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향성안테나

Search Result 20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Directivity Design of Loop Type Dipole Antenna for RFID Tag (RFID 태그용 루프형 다이폴 안테나의 지향성 설계)

  • Kim, Min-Seong;Min, Kyeong-Sik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2 no.10
    • /
    • pp.805-811
    • /
    • 2008
  • This paper presents a design of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antenna which is available for a vehicle's side mirror and directivity characteristics by mr body. The proposed Tag antenna is designed symmetrical structure to improve the broad bandwidth characteristic and the readable range. A proposed tag antenna($30\;mm{\times}24\;mm{\times}1\;mm$) has resonant frequency at 910 MHz and bandwidth is 780 MHz ($540\;MHz{\sim}1320\;MHz$). The chip impedance is the 16 - $j131\;{\Omega}$ and the complex conjugate impedance of commercial chip has been used for tag antenna design. In order to evaluate effects of tag antenna for side view mirror's permittivity as well as car body(conductor), radiation pattern characteristics and readable range have been calculated and measured. The optimized position for a vehicle's RFID system has been observed in the inside of a side mirror and the calculated results show good agreement with the measured results.

SDR 스마트안테나 API와 Usecase

  • 류남규;윤유석;최승원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33 no.2 s.261
    • /
    • pp.62-71
    • /
    • 2006
  • SDR 시스템의 구조는 개방상, 분산성, 객체지향성, 소프트웨어 제어성을 제공하는 구조이어야 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SDR 시스템에 사용된 SDR시스템의 소프트웨어는 단일 하드웨어 플랫폼에서 독립적으로 동작이 가능한 개방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모듈화를 지향하며, 재사용성을 증대시키고, 개발 시에도 많은 유연성을 확보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스템을 재구성하여 운용 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본 논문은 SDR기반 스마트안테나 기지국 시스템에서 SDR 네트워크가 추구하는 개방형, 객체지향성 및 제어성 등을 확보 할 수 있도록 하고 SDR 네트워크와 유연하게 연동 할 수 있도록 기지국 시스템 내의 각 소프트웨어 모듈간의 인터페이스를 정의하였다. 또한, 스마트안테나 기지국의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Usecase를 보임으로써 제안하는 스마트안테나 기지국의 API의 활용성을 증대시켰다.

  • PDF

Directed Energy Weapon System and Analysis on Effectiveness HPM Weapon (지향성 에너지 무기체계와 고출력 마이크로파 무기 효과도 분석)

  • Kim, Ilkyu;Kim, Moonsup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27 no.10
    • /
    • pp.935-940
    • /
    • 2016
  • Directed energy weapon enables to radiate the concentrated energy so as to result in distraction and overload of the target electronics. Analysis on effectiveness of weapon system can be important consideration in order to determine performance and design weapon system. In this paper, air defense weapon system, which is one of directed energy weapon system is studied.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the reflector antenna with high power circularly polarized horn antenna is designed, and power density in axial effective area is simulated and calculated using Friis formula. Through the study, the validity of antenna system is verified, and the effectiveness of directed energy weapon system on the target is evaluated.

Improvement of Microwave Water Surface Current Meter for Oblique Angle Measurements (편각측정을 위한 위한 전자파표면유속계의 성능개편각측정을 성능개선)

