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will Damask Fabrics of Ancient Korea - Focused on Twill Damask Fabrics found at Sukga Pagoda -

한국 고대 능직물의 유형과 특성 - 석가탑 복장 능직물을 중심으로 -

  • Jang, Hyun-Joo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eju National University) ;
  • Kwon, Young-Suk (Dept. of Clothing & Textil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 Won, Hee-Jung (Dept. of Fashion Design & Merchandising, Kyoungsung University)
  • Published : 2006.12.2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will damask fabrics through literatures review of both domestic and Chinese documents and records. In addition, the study aims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ill damask fabrics found at Sukga Pagoda. The twill damask fabrics can be categorized in terms of the weaving method into Float Pattern on a Tabby Ground, Twill Pattern on a Tabby Ground, Float Pattern on a Twill Ground, Twill Pattern on a Twill Ground, and Without Pattern on a Twill Ground. The fabrics ran also be divided in terms of their name into Ki, Neung, and Munju. Four items of twill damask fabrics were found inside the Sukga Pagoda. All of them are Twill Pattern on a Twill Ground. At the primitive level of weaving skill, twill damask fabric was made by adding patterns with twill damask or BuJik on the background of plain weave. At more advanced level, the fabrics are weaved by making patterns with twill damask or BuJik on the background of twill damask. Compared to the relics of Koryo and Chosun Dynasty, these twill damask fabrics were loosely weaved with relatively thick thread.

Keywords

References

  1. 권영숙, 장현주, 이용희 (2003). 한국 고대 라직물의 유형과 특성 II -석가탑 복장 羅직물을 중심으로-, 복식, 53(3)
  2. 권영숙, 조현혹, 장현주, 김종오 (2000). 신라시대 천마총 출토 직물의 유형과 특성 -現 경주박물관 소장직물을 중심으로-, 복식, 50(7), pp. 133-136
  3. 高麗史 권 80 지 권 제34 食貨3
  4. 유희경 . 김문자 (1999) 한국복식화사. 서울: 교문사. p. 169
  5. 高麗圖經 권 19
  6. 심연옥 (2002). 한국 직물 오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pp 92-121
  7. 包銘新, 趙豐 (1997). 中國織續. 上海: 上海書店出版社, pp. 40-41
  8. 周汛, 高春明 編著 (1996). 中國衣冠服飾大辭典. 上海: 上海辭冊出版社. pp. 496-502
  9. 趙豐 (1999). 織繡珍品. 香港: 芝紗堂 服飾出版, p. 334
  10. 佐藤武敏 (昭和53년). 中國古代絹織物史硏究 下. 東京: 風間書房, p. 21, p. 250
  11. 朱新矛 (1997). 中國絲綢史. 北京. 中國紡織出版社, pp. 258-262
  12. 何堂坤, 趙豐 (1998). 中華文化通志 제 7편 紡織与鑛治志. 上海: 人民出版社, pp. 146-147
  13. 高漢玉 (1986). 中國歷代織染繡圖錄. 香港: 商務印書館 香港分館 上海科學技術出版社 合作, p. 242
  14. 심연옥. 한국 직물 오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p. 79
  15. 周汛, 高春明 編著. 中國衣冠服飾大辭典. 上海: 上海辭冊出版社, p. 496
  16. 趙豐, (1999). 織繡珍品. 香港: 芝紗堂 服飾出版, pp. 335-33
  17. 佐藤武敏. (昭和53년). 中國古代絹織物史硏究 下. 東京: 風間書房, p. 250
  18. 朱新矛. (1997). 中國絲綢史. 北京. 中國紡織出版社, p 277
  19. 何堂坤, 趙豐. (1998). 中華文化通志 제 7편 紡織与鑛治志. 上海: 人民出版社, p. 146
  20. 高漢玉 (1986). 中國歷代織染繡圖錄. 香港: 商務印書館 香港分館 上海科學技術出版社 合作, p 242
  21. 민길자 (1997). 전통옷감. 대원사, .p 81
  22. 松本包夫 (소화 57년). 正創院ぎれ. 東京: 學生社, p. 151
  23. 高麗史 권 80 지 권제34 食貨3
  24. 조효숙 (2003). 동래정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동래정씨 흥곡공일가 묘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경기도 박물관. pp. 67-106
  25. 조효숙 (2001). 전주이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인평대군파 의원군일가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경기도 박물관, pp. 129-200
  26. 조효숙 (2004). 심수륜묘 출토복식 -심수륜묘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경기도박물관, pp. 80-106
  27. 장현주 (1999). 조선시 대 견직물 연구. 부산대학교 가정학과 박사학위논문
  28. 趙豐 (1999). 中華文化通志 제 7편 紡織与鑛治志. 上海: 人民出版社, pp. 333-334
  29. 周汛, 高春明 편저 (1996). 中國衣冠服飾大辭典. 上海: 辭書出版社, p. 537
  30. 何堂坤, 趙豐 (1998) 中華文化通志 제 7편 紡織与鑛治志. 上海: 人民出版社, pp. 146-147
  31. 松本包夫. (소화 57년). 正創院ぎれ. 東京: 學生社, pp. 152-153
  32. 包銘新, 趙豐 (1997). 中國織繡. 上海: 上海書店出版社, p. 41
  33. 심연옥 (2004). 남오성 묘 출토복식 -남오성 묘 출토 복식 직물연구-. 국립민속박물관, pp. 144-171
  34. 서울역사박물관 (2003). 趙儆墓. 出土遺衣. pp. 74-81
  35. 광주민속박물관 (2000). 霞川 高雲 출토유물
  36. 조효숙 (2001). 전주이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인평대군파 의원군일가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경기도 박물관, pp. 129-200
  37. 조효숙 (2003). 동래정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동래정씨 흥곡공일가 묘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경기도 박물관, pp. 67-106
  38. 조효숙 (2004). 城平尹氏 母子 미라종합연구논문집 II -파평윤씨 모자 미라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물관, pp. 113-183
  39. 김미자. 조효숙 (1991). 1302년 아미타불복장물의 조사연구 -1302년 아미타불복장 직물의 분석-. 온양민속 박물관, pp. 124-130
  40. 심연옥 (2004) 남오성 묘 출토복식 -남오성 묘 출토 복식 직물연구-. 국립민속박물관, pp. 144-171
  41. 김명숙 (1999). 조선시대 복식 연구 -洪禹協 遺衣를 통해 본 朝鮮時代 17世紀 服飾과 織物-. 서울: 학연문화사
  42. 석주선 기념민속박물관 (1983-2002). 한국복식 1호-20호
  43. 영주시 (1998). 判決事 金鈴祖先生 合葬墓 發掘調査報告書
  44. 온양민속박물관 (1989). 安東金氏境墓發掘調査報告書
  45. 이순원, 유효선, 조우현 서울대학교 한국복식연구실 (2000). 이석명(李碩明)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46. 심연옥 (2004). 이응해 장군 묘 출토복식 -이응해 출토복식 직물 연구-. 충주박물관, pp. 169-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