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형정보시스템

Search Result 1,04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pplication of GIS for Selection of Logging Operation Machine (벌출작업 기종의 선정을 위한 GIS 활용)

  • Jeon, Kwon-Seok;Ma, Ho-Seop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6 no.1
    • /
    • pp.85-97
    • /
    • 2003
  • This study was aimed at suggest a proper logging method of mountain forest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based on digital terrain model(DTM) in the National Forest at Mt. Kumsan in Namhae-gun, Gyungsangnam-do, which has about 2,948 ha in area. The areal percentage of 201 to 250m in the elevation was about 15.5%, elevation of 251 to 300m was 14.5%, and 78.75% for higher than 400m. The accumulated areal percentage of below 30% in the gradient was 17.2%, and 81.0% for steeper than 60%. The area for tractor skidding was 17.2%(511.7ha), the area for tractor attached winch skidding was 63.8%(1,896.3ha) and 18.4%(545.5ha) for cable yarding. It is important to choose the proper logging machines for timber harvesting. In general, the selection of logging operation system was affected several major environmental factors like as terrain conditions(slope gradient, slope length) and stand factors. The rate of middle slope gradients in terrain conditions showed higher than that of steep slope gradients in this area. Therefore, it considered that the logging operation system in this area could apply to tractor+winch operating machine according to terrain conditions.

  • PD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for Nuclear Disaster Prevention (원자력방재를 위한 지리정보시스템)

  • Lee, Gwang-Pyo;Lee, Yun;Kim, In-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7.10a
    • /
    • pp.169-175
    • /
    • 2007
  • 고리, 월성, 울진, 영광 등4개 원전부지와 하나로 연구용 원자로 부지에 대해 방사성물질의 대기 중 누출사고 발생 시 대축척 전자지도와 연계한 사고정보 파악, 예상피해분석, 방재시설 및 소개정보 활용 등을 통해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방사능 물질 피해지역관리 및 신속하고 효율적인 주민대응조치 수립을 위한 의사 결정 지원할 수 있는 방사능방재 지리정보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리, 월성, 울진, 영광, 대전지역의 원자력 발전소 및 연구용 원자로 반경 40km이내 지역의 행정경계, 도로, 등고, 수계, 건물 등의 일반지형지물정보와, 비상계획구역 내 마을의 상세정보, 집결지, 대피소, 교통통제소, 환경방사능감시기, TLD등의 방재시설물 위치 및 관련 상세정보, 관공서, 경찰서, 소방서, 보건소, 학교, 병원 등의 방재관련 지형지물 위치 및 관련 상세정보, 원전부지 내 인구분포, 보유 차량 분포, 농작물 재배 현황, 축산물 재배현황 등의 방재관련 사회통계정보를 포함하는 공간 및 속성 데이터베이스는 구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방사선 피폭영향 평가시스템(FADAS)의 예상평가결과를 전자지도 상에 표출하고, 이에 근거한 예상피해를 분석하며, 소개단계 대상 마을 검색 및 바람장 분석을 활용한 소개경로 제시 등을 통해 주민보호조치 의사결정을 지원하며, 사고대응 및 소개현황 정보를 관리하는 웹 기반의 원자력방재 지리정보시스템을 확대 개발하였다. 방재시설물 및 방재관련 지형지물, 방재관련 사회통계자료의 검색기능 및 실시간 원전 바람장 정보조회, 실시간 ERMS 수집정보 조회, 수치예보 정보 조회, 온라인DB관리 등의 확대 구현을 통해 사고대응조치 및 피해분석업무를 지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원자력방재 지리정보시스템 완성을 통해 방사능 비상시 중앙본부와 지역본부 및 유관기관 간에 지리정보와 연계한 정확한 사고정보 및 방재정보의 신속한 공유를 제공하고, 적절한 비상대응조치 의사결정 및 주민보조조치 수행을 지원하여 효율적인 사고지역 관리 및 인적 물적 자원의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of Component Based Rigorous Geocoding Algorithm for ERS SAR (컴포넌트 기반의 ERS SAR 엄밀지형보정 알고리즘 개발)

