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직감

Search Result 4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n Disaster Information Support using Big Data (빅 데이터를 이용한 재해 정보 지원에 관한 연구)

  • Shin, Bong-Hi;Jeon, Hye-Kyou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8
    • /
    • pp.25-32
    • /
    • 2018
  • Recently, the size and type of disasters in Korea has been diversified. However, Korea has not been able to build various information support systems to predict these disasters.Many other organizations also provide relevant information. This information is mainly provided on the Web, but most of it is not real time information. In this study, we have paid attention to support information using big data to provide better quality real - time information together with information provided by institutions. Big data has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with real-time property, and it can make customized service using it. Among them, SNS such as Twitter and Facebook can be used as a new information collection medium in case of disaster.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retrieve necessary information from too much information, and it is difficult to collect intuitive inform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velops an information support system using Twitter. The system retrieves information using the Twitter hashtag. Also, information mapping is performed on the map so that intuitive information can be grasped. For system evaluation, information extraction, degree of mapping, and recommendation speed are evaluated.

A Study on Image Evaluation System based on Prototype Theory (프로토타입 이론을 적용한 계층적 이미지 계측시스템)

  • 김돈한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4 no.1
    • /
    • pp.27-34
    • /
    • 2001
  • In order to design the products that impression or emotional taste influence the purchase, feedback is necessary as useful data for better idea sketches through users emotional evaluation in early stage of design process. On the other hand, it was required to make judgments individually in previous image evaluations for emotional evaluations such as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SD method) that objects have been considered as classified tendency. However those SD methods are not enough to reflect flexible human capability with similarity judgment in object perceptual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classification of stimulus based on intuitive judgment and a hierarchical image evaluation method based on analysis of hierarchical process and fuzzy integration. The evaluation will be conducted through the order of process, intuitive classification of objective stimulus and items, definition of representatives in each class. Evaluation for each image of the stimulus, calculation of prior raking based on fuzzy integration. The evaluation supportive software is developed to conduct this evaluation process under interactive environments.

  • PDF

Study on Usability and Structure of the Mechanical Pencil (샤프펜슬의 사용편의성과 그 구조에 관한 연구)

  • 윤형건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5 no.3
    • /
    • pp.63-72
    • /
    • 2002
  • I made the three main estimated head about the facility of mechanical pencil which we always use in normal days. The head are these, the first is apparent usability by experiment, the second is the feeling when grasping, the third is the feeling when writing. After making the head, 1 selected the head which give the effect to the facility and make sure the interaction between heads by the method of actual test with 36 samples. After this test, 1 can find that there is no high interaction between the facility and the intuitively feeling by experiment. It's because the expectation which was made by experiment for the facility is higher than the real. but there is high interaction between the feeling of wearing and the feeling of writing. The mechanical pencil which has good facility is that the total length is long(169mm), the thickness is big($\Phi$8.5mm), the weight is little bit heavy(21.4g), the intersection is not circle, the surface where is hold by fingers has across grooves, and the body is glossy.

  • PDF

Numerical Analysis of Urban Viewscape using Digital Photogrammetry (수치사진측량을 이용한 정량적 도시경관분석)

  • 최병길;안경수;이형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2.04a
    • /
    • pp.141-148
    • /
    • 2002
  • As the city in Korea has been developed rapidly and quantitatively, land viewscape has been neglected and is being recognized as one of the important issue that we have to interest in now. But land viewscape scene has not yet constructed numerically and objectively, therefore the analysis of urban viewscape had been made inefficiently, nonsystmetically, inexactively. In this study,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urban viewscape by using digital photogrammetry and GIS was made. At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showed that 3D analysis of urban viewscape using digital photogrammetry is numerical, quantitative and objective not intuitive, quantitative and subjective.

  • PDF

전자계이론에 대한 안테나 전파연구의 동향 기타

  • 박정기
    • 전기의세계
    • /
    • v.24 no.2
    • /
    • pp.22-24
    • /
    • 1975
  • 안테나, 전파전파에 관한 학회에서의 발표논문중 전체의 약 반수가 안테나에 직접 관계한 것이며 약 1/4이 전파전파에 관한 연구이고 나머지 약 1/4은 산란, 회절, 잡음, 기초이론, 수치계산이론등에 관한 것 및 전파응용에 관한 것으로 되고 있다. 또 안테나에 대한 연구논문중 가장 많은 것이 phased array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대형레이더, 항공기용 레이다 등에의 응용 기타 다목적의 빔 안테나에 이용될 것을 전제로 연구되고 있다. 많은 안테나 소자를 어떻게 배열하여서 어떠한 진폭과 위상으로 급전하면 최량의 지항성 또는 바라는 지향성이 얻어지며 또 그 오차는 얼마가 되는가 등이 연구의 중심과제가 되고 있다. 참고로 1974년 미국 조지아 공과대학에서 개최된 안테나 전파국제학술회의에서 발표된 제목들을 알아보면 표1과 같으며 phased array 안테나가 기초적 검토 단계를 지나 실용화단계에 접어든 것을 직감할 수 있다.

