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하캠퍼스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46초

지속가능한 친환경 지하캠퍼스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사례분석과 이용자 만족도 조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co-friendly, Sustainable Underground Campus Plan - Based on the Case Study and User Satisfaction Research -)

  • 정재희;이상윤
    • 교육시설
    • /
    • 제17권6호
    • /
    • pp.13-22
    • /
    • 2010
  • This study aims to propose design directions for the eco-friendly, sustainable underground campus in terms of integrated design. For this purpose, theoretical investigation, design methodology and quality investigation, analytical case studies on the domestic and foreign underground campus, and user survey for POE(Post Occupancy Evaluation) and analysis on the recently built domestic underground campus plans were conducted. As a conclusion, design direction and improvement areas for the synthesized sustainable underground campus plan were proposed. Underground campus plan will be a great alternative for a 21st century sustainable campus if well-developed plans with organized design guidelines are established.

지하공간탐사기기 성능검사 테스트베드 구축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a TestBed for Performance Inspection of Underground Surveying Equipment)

  • 배경호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525-531
    • /
    • 2021
  • 도시집중화 현상으로 지하공간의 중요성과 활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하공간정보가 구축되고 있다. 지하공간정보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국가공간정보기반인프라이기 때문에 구축에 사용되는 지하공간 탐사기기의 정확도와 성능을 별도로 관리하고 있다. 이를 위해 공간정보관련 법령에 의거 국가에서는 지하시설물 측량기기 성능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현재 국내 국가공인 지하시설물 탐사장비 검사장으로는 국토지리정보원이 위탁운영을 허가한 성균관대학교 수원캠퍼스에 위치한 지하시설물 탐사장비 검사장이 유일하다. 하지만 지금의 성능검사장은 주로 금속관로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절대위치측량 검사체계가 없으며 또한 지형측량에 따른 관로의 절대높이값을 확인할 수 있는 체계가 아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지형 및 지질조건과 매설된 지하시설물의 다양한 재료, 형태 등을 고려한 지하공간탐사기기 성능검사 테스트베드 모델을 제시한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하는 지하정보정밀탐사 실증 테스트베드는 기존의 국내의 시험현장이 지닌 한계를 보완하고 최신 장비 성능 검증까지 가능한 시험장소로서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옥내측위 안드로이드 앱 프로토타입 설계 (Design of an Indoor Positioning Android App Prototype)

  • 임재걸;우진석;원정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18-821
    • /
    • 2013
  • 마천루를 비롯한 지하상가와 같은 거대한 건축물 내에서 일을 보는 경우가 흔해짐에 따라, 옥내위치기반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근래에 판매되고 있는 스마트폰은 기존의 컴퓨터에 버금가는 계산 능력과 기억 용량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양한 센서까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그리고 스마트폰은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소지품이기 때문에,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는 스마트폰이 제일 적당하다.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에 필수불가결한 요소는 당연히 측위 컴포넌트이다. 본 논문은 스마트폰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걸음 수와 진행방향을 판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판정하는 안드로이드 앱을 설계한다.

부산 용호만 해안대수층에서 해수/담수 경계면의 조석효과 (The tidal effect of seawater/freshwater interface at the coastal aquifer of the Yongho Bay in Busan)

  • 김성수;강동환;김병우;김태영;정상용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960-196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 용호만 해안대수층에서 전기전도도와 지하수위의 수직적인 관측을 통해, 조석에 의한 해수/담수 경계면의 변동을 산정하였다. 연구지역은 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 기숙사 신축부지 주변 해안대수층이며, 응회질퇴적암과 안산암 및 안산암질 화산각력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관측공의 개발심도는 120 m, 케이싱심도는 19 m, 내경은 0.2 m, 관측공과 해안선의 이격거리는 180 m 정도이다. 전기전도도에 의해 산정된 밀도는 담수에서 997.58 $kg/m^3$, 해수에서 1020.36 $kg/m^3$ 이었다. 관측기간(2008년 8월 21일${\sim}$10월 18일) 동안 해수/담수 경계면의 변동 범위는 해수면 기준 -21.69${\sim}$-21.53 m 이었으며, 경계면의 평균 위치는 해수면 기준 -21.62 m 정도이었다. 해수/담수 경계면과 지하수위의 상관성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해안대수층 내 해수/담수 경계면의 변동은 조석의 일(고조, 저조) 및 보름(대조, 소조) 단위의 변동에 영향을 받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관측기간 동안 지하수위는 전반적으로 하강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관측기간이 풍수기에서 갈수기로 전환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향후에는 지속적인 관측을 통해, 용호만 해안의 해수면 상승에 의한 내륙으로의 해수침투를 연구하고자 한다.

  • PDF

캠퍼스 지하공간 개발전략 연구 - 국내 주요대학 캠퍼스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trategy to Develop Underground Space of Campus - Focused on the Analyses of the Campuses of Main Universities Nationwide -)

  • 박훈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3-14
    • /
    • 2012
  • University campus has grown and developed along with history of human in connection with transition characteristics of city. In particular, reflecting the features in the times, the masterplan should explore its main roles today when international growth of university is pursued. In particular, center core and quad space, focusing on main components of campus such as main building, student union hall and main lecture facility, are the prototype of campus components and have been pursued to have importance in terms of shape and function as traditional campus space strategy. Recently, however, new strategy has been proposed to explore orders of campus utilizing the underground space focusing on main universities. Design of Hana Plaza of Korea University and Bekyangro of Yeonsei University, the targets of this study, actively explore this strategy. This study analyzed such strategies in terms of concept of space to obtain space, design trend of main universities at home and abroad, and viewpoint of integrated masterplan proposal. Conclus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cept of quad and center space found in the design of traditional campus is reinterpreted into new design aspects through development of underground space. Second, development of underground space is approached to overcome the limit of existing campus and to present the vision of universities 100 years ahead. Third, ever-changing complicated urban environment has been reflected in space configuration of campus and positioned as strategy to implement this as modern construction technique. Third, implementation of pedestrian-oriented campus has been pursued by reinforcing utilization of inclined topography of urban environment in Korea. This enables to obtain spaces for main activities of students and to implement the space where student support facilities are concentrated and activities are performed actively. Such features can be presented as conclusions of this study.

