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직류전기장

Search Result 5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직류 구동 EL을 이용한 평판 화상 표시장치의 연구동향

  • 정인재;김형곤;오명환
    • 전기의세계
    • /
    • v.37 no.1
    • /
    • pp.42-54
    • /
    • 1988
  • 본 고에서는 화상표시장치로서의 모든 요건을 대부분 만족시키며 제조공정 등이 비교적 용이하고 평면화상표시장치의 대규모 생산에 알맞는 것으로 알려진 직류형 분말 EL을 이용한 표시장치 기술에 대해 논의한다. 서론에 이어 2장에서는 EL의 동작원리 및 동작특성에 대해 설명하고 3장에서는 투명 전극, EL 분말 처리과정 및 분말의 구리 도금 과정등 직류 EL용 재료의 제조방법 및 특성 등에 대해 기술한다. 4장에서 EL 평판제작 및 발광층 형성 과정에 관해 설명하고 이상의 방법으로 제작된 직류구동형 EL 평판의 열화형태 및 이들의 해결책에 대해 5장에 설명한다. 6장에서는 이들 평판표시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주변 전자 회로의 집적화 기술에 대해 설명하며 마지막으로 결론 및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7장에 제시한다.

  • PDF

Effect of Applied DC Electric Fields in Flame Spread over Polyethylene-Coated Electrical Wire (폴리에틸렌 피복전선 화염의 전파에 영향을 미치는 직류전기장의 인가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 Jin, Young-Kyu;Kim, Min-Kuk;Park, Jeong;Chung, Suk-Ho;Yun, Jin-Han;Keel, Sang-I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5 no.3
    • /
    • pp.321-330
    • /
    • 2011
  • W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pplied DC electric fields on the flame spread over polyethylene-coated electrical wire. The flame-spread rates over electrical wire with negative and positive DC electric fields from 0 to ${\pm}7$ kV were measured and analyzed. We compared the results for DC electric fields with previous results for AC electric fields. We explored whether or not various flame shapes could be obtained with DC electric fields and the main reason for the flame-spread acceleration, particularly at the end of the electrical wire, for AC electric fields. We found that DC electric fields do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flame-spread rates. However, the flame shape is mildly altered by the ionic wind effect even for DC electric fields. The flame-spread rate is relevant to the flame shape and the slanted direction in spite of the mild impact. A possible explanation for the flame spread is given by a thermal-balance mechanism and fuel-vapor jet.

직류 전류 이용 종양세포의 효율적 치료에 관한 시뮬레이션 연구

  • Kim, Jae-Hong;Yang, Tae-G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289-289
    • /
    • 2010
  • 정상 세포로부터 암과 같은 종양세포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암세포가 사멸되는 임계온도 보다 높게 악성조직에 열을 가하는 방법이 연구되어지고 있다 [1]. 전류가 흐를 수 있는 4개의 전기탐침을 종양조직에 삽입하여 국부적으로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요법으로 암을 치료하는 연구가 고려되고 있다. 발열요법은 1960년대에 시작하여 우리나라에서는 1985년 연세 암센터에서 capacitive type의 RF heating 또는 전자파에 의한 국소가온법과 방사선치료와 병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주로 이용되는 방법은 Radio frequency heating, Microwave heating, ultrasound heating을 들수 있다. 라디오주파수는 보통 300 MHz 이하의 주파수를 가리킨다. 본 연구에서는 교류파 대신에 직류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경우에 관한 연구이다. 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전기장에 대한 방정식은 전도매질에서의 DC 응용모드이고, 조직 내에서의 직류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온도 분포를 모델링하는 bioheat 방정식과 연계된 문제이다. 전기장에 의해 발생되는 열의 근원은 resistive heat 또는 Joule 열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류 전류에 의한 RF heating 대신 단순한 모델의 경우로 직류 전류에 의한 열 발생에 관한 이론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종양 조직 내에 삽입된 전극에 22V를 인가하면 60초 이내에 $80^{\circ}C$까지 급속히 증가 된 후, 서서히 $90^{\circ}C$에 까지 도달한다. 4 개의 전극에 대칭적인 전위가 인가 된 경우 $50^{\circ}C$ 이상의 온도 분포를 암 조직의 모양과 유사하게 분포하게 하여 효과적인 치료를 수행 할 수 있는 조건을 제시한다.

  • PDF

직류회로의 단락전류 계산⑴

  • 이성우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222 no.2
    • /
    • pp.30-36
    • /
    • 2001
  • 전회에 걸쳐서 AC 전력계통의 3상 단락전류와 1선 지락전류 및 계통접지 방식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본 장에서는 실제로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Batteries, Rectifiers, DC Generators 등으로 구성되는 DC System의 제반 특성과 고장전류 계산을 쉽게 이해하도록 해설하고자 한다.

