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형모델

Search Result 1,353,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Modeling and Analysis of Propagation Characteristics for Mountain Region at 2.3 GHz (2.3 GHz 대역 산악 지형 전파 특성 분석 및 모델링)

  • Han, Il-Tak;Choi, Moon-Young;Kim, Chang-Gu;Bae, Moon-Kwan;Choi, Jong-Chan;Yoon, Young-Ki;Pack, Jung-Ki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19 no.2
    • /
    • pp.200-206
    • /
    • 2008
  • To implement a mobile radio system, wave-propagation models are necessary to determin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accurately, Currently, the empirical/theoretical prediction models for urban environments are fairly well-developed. But there is a lack of a suitable prediction model for mountain region. So in this paper, to develop the prediction model for mountain region, propagation environments are classified based on three basic mechanisms: reflection, diffraction, penetration(absorbtion and scattering), and measurements have been performed for the classified mountain regions including open area, forest and ridge. Using the measurement data, empirical modeling of propagation characteristics are performed, and then a prediction model for mountain region is proposed.

A Study on Terrain Classification and Interpolation in Digital Terrain Model (수치지형모델에 있어서 지형분류와 보간에 관한 연구)

  • Yeu, Bock-Mo;Kwon, Hyon;Kim, In-Sup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7 no.2
    • /
    • pp.53-61
    • /
    • 1989
  • In this paper the quantitative classification parameters of terrain which can be practicable to the interpolation of digital terrain model forming a regular grid pattern have been suggested and objective terrain classification have been established by making a cluster analysis using these parameters. Also, interpolation suitable to the classification of terrain has been used by making a descriminant alaysis from description parameters of terrains. The terrain classification in this paper was dependent upon two parameters of the ratio horizontal area to inclined area and the magnitude of harmonic vectors. And the studying area was seperated to three groups of terrains by these two parameters. Three groups of terrains could be classified into the discriminant functions. By determining the ratio of area and harmonic vector magnitude in any terrains using the above discriminant function, it was possible to discriminate the terrains to apply the interpolation practicable to the terrain characteristics.

  • PDF

Construction site flood damage prediction model development and prototype application (굴착공사 현장 침수피해 예측 모델 개발 및 프로토타입 적용)

  • Eum, Tae Soo;Park, Jong Pyo;Song, Chang 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44-244
    • /
    • 2022
  • 4차 산업혁명에 따라 유역 및 하천관리 사업, 각종 풍수해 예방사업 분야에 다양한 스마트기술이 도입되고 있으나 건설현장 침수 피해 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굴착공사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침수피해를 사전에 예측하기 위해서는 공정별로 변화하는 현장상황을 반영하여 다양한 강우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침수 예측 모델링이 선행되어야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차원 동수역학 모형인 HDM-2D 모형을 기반으로 굴착공사 현장 침수피해 예측 모델을 개발하여 굴착공사현장 침수 예·경보 시스템에 탑재하고자 한다. 침수피해 예측 모델은 천수방정식을 Petrov-Galerkin stabilized scheme 으로 이산화하여 해석하는 수평 2차원 동수역학 흐름해석모델로서 수로 및 지표면 등 다양한 지형 상황에서의 물 흐름을 상세하게 해석할 수 있다. 지형자료 생성 이후 경계조건 부여를 통해 수행되며 침수발생지역의 유속, 수심, 수위를 취득할 수 있다. 배수지나 굴착공사 현장에 2차원 흐름해석을 적용하는 경우 지형의 경사나 배치가 공간에 따라 변화하므로 불연속적인 흐름을 유발하여 모의결과의 계산 오차를 검토해야 한다. 2차원 침수피해 예측 모형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 지면 돌출부가 있는 흐름 문제와 테스트베드 대상지에 침수해석 모형을 적용하였다. 돌출부 흐름 문제의 경우 돌출부를 지나며 발생하는 유속과 수심 모의 결과를 상용모형과 비교검증 하였으며 테스트베드 대상지역에 침수피해예측모형을 적용했을때 지형 경사에 따른 흐름의 변화와 침수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ccuracy Evaluation and Terrain Model Creation of Urban Space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무인항공시스템을 이용한 도시공간 지형모델 생성 및 정확도 평가)

  • Do, Myung-Sik;Lim, Eon-taek;Chae, Jung-hwan;Kim, Sung-hu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7 no.5
    • /
    • pp.117-127
    • /
    • 2018
  • The author tried to propose the orthographic and DTM (digital terrain model) creation and evaluate the accuracy for an university campus using UAV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Most previous studies used GPS-based data, but in this paper, the observations of triangulation level measurements was used for comparison of accuracy. Accuracy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operational requirements for aerial photographic standards are satisfied in all scenaries. The author confirmed availability in aviation photo measurements and applications using UAV (Drone). In order to create a sophisticated DTM and contour, we need to eliminate interference from building, trees, and artificial o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the basis for future studies in the creation of DTM and the accuracy assessments using Drone.

