희;이강휘;김상민;이정환;곽휘권;고윤수;오윤중;박서연;김신혜;이주현
    • 감성과학
    • /
    • 제21권4호
    • /
    • pp.63-7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해 접촉식 직물전극의 구조가 심장활동 신호 획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심장활동 신호 측정을 위하여 전극의 크기와 구성방식을 조작한 6종의 접촉식 직물전극을 컴퓨터 자수 방식으로 구현하였고, 이를 가슴밴드에 부착하여 응용형 리드 II(modified Lead II) 방식으로 심장활동 신호를 검출하였다. 건강한 신체의 남성 4명을 대상으로 서서 정지한 자세에서 각 직물전극을 사용하여 심장활동 신호를 검출하였으며, 모든 유형의 전극에 걸쳐 4회씩 반복측정 하였다. 심장활동 신호의 수집을 위해 BIOPAC ECG100 장비를 사용하여 1 kHz로 샘플링하였으며, 검출된 원 신호를 대역통과 필터를 사용하여 필터링하였다. 직물전극의 구조에 따른 심장활동 신호 획득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신호의 파형과 크기를 파라미터로 하여 정성적 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전극을 통하여 획득된 심장활동 신호의 SPR(signal power ratio)을 산출함으로써 정량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산출된 SPR 값을 대상으로 하여 비모수 통계분석 방식의 차이검정과 사후검정을 실시함으로써 6개 전극의 구조에 따른 심장활동 신호 획득의 성능 차이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접촉식 직물전극의 구조에 따라 심장활동 신호의 품질에는 정성적, 정량적 측면에 걸쳐 모두 주요한 차이가 있는 것이 고찰되었다. 접촉식 직물전극의 구성 측면에 있어서는 입체전극이 평면전극에 비해 더 우수한 품질의 신호가 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3가지 전극 크기에 따른 심장활동 신호 획득의 유의한 성능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심장활동 신호 획득을 위한 접촉식 직물전극 구조의 두 가지 요건 중 구성방식(평면/입체)이 웨어러블 헬스케어를 위한 심장활동 신호 획득의 성능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직물전극이 일체형으로 통합된 의복형 플랫폼을 구현하고 성능 고도화 방안을 연구함으로써, 시공간의 제약 없이 고품질의 심장활동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마트 의류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16~17세기 직물유형과 문양의 배치구도에 관한 연구 - 조선시대 출토복식에 나타난 화문직을 중심으로 - (Arrangement Methods of Pattern and Weaving Types of Fabrics During 16~17th Century - Centering Flower Patterned Fabrics of Exhumed Clothing in Chosun Dynasty -)

  • 박문영;김호정;박옥련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00-40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arrangement methods and weaving types of fabrics during 16-17 century. Research was done through the references of exhumed clothing in Chosun Dynesty. Seeing the waving types of fabrics of flower patterned fabrics of total 108 items, satin damask(Dahn) was 71items, took the majority. And the next order was twill(Neung) and plain(Ju). It means Dahn was the most popular fabric among the upper classes. It was regarded as one of the noble textiles, because of its luxurious appearance and pleasant touch. Flower patterned plain fabric(Munju) was found only 9items, even though the plain fabric was the most common used type. Assumed for the reason, Chosun government had restrict to extravagance of the people. In terms of the arrangement of flower pattern, it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methods. The most common arrangement method was Arabesque type, followed by open order shaped type and scattering shaped type. In the repetition of pattern, there were brick-shaped pattern and half drop pattern which were spread flower pattern all over the surface of fabric.

한국 고대 능직물의 유형과 특성 - 석가탑 복장 능직물을 중심으로 -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will Damask Fabrics of Ancient Korea - Focused on Twill Damask Fabrics found at Sukga Pagoda -)

  • 장현주;권영숙;원희정
    • 복식
    • /
    • 제56권9호
    • /
    • pp.37-4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will damask fabrics through literatures review of both domestic and Chinese documents and records. In addition, the study aims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ill damask fabrics found at Sukga Pagoda. The twill damask fabrics can be categorized in terms of the weaving method into Float Pattern on a Tabby Ground, Twill Pattern on a Tabby Ground, Float Pattern on a Twill Ground, Twill Pattern on a Twill Ground, and Without Pattern on a Twill Ground. The fabrics ran also be divided in terms of their name into Ki, Neung, and Munju. Four items of twill damask fabrics were found inside the Sukga Pagoda. All of them are Twill Pattern on a Twill Ground. At the primitive level of weaving skill, twill damask fabric was made by adding patterns with twill damask or BuJik on the background of plain weave. At more advanced level, the fabrics are weaved by making patterns with twill damask or BuJik on the background of twill damask. Compared to the relics of Koryo and Chosun Dynasty, these twill damask fabrics were loosely weaved with relatively thick thread.

표면적 변화에 기반한 입체적 웨어러블 호흡수 센서의 가능성 탐색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Three-dimensional Wearable Respiration Rate Sensor based on Surface Area Changes)

  • 이승표;반현성;이주현
    • 감성과학
    • /
    • 제21권1호
    • /
    • pp.35-4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센서의 표면적 변화에 따른 입체적 호흡수 센서의 센싱 방식을 제안하고, 직물 기반의 입체적 호흡수 센서의 성능 평가 및 의복에 적용할 수 있는 디자인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입체적 구조의 차이에 따라 2가지 유형의 입체적 호흡수 센서를 제작하고 더미와 인체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I은 더미 대상 실험으로 센서의 유형 및 호흡 속도의 연구변인에 의해 입체적 호흡수 센서의 측정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연구II는 7명의 20대 남성을 대상 실험으로 연구I의 연구변인 이외에 3개의 측정 위치별 적합한 유형의 센서를 제안하였다. 입체적 호흡수 센서의 정확도, 재현성,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해, 의료기기 분야의 대표적 웨어러블 호흡수 센서인 BIOPAC을 사용하여 입체적 호흡수 센서와 동시에 호흡수를 측정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더미 대상으로 입체적 호흡수 센서의 측정 가능성을 탐색하였으며, 인체 대상으로 호흡수를 측정하여 측정 위치별 적합한 유형의 센서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