  • Sohn, Hong-Gyoo;Park, Choung-Hwan;Lee, Hyung-Ki;Lee, Ki-Sun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3a
    • /
    • pp.150-155
    • /
    • 2002
  • SAR 시스템은 능동적 센서로 마이크로파라 불리우는 전자기파를 직접 지상에 보내고 돌아오는 신호의 위상과 진폭을 이용하여 영상으로 나타내는 간섭성 시스템이다. 이러한 영상의 특성으로 인해 날씨나 태양의 유 무에 상관없이 영상을 취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기존의 다중분광 위성영상과의 SAR 영상의 Data Fusion을 통해 지상의 새로운 정성적 정보를 취득하려는 시도 등 나날이 그 활용성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SAR 영상의 광범위한 활용을 위해서는 먼저 영상의 지형보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AR 영상의 활용을 위해서 선행되어야 할 지형보정의 알고리즘을 컴포넌트 기반의 프로그램으로 구현하고 대상연구지역에 대한 적용을 통해 그 활용성과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한다. 연구대상지역은 ERS-1, ERS-2 SAR로 촬영된 대전광역시와 그 주변지역으로 해당 SAR 영상에 대하여 엄밀지형보정 알고리즘과 경사거리 영상을 지상거리 영상으로 변환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실험결과 공칭해상도 30m의 ERS 영상에 대하여 39.7m(X방향으로 24.5m, Y방향으로 31.3m)의 수평오차를 나타내었으며 경사거리 영상의 지상거리 영상으로의 변환도 원활하게 수행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연구된 모든 알고리즘은 컴포넌트 기반으로 설계하고 구현되어 향후 국내 SAR 처리기술 개발에 있어서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Utilizing GSIS and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ry for Landform Analysis and Sight-Seeing Guidance (금오산 도립공원의 지형분석과 관광안내를 위한 GSIS와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활용)

  • Lee, Jin-Duk;Choi, Young-Geun;Lee, Ho-Chan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3a
    • /
    • pp.156-161
    • /
    • 2002
  • 자연공원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효율적인 자료수집과 처리, 그리고 합리적인 분석과정이 필요하며, 이러한 관점에서 지형공간정보체계와 위성원격탐사를 이용하는 공원관리 및 관광안내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금오산 도립공원구역을 사례연구지역으로 GSIS(Geo-Spatial Information System)기법을 도입하여 수치지형도, 주제도, 위성영상 등으로부터 도형자료 및 비도형자료를 수집 처리하였다. DEM 생성을 통하여 얻어진 경사도, 사면방향, 지형단면, 지질 분석 등 주제별 지형분석을 행하였다. Landsat TM 위성자료로부터 토지피복분류와 NDVI 식생활력도를 추출하였고, 이 자료들로부터 GSIS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또한 대상지역을 포함하는 Im 해상도의 IKONOS 위성자료를 처리하여 영상지도를 작성하고 DEM과 중합하여 3D 시각화를 구현하였다. 위성영상지도 및 3차원 경관도상에 주요 등산로 벡터자료를 중첩하여 표현하고, 5개 루트의 주요 등산로를 따라 3D 경관 및 문화재, 관리시설 등을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개발과 보존의 중도를 취하는 자연공원의 적정 토지이용을 위한 사전평가 자료 및 Web 기반 관광안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기본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Mapping of Precision DEM of Nakdong River Watershed Using RS/GIS Technique (RS/GIS 기법을 이용한 낙동강 유역 정밀 DEM 생성)

  • Shin, Hyoung-Sub;Na, Sang-Il;Jung, Sang-Hwa;Im, Dong-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50-150
    • /
    • 2011
  • 최근 수자원분야에서 원격탐사(RS) 및 지형정보시스템(GIS)의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이를 이용하여 1,2 차원 수리분석 향상을 위한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하고 있는 일반적인 DEM은 하천부분에 대한 고도의 불일치로 인해 수리분석시 정밀한 분석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USGS DEM과 낙동강 측량 자료를 이용하여 낙동강 유역 정밀 DEM 제작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측량자료를 이용하여 하천의 DEM을 생성한 후, 자체적으로 개발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하천 DEM과 USGS DEM을 접합하여 낙동강 유역의 정밀 DEM을 제작한다. 이는 1,2차원 수리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할 때 결과를 더욱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 PDF

