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형특성

Search Result 3,12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etermination of Highway Design Speed Based on Reclassification of Highway Functions and Terrain Types (기능 재분류와 지형특성을 이용한 도로 설계속도 적정화 방안)

  • Shim, Kywan-Bho;Choi, Jai-Sung;Hwang, Kyung-S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3 no.6 s.84
    • /
    • pp.7-18
    • /
    • 2005
  • Currently, design speed selection is chosen by highway function, terrain type and area type. But some standards in classifing highway function let designer decide design speed in an arbitrary manner and too rough a highway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leads to a road function which can not reflect road design, and some ambiguity of terrain type leads to a road which can not reflect land use pattern. Highway design based on traffic volume level without considering area type can result high construction cost. This research paper provides new highway design standards which are based on the refinement of highway design speed selection procedure. The new design speed is summarized to be determined by a more detailed highway function, terrain type, and area type that were made considering South Korean characteristics. The new highway function is established by adopting highway function reclassification and design volumes and rural town center reclassification and new design standards for terrain type selection are developed in this research by analyzing South Korean GIS Data Base obtained over the national government offices.

A Study on The Change of NIR(Near-Infrared Reflectance) value of The Natural Sample by Landform Division (주변 자연 지형에 따른 자연시료의 NIR 반사율값 비교)

  • Lee, Hae-Jung;Kim, Mi-Ri;Ko, Jae-Hoon;Park, Yoo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03a
    • /
    • pp.90-90
    • /
    • 2011
  • 스텔스 기능성 섬유의 위장은 주간의 경우, 육안 및 망원경 관측에 의해 결정되며 주변자연환경 color matching과 패턴이 핵심 스텔스 요인으로 구성되고, 가시광선 영역 스텔스로 표현할 수 있으며, 군 위장 체계에 있어 기본이 되는 기술 분야로 모든 군 위장제품에 활용되는 필수적인 기술 분야이다. 따라서 가시영역의 위장은 다양한 색상의 위장포와 포의 펀칭 등에 의한 파형특성을 부여하고 주위환경과 특성 조화를 이룸으로써 대상을 위장한다. 주요인자는 색상별 색도, 색차이다. 야간 위장은 근적외선 관측 장비의 탐지에 의해 결정되며 주변자연환경 NIR 반사율과 위장제품의 NIR 반사율 저하/제어기술이 핵심 스텔스 요인으로 구성되고, 근적외선(NIR) 영역 스텔스로 표시할 수 있으며, NIR 스텔스는 대개의 경우 기본적으로 섬유제품이 NIR 영역에서 높은 반사율을 나타내므로 NIR 반사율 저하/제어기술이 핵심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근적외선 영역(600~1250nm)의 적외선 반사특성을 산림지역의 반사특성과 조화시켜 위장효과를 부여한다. 위장포에서는 적외선 흡수 색소를 사용하여 적절한 반사특성을 나타나게 해야 한다. 위장용섬유가 detector의 탐지에서 벗어나려면 현재 700~1250nm의 근적외선파장영역에서 주변환경과 유사한 반사율을 지녀야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숲 연구소" 및 서울대학교 "지반공학연구실"의 자문을 받아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존재하는 자연환경시료를 선정하여, 선정된 시료의 근적외선영역에서의 반사율을 분석하였다. 자연시료는 산간, 해안, 평야지형으로 각각 구분하여 주변 자연지형에 따른 자연시료의 근적외선영역의 반사율값을 비교하였다. 북한산에서 산간지형의 시료를 채취하였고, 해안지형의 시료는 강화도 동막해수욕장 부근, 평야지형의 시료는 인천 강화도 평야지역에서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비교분석한 지형별 자연시료의 근적외선 반사율값의 데이터베이스구축을 통하여 기존의 위장복과의 비교 적용 및 차후 개선사항 등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Geomorphological Features Affecting the Initial State of Landslides (초기 산사태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지형요소의 특성분석)

  • Cha, A-Reum;Kim, Tai-Hoon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30 no.6
    • /
    • pp.61-68
    • /
    • 2014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reliminary landslide hazard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geomorphological features, which are believed to be critical values in the initial state of landslides. Two methods, SINMAP and Planarity analyses, are used to simulate those characteristics where landslides are actually located. Results showed that both methods well discriminate geomorphic features between stable and unstable domains in the landslide areas. SINMAP analysis which is the consecutive model considering external factors like infiltration identifies the landslide hazard especially for debris flow type landslides better than plararity analysis focusing on a specific area. This analysis combined with other methods dealing with specific characteristics of geomorphological feature, the accurate landslide hazard will be evaluated.