  • PDF

Direct-Current Dielectrophoretic Motions of a Pair of Particles due to Interactions with a Nearby Nonconducting Wall (비전도성 벽과의 상호작용에 따른 한 쌍 입자의 직류 유전영동 운동)

  • Kang, Sangm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9 no.10
    • /
    • pp.805-815
    • /
    • 2015
  • The present study numerically investigated two-dimensional dielectrophoretic motions of a pair of particles suspended freely in a viscous fluid, interacting with a nearby nonconducting planar wall, under an external uniform electric field. The results show that the motions depend strongly on the set of two electric conductivity signs and the particles-wall separation gap. When both particles have the same sign, they revolve and finally align parallel to the electric field. In contrast, with different signs, they revolve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finally align perpendicular to the field. Simultaneously, they are repelled to move farther away from the wall regardless of their conductivity set. With further separation from the wall, the particles-wall interaction effect diminishes and tthe particle-particle effect dominates.

Tracking Control of a DC Servomotor Using a Continuous VSS Control (연속 가변 구조 제어를 이용한 직류 전동기의 추적 제어)

  • 이정훈;고종선;이종준;이주장;윤명중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
    • v.41 no.6
    • /
    • pp.607-614
    • /
    • 1992
  • A continuous variable structure system control for a DC servomotor tracking controller is proposed to alleviate the chattering problems. The stability property of the proposed algorithm is analyzed in detail. The prescribed tracking error is guaranteed under load variations based on the stability analysis. Through the comparative simulations between the proposed algorithm and the conventional VS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lgorithm is proved.

  • PDF

Control Design and Dynamics Analysis of LLC Resonant Dc-to-Dc Converter (LLC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의 제어기 설계 및 동특성 해석)

  • Joung, Min-Jae;Jang, Jin-Haeng;Choi, Byung-C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909_910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넓은 입/출력 변화를 가지는 비절연형 LLC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의 제어기 설계 및 동특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변환기의 동작 영역을 확인하고 각각의 동작점에서 변환기의 소신호 해석을 한다. 그 후에 소신호 특성을 바탕으로 적절한 보상기 회로를 구성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제시된 보상기 회로의 타당성을 컴퓨터를 통한 가상 실험과 실제적인 측정을 비교하며 확인한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elecommunications Input Power (통신용 입력전원 개선에 대한 연구)

  • Kim, Gue-Hong;Park, Kyung-Gyu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07b
    • /
    • pp.1073-1075
    • /
    • 2001
  • 현재 한국통신에서는 전원공급방식을 크게 직류전원공급방식 및 교류전원공급방식으로 구분하여 공급하고 있다. 이러한 직류전원 및 교류전원으로 이원화된 통신서비스용 전원설비를 운용함으로써 대용량의 통신설비에 전원공급 시 국사상면의 부족현상이 심화될 뿐만 아니라 전력소비량증가 등 많은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우선 직류 및 교류전원공급방식의 특성 및 실제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의 전환방안과 대체 시 얻는 장/단점 및 경제적 이득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 PDF

Viscoelastic properties of electrorheological fluids (전기유변유체의 점탄성 특성에 관한연구)

  • Choe, Yun-Dae;Kim, Sang-Guk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2 no.3
    • /
    • pp.220-227
    • /
    • 1992
  • Electrorheological(ER) fluid's storage shear modulus(G') and loss factor(${\eta}$) have been directly measured using small amplitude forced oscillating rheometer as a function of oscillating frequency, strain amplitude and applied electric field. Two types of experiment were performed , (a) frequency sweep and (b) amplitude sweep. Two kinds of sample were employed for this experiment ; cornstarch particles in corn oil and zeolite particles in silicone oil. The storage shear modulus was a strong function of driving frequency. Generally, the modulus increased with driving frequency. On the other hand, the loss factor was not well behaved as storage modulus, but as the driving frequency increases the loss factor slightly decreases was the trend of the material's characteristics. Also the modulus was a strong function of strain amplitude. Generally, modulus decreased with increasing strain, but loss factor increases slightly with increasing strain amplitude. For G', cornstarch in corn oil ER fluid has higher values than zeolite based fluid as we increased applied electric field. On the other hand, zeolite based fluid has higher values for ${\eta}$. There is a reasonable agreement between theoretical calculation and experiment.

  • PDF

Direct-current Dielectrophoretic Motions of a Single Particle due to Interactions with a Nearby Nonconducting Wall (비전도성 벽과의 상호작용에 따른 단일 입자의 직류 유전영동 운동)

  • Kang, Sangm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9 no.5
    • /
    • pp.425-433
    • /
    • 2015
  • In this paper, we have numerically investigated two-dimensional dielectrophoretic (DEP) motions of a single particle suspended freely in a viscous fluid, interacting with a nearby nonconducting planar wall, under an externally applied uniform direct-current electric field. Particularly, we solve the Maxwell equation with a large sharp jump in the electric conductivity at the particle-fluid interface and then integrate the Maxwell stress tensor to compute the DEP force on the particle. Results show that, under an electric field parallel to the wall, one particle is always repelled to move far away from the wall and the motion depends strongly on the particle-wall spacing and the particle conductivity. The motion strength vanishes when the particle is as conductive as the fluid and increases as the conductivity deviates further from that of the flu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