3D GIS system using the CCTV camera (CCTV 카메라를 활용한 3D 지리정보시스템 구현)

  • Kim, Ik-Soon;Shin, Hyun-Shik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6 no.4
    • /
    • pp.559-565
    • /
    • 2011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that is able to build geographic information effectively by creating 3D topography after extraction surrounding terrain information through the video shooting in the CCTV camera. We also propose tracing method for object recognized through the video shooting of camera and recognition method which is whether or not the terrain change according to success or not of tracing the object. We apply this method in the industry field we can build a geographic information close to the actual terrain, but also can be used for security, surveillance and tracking system.

Land Preview System Using Laser Range Finder based on Heave Estimation (Heave 추정 기반의 레이저 거리측정기를 이용한 선행지형예측시스템)

  • Kim, Tae-Won;Kim, Jin-Hyoung;Kim, Sung-Soo;Ko, Yun-H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C
    • /
    • v.49 no.1
    • /
    • pp.64-73
    • /
    • 2012
  • In this paper, a new land preview system using laser range finder based on heave estimation algorithm is proposed. The proposed land preview system is an equipment which measures the shape of forward topography for autonomous vehicle. To implement this land preview system, the laser range finder is generally used because of its wide measuring range and robustness under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 The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has to be known to generate the shape of forward topography and sensors based on acceleration such as IMU and accelerometer are generally utilized to measure heave motion in the conventional land preview system. However the drawback to these sensors is that they are too expensive for low-cost vehicle such as mobile robot and their measurement error is increased for mobile robot with abrupt acceleration. In order to overcome this drawback, an algorithm that estimates heave motion using the information of odometer and previously measured topography is proposed in this paper. The proposed land preview system based on the heave estimation algorithm is verified through simulation and experiments for various terrain using a simulator and a real system.

A study on Accuracy Improvement of Three-Dimension Terrain Modelling (3차원 지형모델링의 정확도 향상에 관한 연구)

  • 신봉호;양승용;엄재구;송왕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4 no.2
    • /
    • pp.151-157
    • /
    • 1996
  • This study, experimentally, aims at presenting the methodology to construct an efficient digital terrai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accuracy among the existing Digital Terrain Models, develope 3-D fractal terrain model-ling program by applying digital algorithm of fractal geometry and using turbo pascal, and lastly perform basic research on constructing GSIS-based 3-D fractal terrain modelling system by integrating a PC-based GSIS Pack-age and the 3-D fractal terrain modelling program developed by this pap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ethod to produce TIN(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by the combination of point data and line data was showed as an alternative to construct efficient Digital Terrain Model. Second, developing GSIS-based 3-D fractal terrain modelling system, applying fractal geometry is the basic research in developing the new terrain modelling method. also, this study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3-D terrain modelling with the use of fractal.

  • PDF

A Study on Efficient Technique of 3-D Terrain Modelling (3차원 지형모델링의 효율적 기법에 관한 연구)

  • 윤철규;신봉호;양승룡;엄재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5 no.2
    • /
    • pp.207-213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im at presenting efficient technique of 3-D Terrain Modelling through multilateral approach methods and to compare with raw data, using low-densed randomly located point data. The subject religion of this study are selected two sites and take into consideration for degree of freedom about low-densed randomly located point data. The result of this study by precision analysis of digital cartographic map-ping using low-densed randomly located point data bave shown that . First, making digital cartographic map, the technique of making it using low-desned randomly located point data by TIN-based results to good and fast run-time in A and B sites all together. Second, the visualization analysis results of digital cartographic map using TIN and GRID-based terrain modeling techniqus similar exacts A and B sites, but the terrain modeling techniqus by TIN-based are small data size than GRID-based with the data with the data size of saving with DXF files. Third, making digital catographic map using terrain modeling techniques by Grid-based, the standard errors of low-densed randomly located point data and interpolated data using gridding method have more good results by radial basis function interpolation techniques at A and B sites all togeth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