The Geomorphic Characteristics on the Location of Gyeongju, Capital City of 'Saro' and 'Silla' Kingdomsin Ancient Times, Korea (고대국가 사로국과 신라의 수도 경주의 입지에 미친 지형 특성)

  • Hwang, Sangill;Yoon, Soon-Ock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20 no.3
    • /
    • pp.79-94
    • /
    • 2013
  • Gyeongju in Saro or Silla one of ancient kingdoms in Yeongnam region of southeast Korea, had been developed as a capital city for thousand years despite its unfavorable geographical location being leaned to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lthough this rare case in the world resulted from various facts relevant to political capability and intelligence of the ancient Gyeongju people, the geomorphic characteristics played a key role for its political development.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establishment and growth of ancient kingdoms in Gyeongju area in terms of geomorphological factors such as the Taebaek and Sobaek mountain ranges, distribution of fault lines and alluvial fans along the eastern coast of the peninsula, characteristics of the coastal regions. That is, abundant grain supply from alluvial fans in Gyeongju and surrounding areas, high population-carrying capacity of land and positioning of an ancient supercity were made possible by the geomorphological contributions. Furthermore, Gyeongju could hold the lead in competition with surrounding kingdoms by accumulation of wealth and military superiority derived from 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salt and iron works. Gyeongju had become the capital of ancient kingdoms due to the geomorphic advantages during the ancient times in Korea.

구릉지 완사면의 "U자형 골" 지형발달에 관한 수문학적 연구(제2보)-지형발달 추론을 중심으로-

  • 양해근;박종관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11a
    • /
    • pp.78-82
    • /
    • 2003
  • 지형은 지표물질의 변위 혹은 변형, 물질의 화학적 구조가 변함에 따라 변화한다(좌등구 외, 1990). 이러한 지형 프로세스는 물순환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지표공간을 이루는 대부분의 지형은 지상에 공급된 강우의 유출과정에서 형성된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곡저 또는 곡두는 유수의 배출통로인 동시에 유출특성에 기인한 각 종 지형프로세스에 의해서 형성된다(은전 외, 1996). (중략)

  • PDF

구릉지 완사면의 U자형 지형발달에 관한 수문학적 연구(제1보)

  • 양해근;박종관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05a
    • /
    • pp.102-103
    • /
    • 2003
  • 지형은 지표물질의 변위 혹은 변형, 물질의 화학적 구조가 변함에 따라 변화한다(좌등구 외, 1990 ). 이러한 지형 프로세스(geomorphological processes)는 물순환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지표공간을 이루는 대부분의 지형은 지상에 공급된 강우의 유출과정에서 형성된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곡저 또는 곡두는 유수의 배출통로인 동시에 유출특성에 기인한 각 종 지형프로세스에 의해서 형성되므로(은전 외, 1996). 사면에서 일어나는 지형 프로세스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면에서의 물의 유출과정에 대한 명확한 규명이 전제가 되어야 한다. (중략)

  • PDF

Analysis of Forest Fuel Quality by Forest Fire Damage (산림연료 특성별 산불피해도 분석)