대구 달서구의 대기오염확산에 있어서 ISCST3와 AERMOD의 비교 연구

  • Seong, Mi-Ae;Kim, Hae-Dong;Park, Myeo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144-146
    • /
    • 2006
  • 대기오염이 심화됨에 따라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영향은 대기확산모델을 이용하여 예측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되는 ISCST3는 우수한 모델이나 지형적 조건의 반영이 취약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복잡지형인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좀 더 정확한 예측을 하기에 아쉬운 감이 있다. 이러한 ISCST3의 단점을 보완하여 개발된 AERMOD는 ISCST3보다 지형적 조건의 반영이 탁월하여 본 연구의 대상지역의 경우처럼 높은 산이 자리하고 있는 지역에서 대기오염의 확산을 잘 예측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RN을 이용하는 헬리콥터 3차원 GPS 항법의 실용화 알고리즘 연구

  • Kim, Eui-Hong;Jeon, Hyeo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249-250
    • /
    • 2008
  • 본 연구는 전년도 지형참조항법(TRN; Terrain Referenced Navigation)에 근거하는 3-D 헬리콥터 항법 시스템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의 후속 연구로서 실용적 완성을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헬리콥터의 위성항법장치(GPS)로부터의 정보(X,Y,Z 좌표)는 자동차가 도로주행중 매 1초 간격으로 수신되는 GPGGA Code로 대체되었다. 비행체는 3차원 직교 좌표 체계(Cartesian coordinate system)로 표현되는 수치지형모델(DTM; Digital Terrain Model)상에서 시점(Origination)-종점(Destination) 분석 기법에 의해 항로를 결정한다. 본 시스템은 우선 조종사에게 지형의 사전 인식을 위해 시점-종점 주변 3차원 지형도와 항로의 종단면도를 보여준다. 본 시스템은 직접적인 지상 충돌을 피하기 위해 지형 여유 층면(Terrain Clearance Floor)의 개념을 도입, 기복 지형 표면에 일정 높이의 완충 공간을 설정한다. 본 시스템은 매초 GPS로부터 실시간 수신되는 X,Y,Z 위치와 DTM상의 x,y,z를 비교하여 만약 비행체가 완충 공간에 접근하게 되면 즉시 경고음과 메시지를 발한다. 수치지형모델은 (주)첨성대가 확보하고 있는 3초 간격의 DTM을 채택, 작성하였다.

  • PDF

복합단면지형에 있어서 불규칙파의 쇄파변형 모델

  • 권혁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6.10a
    • /
    • pp.115-118
    • /
    • 1996
  • 연안역에 있어서 파랑변형의 예측은 구조물의 설계 및 모래이동의 추정 등에 필수적인 사항이다. 실제의 해저는 복합단면이 많으므로 이에 적용이 가능한 모델이 요구되어진다. Bar형 지형에서의 불규칙파의 쇄파에 관해서는 Rayleigh분포를 가정한 고산(1991) 등, Bore모델에 의한 BattjesㆍJanssen(1978), 그리고 안정파개념을 도입한 DallyㆍDean(1986)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어떠한 모델도 물리적 Process의 불명확성 또는 계산의 번잡성 등 난점이 있어, 완성되었다고 할 수 없다. (중략)

  • PDF

3D urban model generation from single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단일 고해상도 위성영상으로부터 3차원 도시 모델 생성)

  • Lee, Tae-Yoon;Kim, Tae-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16-17
    • /
    • 2008
  • 최근 3차원 도시 모델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일 고해상도 위성영상으로부터 3차원 도시 모델을 생성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3차원 도심 모델은 크게 인공지물 정보와 지형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인공지물 정보는 단일 고해상도 위성영상으로부터 건물의 그림자를 이용한 방법으로 추출하였으며, 지형정보는 기존에 구축된 수치지도로부터 수치표고자료를 생성하여 적용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dge Point Detection of Digital Elevation Model (수치표고모델의 임계점 추적에 관한 연구)

  • 최병길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4 no.1
    • /
    • pp.111-118
    • /
    • 1996
  • In this paper, topographic edge points are detected from digital elevation model. Topographic edge points can be considered as the points which have rapid variation from its neighborhood. In this study, these points are dotected by Laplacian operator and noise reduction system is applied to remove small rippl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Laplacian operator detects efficiently the topographic edge points, and that noise reduction system by local variance is efficient to remove small ripple but inefficient to reconstruct topographical features.

  • PDF

Numerical Simulation of Tidal Current Patterns for Estuary Morphological Changes using Simple 2D Model (단순모델을 이용한 하구역 지형변화와 해수유동장 변화 수치모의)

  • Lee, Young-Bok;Yoon, Han-Sam;Ryu, Cheong-R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mmittee for Ocean Resources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6.11a
    • /
    • pp.445-448
    • /
    • 2006
  • 본 연구는 기초적인 연구로 낙동강 하구역을 단순 사각형 만의 형상을 가진 지형으로 설정하고 내부 지형의 변화(수심 및 사주 면적)에 따른 해수유동장을 해수유동 수심적분모델로 구축하여 계산하였다. 계산된 유속장 결과를 바탕으로 내부 지형의 대표단면에서의 단면유량플럭스를 계산하여 상호 비교함으로써 하구역내 사주의 생성 및 발달(내부 지형 용적 변화)에 따른 하구역 입구부에서의 해수용적 변화(순환)의 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