호우로 인한 절개산지의 피해 조사 및 대책공법 -동아대 승학 캠퍼스를 중심으로- (Investigation and Repair Methods for the Excavated Mountain Area damaged by Rainfall : At the Sunghak Campus, Dong-A University)

  • 정성교;김종대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7권2호
    • /
    • pp.27-40
    • /
    • 1991
  • 동아대학교 승학캠퍼스는 산지를 굴착하여 약 10년 전부터 연차적으로 건설되어 왔다. 1989년 8월에 내린 200mm16ay이상의 집중호우로 인한 지하수 및 산사태로써 건물, 사면, 미로 등 많은 피해를 입었다. 이 피해의 원인조사 및 보완대책을 위하여 현황 및 50m 격자형 위치측량, 예비조사, 야외간이 측량법, 지구 물리학적 탐사법, 시추조사 및 흙의 특성시험 등이 수행되었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피해의 원인 및 예측을 수행하였으며 수평배수공법, 위험한 노출암괴의 제거, 지하배수를 겸한 옹벽설치, 붕적층의 제거 및 격자형 블록에 의한 사면안정공법 등좌 보완대책이 수립되었다.

  • PDF

국내 수도권 대학캠퍼스 확장을 위한 전략 연구 - 확장전략의 유형적 특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trategy for College Campus Expans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 Focused on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Expansion Strategies -)

  • 박훈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25-36
    • /
    • 2015
  • Historically, college campuses have played a role of a city, and the development pattern of various forms and functions of cities was found in the growth stages of campuses as well. In this way, campuses developed in close relationships with our lives and such a characteristic can be confirmed in a number of cases in and out of the country. The strategic concept of such expansion is shown in the strategic classification through a master plan. This research examines concepts of major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of Korea for promoting campus expansion and proposes implications through them. The results drawn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various developmental directions should be sought in aspects of planning, programming and economics for campus expansion with the complex application of such factors. Secondly, the multi-campus strategy of past localization era is changing into the concept of forming a global campus materializing itself as the planning strategy of internal campus. Thirdly, the physical barrier is being dissolved as a way to promote the relationship with local communities, and particularly, the management strategy of constructing new buildings in connection with local communities is the leading measure of materialization. Lastly, the development of underground space is actively carried out due to the limitation of ground physical space through which a role of establishing new campus order along with securing space is pursued.

해안가 암반대수층에서 조석효과에 의한 해수와 담수 전이대의 변동 연구 (The variation of transition zone between sea water and fresh water with the tidal effect at the coastal rock aquifer)

  • 김성수;강동환;김동수;최선미;정상용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904-190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해안가 암반대수층에서 전기전도도의 수직적인 변화를 관측하여 조석에 의한 해수와 담수 전이대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지역은 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 주변 해안대수층이며, 응회질퇴적암과 안산암 및 안산암질 화산각력암 등이 분포한다. 연구에 이용된 지하수 관측공 (PK1공)은 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 내 기숙사 동측에 위치하고 있다. 지하수공의 개발심도는 지표 면하 120 m, 케이싱은 지표면하 19 m까지 설치되어 있으며, 내경은 0.2 m로서 해안가에서 180 m 정도 이격되어 있다. 해안대수층 내 해수와 담수 전이대를 파악하기 위하여 관측공 내에 TLC Meter(Model 107, Solinst)를 삽입하여 전기전도도의 수직적인 변화를 지하수공 내 심도 50 m 까지 측정하였다. 전기전도도의 수직적인 관측은 썰물(low tide)일 때, 썰물에서 밀물(high tide)로 될 때 및 밀물일 때로 나누어 총 3회 수행되었다. 전체적인 전기전도도의 분포는 썰물일 때 $630{\sim}47300{\mu}S/cm$, 썰물에서 밀물로 되는 시기에는 $672{\sim}61900{\mu}S/cm$ 및 밀물일 때는 $678{\sim}67900{\mu}S/cm$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밀물일 때가 썰물일 때보다 전기전도도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수와 담수 전이대의 분포는 썰물일 때 약 $20{\sim}50\;m$, 밀물일 때 약 $20{\sim}38\;m$ 정도로 나타났으며, 이는 밀물 시 해수의 침투로 인해 전이대 하부구간의 농도가 상승하였기 때문이다. 해수와 담수 전이대의 구간을 세분화하여 분석하기 위해, 담수가 우세한 전이대, 주 전이대 및 해수가 우세한 전이대 구간으로 구분하였다. 담수가 우세한 전이대는 썰물과 밀물일 때 모두 지표면하 $20.0{\sim}25.5\;m$ 구간이었으며, 주 전이대에서는 지표면하 $25.5{\sim}25.7\;m$ 정도로 나타났다. 그러나, 해수가 우세한 전이대에서는 썰물일 때 지표면하 $25.7{\sim}50.0\;m$ 구간, 밀물일 때는 지표면하 $25.7{\sim}38.0\;m$ 로서 전이대의 폭이 19 m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해안가 암반대수층에서 해수와 담수의 전이대는 조석에 의해 영향으로 인해, 썰물 시의 전이대가 밀물에 비해 그 폭이 더욱적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