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화학적 특성

Search Result 293,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Geochemical and Mineralogical Characterization of Arsenic-Contaminated Soil at Chonam Gold Mine, Gwangyang (광양 초남 금 광산 비소오염 토양의 지화학적 및 광물학적 특성)

  • Kong, Mi-Hye;Kim, Yu-Mi;Roh, Yul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4 no.3
    • /
    • pp.203-215
    • /
    • 2011
  • Geochemical and mineralogical properties of a contamited soil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o decide a remediation strategy for a given contaminant because development and optimization of soil remedial technologies are based on geochemical and mineralogical separation techniqu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ochemical and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arsenic-contaminated soils. The arsenic-contaminated soil samples were obtained from Chonam gold mine, Gwangyang, Chonnam, Particle size analysis, sequential extraction, and mineralogical analyses were used to characterize geochemical and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As-contaminated soils. Particle size analyses of the As-contaminated soils showed the soils contained 17-36% sand, 25-54% silt, 9-28% clay and the soil texture were sandy loam, loam, and silt loam. The soil pH ranged from 4.5 to 6.6. The amount of arsenic concentrations from the sequential soil leaching is mainly associated with iron oxides (1 to 75%) and residuals (12 to 91%). Major minerals of sand and silt fractions in the soils were feldspar, kaolinite, mica, and quartz and minor mineral of which is an iron oxide. Major minerals of clay fraction were composed of illite, kaolinite, quartz, and vermiculite. And minor minerals are iron oxide and rutile. The geochemical and mineralogical analyses indicated the arsenic is adsorbed or coprecipitated with iron oxides or phyllosilicate minerals. The results may provide understanding of geochemical and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for the site remediation of arsenic-contaminated soils.

경남 창원 마금산온천의 수리화학

  • Kim Geon-Yeong;Park Gyeong-U;Kim Cheo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5.04a
    • /
    • pp.276-279
    • /
    • 2005
  • 마금산온천 지역에 대한 기초적인 지화학 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지역내에는 일반 지하수와 온천수가 함께 산출되며, 온천수의 지화학적 특성은 마금산 온천이 해수의 영향을 받았음을 지시한다. 또한 주변의 일반지하수와의 혼합정도에 따라 지화학적 특성이 변화하고 있으며, 일반지하수 또한 온천수의 영향을 지역적으로 받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마금산온천을 생성시킨 지열수가 연구지역의 지하수체계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주고 있다.

  • PDF

가막만 표층 퇴적물의 금속 물질 분포 및 지화학적 특성

  • 이재성;김성수;정래흥;김귀영;박승윤;박종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165-166
    • /
    • 2000
  • 가막만은 반폐쇄성 해역으로 해수의 유통이 잘 되지 않고 주변에 여수시의 생활하수가 유입되는 곳이다. 또한 양식어장 증가 및 화학공장의 건설 등 다양한 오염원의 증가로 만 북부에서는 하계에 빈산소 현상이 주년 나타나고 있어 수산피해가 우려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표층퇴적물과 주상 퇴적물에 함유된 유기물과 금속성분을 분석하여 각 성분의 지화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들 물질의 오염원 분포 및 강도를 추정하는데 있다. (중략)

  • PDF

방사성폐기물 처분연구를 위한 심부 시추공지하수의 지화학특성

  • 배대석;고용권;김건영;김천수;김경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9a
    • /
    • pp.335-338
    • /
    • 2002
  • 방사성폐기물처분연구의 일환으로 화강암지역내 심부지하수에 대한 지화학특성조사가 수행되었다. 지하수 시료는 다중패커시스템이 설치된 심부시추공으로부터 심도별로 채취되었으며, 계속적인 지화학 및 동위원소에 대한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심부지하수는 pH가 약10.0이며 Na-HCO$_3$형으로 지화학적으로 특징되며, 지표로 250m이하의 심도에서는 거의 동일한 지화학적 특성을 보인다. 동위원소결과는 심부지하수는 천수기원임을 보이며, 천부지하수에 비해 약500~1,000m 높은 고도에서 함양되었음을 보여준다. 250m이하의 심부지하수는 50년이상의 체류시간을 갖음을 나타낸다.

  • PDF

용인시 백암정수장 지역 지하수의 지화학적 특성

  • 김건영;김천수;배대석;강재기;김형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597-600
    • /
    • 2003
  • 용인시 백암취수장 주변 지역의 지하수에 대해 기초적인 지화학적 조사를 수행하였다. 현장측정자료에서는 취수정의 pH와 EC값이 주변지하수보다 지표수와 유사한 값을 보이며, 취수정의 용존산소(DO) 함량이 천층지하수보다 높은 값을 보인다. 더구나 취수정의 경우 NO$_3$함량이 10.5-12.1 mg/L이며 주변 지하수는 7.2-25.3 mg/L, 지표수는 13.1-14.9 mg/L로서 취수정의 설치심도가 70-180m로서 상대적으로 깊은 암반층에 설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주변지하수 및 인접 지표수의 혼입에 의해 영향을 받아 오염이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구 지역은 현재 취수정이 모두 청미천변에 위치하고 있어서, 현재 암반 지하수로 개발하고 있는 취수정 지하수가 주변 천부지하수 및 지표수에 의한 혼입 및 오염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앞으로 장기적인 모니터링 및 지화학적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atkatbong Pluton, Yeongdeok, Korea (영덕 삿갓봉암체의 암석학적 특성)

  • Lim, Hoseong;Kim, Jung-Hoon;Woo, Hyeondong;Do, Jinyoung;Jang, Yun-Deuk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5 no.2
    • /
    • pp.121-142
    • /
    • 2016
  • The Satkatbong pluton was studied with other plutons together, but some fundamental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missing. This study mainly reports the petrography and geochemistry of the Satkatbong pluton comparing with the Daebo and the Bulguksa granitoids in south Korea. The Satkatbong pluton, which is host rock including a number of Mafic Magmatic Enclaves (MME), is north-south shaped dioritic pluton, located along the east coast of south Korea. The Satkatbong pluton seems to be unconformable with Cretaceous sedimentary rocks from fieldwork result. In geochemistry, the Satkatbong pluton, which is roughly similar with the Daebo granitoids, is classified into calc-alkali series rock and volcanic arc granitoid Tectonically. The fact that AlT value in marginal parts of amphiboles in the Satkatbong pluton is lower than other granitoids implies emplacement depth of the Satkatbong pluton was relatively shallow. The Satkatbong pluton shows different geochemical feature compared to the adjacent adakitic Yeongdeok granite. This seems to be caused by mafic mantle material expected from the occurrence of M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