  • Kwon, Chun-Geun;Lee, Si-Young;Lee, Myung-Woog;Lee, Hae-Pyeo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96-196
    • /
    • 2011
  • 산림연료 특성별 산불피해도 분석을 위하여 산불피해의 조사지역은 2009년, 2010년 산불이 발생했던 강원도 고성지역과 양양지역, 강릉지역과 삼척지역을 조사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고성군의 경우 숲구조가 유령림인 활엽수림이 2개소, 칩엽수림 1개소, 장령림인 활엽수림 2개소로 총 5개소, 양양군은 숲구조가 유령림인 침엽수림이 1개소, 장령림 침엽수림 2개소 총 3개소, 삼척시의 경우는 숲구조가 유령림인 침엽수림이 1개소 외 대조구 장령림 침엽수림 1개소, 강릉시의 경우 숲구조가 장령림인 침엽수림이 3개소 총 13개소를 각각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산림연료 특성별 산불피해도를 조사하기 위한 조사지 규모는 $10m{\times}10m$로 하였으며, 현장 조사 항목은 조사지내의 산불피해 상태, 조사지 지형특성으로 나누어 조사를 실시하였다. 산불피해 상태는 산불진행방향, DBH, 총수고, 지하고, 고사여부, 편면연소, 밀도, 수간피해율, 수관피해율 등을 조사하였고, 조사지의 지형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조사지의 위치(GPS), 해발고도, 사면방위, 산지경사, 지형을 조사하였다. 현장조사를 위한 조사장비로는 조사지의 지형도, 야장, 디지털 카메라, GPS, 수고측정기, 직경테이프, 캘리퍼, 50m 줄자 2개, 2m 폴대, 클리노메타, 바인더끈 등을 사용하였다. 산불사례 현장조사를 통해 임목고사여부, 편면연소, 수간피해율, 수관피해율 등의 산불피해 특성을 분석한 결과 연료의 특성별 유령림과 장령림의 편면연소율은 유령림은 97.3%, 장령림은 16.5%로 유령림의 편면연소율이 장령림보다 80.8% 더 피해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관피해율은 유령림은 95.4%, 장령림은 19.9%로 유령림의 수관피해율이 장령림보다 75.5%더 피해를 입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또한 임목고사율은 유령림은 73.8%, 장령림은 24.5%로 유령림의 임목고사율이 장령림보다 49.3% 더 피해를 받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 PDF

Analysis of the Nash Model Using the Similarities of Hydrogeomorphologic and Time Response Characteristics (수문지형특성 및 시간응답특성의 상사성을 이용한 Nash 모형 해석)

  • Seong, Gi-W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0 no.2
    • /
    • pp.97-106
    • /
    • 1997
  • Parameters of the Nash model were analyzed using similarity concepts for the hydrogeomorphologic and the time response characteristics, then the application of parameter estimation was performed for a basin where no data are available. The self-similarity was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similarity of hydrogeomorphologic characteristics and to derive a equation for the time of concentration. The relation between model parameters and time characteristics such as travel and lag time, were developed to obtain their properties of similarity. There were remarkable results about the assessment for basin similarity and the application to an ungaged basin in Wi stream basin.

  • PDF

전라북도의 지반특성

  • 정진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4.03a
    • /
    • pp.188-198
    • /
    • 2004
  • 본 도의 지형 및 지질에 대해서는 "한국지지 지방편 IV"(국립지리원, 1986)에 자세한 내용이 있다. 이 가운데 본 편은 원래 지형 편이었으나 지질에 관한 부분도 개관되어 있으므로 지질 편은 생략하고 지형 및 지질 편으로 하여 요약한 것이다.(중략)한 것이다.(중략)

  • PDF

강원도 영월지역의 지질다양성과 활용

  • Kim, Tae-Hyeong;Gong, Dal-Yong;Choe, Don-Won;Im, Jong-Deok;Jo, Jong-Hyeon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65-65
    • /
    • 2010
  • 지구상의 광물, 암석, 화석 그리고 지질구조, 지형 등의 개개의 지형 지질학적 요소의 특성과 다른 대상과의 상호관계를 지질다양성이라고 한다. 지질다양성은 지형 지질에 내재되어 있는 본질적, 문화적, 심미적, 경제적, 기능적, 연구 및 교육적 가치를 이해하고 보전함으로써 유지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지질다양성에 대한 흥미와 이해를 높이기 위해 학술적 보전 가치가 있는 강원도 영월지역을 선정하여 그 특징을 분석하고 지질다양성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강원도 영월지역의 지질다양성에 대한 조사는 지형경관 자원과 지질특성의 희소성, 대표성, 학문적 가치 및 활용가치에 중점을 두고 전문가와 협의하여 보존가치가 있고 지리적으로 접근하기 편리한 노두 8곳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8곳의 노두는 고생대의 암석과 지층, 뚜렷한 퇴적구조, 화석, 규모가 크고 전형적인 하천지형이 나타나는 곳으로 지질유산(지형 지질)의 내재적 가치와 지구과학적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대상지이다. 대상지의 지질다양성에 대한 조사를 토대로 야외 지질학습장과 지질공원 및 지질명소, 과학적 특별흥미지역 등을 개발하여 제공함으로써 지형 지질에 대한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신장과 지구과학에 대한 흥미와 이해를 증진시키는 장을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과학적 가치와 더불어 사회적, 문화적 가치를 부여하여 보전함으로써 지질유산(지형 지질)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생길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