  • Kim, Young-Sung;Kim, Woo-Gu;Yang, Jae-Rheen;Koh, Deuk-K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789-1793
    • /
    • 2008
  • 전자파표면유속계는 홍수유속측정을 위하여 개발된 기기로 평 갈수기에는 유속측정이 불가하여 프로펠러 유속계를 이용하고 있다. 현재 보급된 전자파표면유속계는 하천의 흐름방향에 나란하게 설치하였을 때에만 유속을 측정할 수 있는 기기의 구조상의 한계성 때문에 교량이 없는 지점에서는 유속측정이 불가하여 유량산정을 할 수가 없다. 또한 편각측정이 불가능하여 기기를 각 측선마다 이동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유속측정시 효율성 떨어진다. 이에 홍수시 유량측정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전자파표면유속계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편각측정이 가능하도록 전자파표면유속계의 성능을 개선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이다. 전자파표면 유속계에서의 편각 측정은 하천의 유속방향을 기준으로 정면에서 측정하면 수평 편각이 0도가 되며 좌우로 안테나를 회전하여 움직인 각도가 측정 편각으로 결정된다. 현장에서 전자파표면유속계의 사용시 편의성을 높이고 유량측정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가급적 편각을 크게 해서 측정을 해야 하지만, 편각이 증가하면 전자파의 물리적 특성 때문에 반사된 신호의 수신 크기가 감소하여 측정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유속 측정시 전자파 출력을 기존의 시스템보다 높게 물표면에 발사하여야 하며 안테나를 포함한 RF 모듈의 수신감도 및 지향성이 개선되어야 한다. 이에 편각측정이 가능하도록 이러한 사항에 주안점을 두어 새로운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수신감도 향상을 위해서는 물표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가장 먼저 수신하는 안테나의 특성이 중요하며 그 다음 수신용 증폭기, IF 증폭기 순으로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안테나의 형태를 기존 파라볼릭 안테나에서 위상 배열 평면안테나로 변경하였으며, 이에 따른 이점으로는 송수신부를 분리하여 하나의 평면에 두 개의 안테나를 구성할 수 있다는 사항이다. 즉 외형적으로는 하나의 안테나로 보이지만 두 개의 안테나가 하나로 구성된 것이다. 송수신부를 분리하는 형태는 기존 파라볼릭 안테나에선 불가능한 구조로 변경에 따른 수신감도 향상은 수치적으로 10dB 이상 개선하였다. 송수신부 분리가 수신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물표면으로 발사된 송신 신호의 일부가 수신단으로 유입되는 현상으로 누설되는 송신 신호를 최대한 차단하는 분리도가 수신 신호 검출에 직접적인 양향을 주기 때문에다. 평면 안테나를 적용하면 기존 파라볼릭 안테나에서 사용하던 써큘레이터라는 부품을 삭제할 수 있으며, 안테나의 구조적인 분리를 통해서 수신감도를 개선할 수 있었다. 안테나의 지향성은 발사하는 전자파의 빔폭 성능과 일치하며 각도 단위로 표시한다. 각도 값이 작을수록 전자파의 에너지가 한 곳에 집중된다고 말할 수 있다. 즉 빔폭이 크면 측정시 반사면적이 커져 정확한 지점의 유속을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를 통해 빔폭은 기존 안테나 대비2도를 개선하였으며 25%의 개선 효과를 얻었다. 또한 수신감도 및 지향성 개선과 더불어 전자파의 출력을 기존 장비 대비하여 1.6배를 증가하여 편각측정을 위한 전자파표면 유속계의 성능을 개선하였다.

  • PDF

An Adaptive Neighbor Discovery for Tactical Airborne Networks with Directional Antenna (지향성 안테나 기반 공중전술네트워크를 위한 적응적 이웃노드 탐색기법)

  • Lee, Sung-Won;Yoon, Sun-Joong;Ko, Young-Bae
    • Journal of KIISE:Information Networking
    • /
    • v.37 no.1
    • /
    • pp.1-7
    • /
    • 2010
  • Network Centric Warfare(NCW) is becoming a prominent concept in the current trend of warfare. To support high quality communication between strategic/tactical units in the concept of NCW, Tactical Airborne Networks are likely to be constructed in the near future to take part in the NCW. In these Tactical Airborne Networks with dynamic topology variations due to very high mobility of participants nodes, more efficient and reliable neighbor discovery protocols are needed. This paper presents the adaptive HELLO message scheduling algorithm for Tactical Airborne Network using directional antennas. The purposed algorithm can reduce the overhead of periodic HELLO message transfer, while guaranteeing successful data transmission. We concluded a mathematical analysis and simulation studies using Qualnet 4.5 for evaluation the performance and efficiency of the proposed scheme.