  • PDF

Study on the Color Scheme for Improvement of a Sensibility Communication when Web Site Design (웹사이트 설계시 감성 커뮤니케이션 향상을 위한 색체계획 수립 연구)

  • Kim Nam-H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0 no.9
    • /
    • pp.1602-1611
    • /
    • 2006
  • There are relatively abundant guide lines on designing taking a side view of aesthetics though most of guidelines are based on designer's intuition and common sense. This study focuses on design methodology what can bring about the sensibility from users which coincides with the purpose of the web sites, breaking from the design which was focused on efficient usability. For this approach we applied color scheme to web design based on sensibility model of I.R.I Color Laboratory. Effective color scheme can build up and enhance the sensibility communication between designers and users.

공간감각 형성을 위한 조작활동의 지도 방안

  • Kim, Chang-Il;Kim, Sin-Jwa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1
    • /
    • pp.183-192
    • /
    • 2002
  • 자기 주위의 상황과 그 물체에 대한 직감(intutive feeling)을 뜻하는 공간감각은 수학교육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로서, 수학과 과학에서 다른 영역을 공부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고, 주위의 구조와 대칭성을 볼 수 있게 도우며, 모든 수학에서 창의적 사고를 지원한다. 우리나라에서도 2000학년도부터 연차적으로 실시되는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도형여역에 ‘공간감각 기르기’를 신설하여 그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미국의 공간감각 지도의 변천과 우리나라 제 7차 교육과정의 공간감각 영역의 학습 내용을 비교, 우리나라 7차 교육과정의 공간감각영역의 학습내용을 살피고, 현행 7차 교육과정에 의거 초등학교 2학년의 공간감각 영역의 교수 ${\cdot}$ 학습과정을 실제 적용, 이후 아동의 학습 추이를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우리나라 초등학교 아동의 공간감각 형성을 위한 여러 가지 지도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결론 및 제언에서는 이러한 수업으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하여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공간감각 영역의 적용에 대한 시사점을 몇 가지 기술하였다.

  • PDF

구조최적설계법과 재래식설계법의 문제점

  • 이규원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7 no.3
    • /
    • pp.24-36
    • /
    • 1994
  • 최적설계법에 의한 설계는 종래의 설계법에 의한 설게보다도 중량이 가볍거나 비용이 적을 것으로 생각되었기 때문에 중량이 가볍거나 비용이 적지 않으면 최적설계로는 의미가 없는 것으로 이해된 시대도 있었다. 그러나 구조설계분야 뿐만 아니라 일반 공업설계는 대단히 많은 의사결정이 직렬, 병렬의 관계로 구성되어 있다. 그중 어떤 의사결정은 인간의 경험, 직감, 도는 상상력에 의한 것이 유효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결정해야 할 변수의 수가 많을 경우는 각 의사결정간의 관계가 복잡할 때에는 전자계산기의 이용이 유효하여 최적설계는 의사결정의 유효한 수단으로써 위치를 굳히게 되었다. 의사결정이 어느 부분은 전자계산기가 분담하므로써 양질의 최적설계가 가능하게 되고 또는 기술자는 그가 가지고 있는 능력 중 가장 잘 이용해야 할 창의력이 요구되는 의사결정문제에 보다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간의 능력과 계산기의 능력을 총합하여 최상의 의사결정을 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 때문에 최적설계를 구조총합이라 한다.

  • PDF

Adjusted Gasoline Demand Forecasts: Artificial Neural Networks Approach (보정된 가솔린 수요예측치: 인공신경망적 접근)

  • 염창선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
    • v.25 no.2
    • /
    • pp.77-83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가솔린 시계열 예측전문가들이 수요를 예측하고, 더 나아가 직감적으로 행하고 있는 보정과정을 자동화하기 위해 신경망을 사용한다. 가솔린 수요 예측분야에서 보정을 위해 사용되는 전형적인 판단요소는 정부 에너지 절약 정책, 에너지 산업의 파업, 공휴일 등이 있다. 주요 추세가 순환신경망에 의해 예측되고 이들 판단요소의 효과가 다층신경망에 의해 탐지되어 보정된다. 가솔린 수요에 대한 실험결과는 보정과정을 갖는 예측구조가 하나의 신경망을 사용하는 예측구조 보다 더 나은 예측력을 보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접근방법이 순환신경망이나 ARIMA 모델을 사용하는 것보다 더 나은 결과를 가졌다.

SDM Technique Development for HDD Acoustic Noise Control (HDD 소음제어를 위한 SDM 기술 개발)

  • Kim, Gyeong-Ho;Park, Mi-You;Park, You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0.11a
    • /
    • pp.765-770
    • /
    • 2000
  • HDD로부터 방사되는 소음을 제어하려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소음제어 방법은 주로 소음/진동 측정에 의한 실험적 방법과 엔지니어의 직감과 경험을 이용만 반복적 시행 착오법에 의존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제품 개발 기간의 단축이 요구되고 소음문제가 더욱 크게 대두되는 현실에 비추어 볼 때 부적절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석적 방법을 통해 HDD 소음을 체계적으로 제어하고자 한다. 실험을 통해 HDD의 소음/진동특성을 파악하였고 문제가 되는 관심 주파수대역를 선정하였다. 복잡한 HDD 전체구조물에 대한 유한요소모델을 세우기 보다 소음/진동적 측면에서 문제가 되는 커버만 유한요소모델을 수립하고 부분구조합성법을 통해 전체 HDD의 동특성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수립하려 하며 현재 이러한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이러한 실험/해석모델이 완성되면 궁극적으로 SDM을 적용하여 소음/진동 특성이 향상된 HDD 구조물 설계기법을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의 실험 및 해석결과와 향후 필요한 과제를 고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