안테나 패턴에 대한 CDMA 셀룰러 시스템 용량 효율 분석

  • 이종헌
    • The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8 no.3
    • /
    • pp.40-47
    • /
    • 1997
  • 안테나의 특성은 셀룰러 시스템의 서비스 품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되며, 특히 섹터화로 인한 용량의 증가를 기할 수 있는 CDMA 시스템의 경우에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논문의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력 제어된 CDMA 셀을 섹터화할 경우 얻을 수 있는 용량의 이득을 논의한다. 용량의 측면에서 이상적인 안테나 패턴과 비교할 때 실제 안테나 패턴의 역방향 링크 용량 효율을 해석적으로 구한다. 셀룰러 CDMA 시스템의 용량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는 최대 통신 채널의 수이므로 용량 효율은 결국 주파수 스펙트럼 이용 효율을 의미한다. 측정된 반사판 섹터 안테나 패턴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고 패턴 특성과 섹터 셀의 배치 구조에 따라 용량 효율이 86~97%로 변화함을 보인다.

  • PDF

Beam-tilting Characteristics of Horizontally Polarized EMCD Array Antennas (수평편파 EMCD 어레이 안테나의 빔 틸트 특성)

  • Min, Gyeong-Sik;Arai, Hiroyuki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TC
    • /
    • v.39 no.4
    • /
    • pp.209-215
    • /
    • 2002
  • This paper describes beam-tilting characteristics of horizontally polarized EMCD (electromagnetically coupled dipole) array antennas. The result of one element radiator is used for array elements designs and is evaluated its characteristics. Theoretical frequency characteristics and radiation pattern of the horizontally polarized EMCD array antennas analyzed by FDTD method agree well with the measured results of the practically fabricated way antennas. The measured main beam tilt ang1e and 3 dB beam width of the fabricated 20-element array antennas are 47$^{\circ}$and about $\pm$7.5$^{\circ}$, respectively. A good radiation pattern and beam tilting characteristics are observed in experiments.

Rectangular Microstrip Patch Antenna with Semicircular Structure for 5G Applications (5G 응용을 위한 반원형 구조를 가진 사각형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

  • Kim, Yeong-Jin;Maharjan, Janam;Choi, Dong-You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3 no.10
    • /
    • pp.1269-1274
    • /
    • 2019
  • The paper presents a design of simple four-element microstrip-patch array antenna that is suitable for 5G applications. The proposed array consists of four rectangular microstrip patch elements with semicircular etches made on both sides of each elements. The antenna is fed using the combination of series and corporate feeding networks. The size of the ground is also changed to improve the antenna frequency. Finally, yagi elements are also added to improve the directive gain of the antenna. The presented microstrip patch array is able to achieve wide frequency bandwidth of 21.95-31.86 GHz. The antenna has also attained gain of 9.7 dB at 28 GHz and has maintained high gain and high directivity throughout the frequency band. The proposed array antenna fed by series-corporate feeding network, with low profile and simple structure is a good candidate for 5G applications.

Centralized Downlink Scheduling using Directional Antennas in IEEE 802.16 based Wireless Mesh Networks (IEEE 802.16 기반의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서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는 중앙 집중형 하향링크 스케줄링)

  • Lee, Sang-Joon;Lee, Hyong-Woo;Cho, Choong-Ho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5 no.2A
    • /
    • pp.134-141
    • /
    • 2010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cheduling algorithm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IEEE 802.16 based wireless mesh networks using directional antenna. The performance is presented in terms of throughput of system and delay between each node by varying number of users. The result show that proposed scheduling algorithm improving the performance by reducing the delay of mesh network system. Our work may be useful as a guideline to control the fairness between SSs for multi-hop systems such as multi-hop relay and mesh net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