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하철 노선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3초

지하철 노선 지하수 양수량 및 상수도 노선, 누수량을 고려한 청계천 유역 물순환 해석 (Hydrologic Cycle Analysis of Cheonggye-cheon Watershed Considering Subway, Groundwater Pumping and Leakage Effects)

  • 노성진;김현준;장철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4-179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 노선, 지하수 양수량 및 상수도 누수량 등 도시유역에서 물순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공적 요소들을 분포형 수문모형에 반영하여 물순환을 모의하였다. 분포형 수문모형으로는 일본토목연구소에서 개발된 WEP 모형을 사용하였다. 입력자료 구축시 지하철 노선을 따라서 제1투수층, 제1난투수층, 제2투수층의 투수계수를 낮게 설정하여 지하철 노선의 영향을 반영하였으며, 지하철역 및 구별 지하수 양수량, 상수도 누수량을 모형의 입력자료로 구축하였다. 모의결과를 서울시 지하수관측공의 실측 자료와 비교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유역 스케일에서의 지하수위 분포양상을 모의할 수 있었다. 지하철 노선, 지하수 양수량, 상수도 누수량 등을 고려, 미고려시를 별도로 모의하여 각각 요소가 물순환에 미치는 개별적 종합적 영향에 대해 평가하였다.

  • PDF

지하철 급행노선을 고려한 내부환승 추정방안 - 스마트카드 자료기반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 (Estimating Internal Transfer Trips Considering Subway Express Line - Focusing on Smart Card Data Based Network -)

  • 이미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9권5호
    • /
    • pp.613-621
    • /
    • 2019
  • 지하철역사의 일반적인 환승통행은 노선간환승과 역사환승을 의미한다. 노선간환승은 다른 두 노선의 열차를 갈아타기 위하여 환승통로와 같은 수평보행시설을 통해 이동한다. 역사환승은 스마트카드 진출입 단말기노선과 승하차 열차노선이 다른 상황에서 발생하는 보행통행으로 계단, 에스컬레이터와 같은 수직보행시설을 이용하면서 환승통로를 함께 이용하는 통행이다. 이러한 환승의 가정은 지하철 네트워크를 운행하는 모든 노선은 완행 또는 급행의 단일노선에 한정되었다는 한계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완행과 급행이 동일노선으로 운영되는 상황에서 노선내에서 발생되는 환승에 대한 검토가 수행되지 않았다. 노선내환승은 메트로9호선과 같이 급행 및 완행 정차역이 동일노선에서 운행되는 상황에서 발생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카드 자료기반의 급행 및 완행열차가 동일노선에 존재하는 지하철네트워크를 대상으로 노선내환승을 분석하는 방법론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 급행 및 완행열차를 분리하기 위한 네트워크확장기법을 구축하고 최소시간경로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동일 노선의 내부 환승이 재현되는 경로선택모형을 제안한다.

도시 철도개통에 따른 대중교통이용 편익측정을 위한 대안적 평가모델 : 지하철 9호선을 사례로 (An Alternative Evaluation Model for Benefit Measurement of Public Transportation by the Open of Urban Railway: Seoul Metro Line 9)

  • 주용진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9권4호
    • /
    • pp.11-20
    • /
    • 2011
  • 저탄소 녹색성장 패러다임에 맞춰 지하철은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한 도시 교통의 핵심 운송 수단이다. 지하철은 대량 수송 교통체증완화 교통사고 감소 등의 역할 뿐 아니라 노선 확장에 따라 도시 공간과 네트워크상의 승객 수요의 변화를 촉진시킨다. 현재 수요예측을 주축으로 노선계획이 이루어지고 있어, 지하철 노선 변화에 따른 교통 접근성과 승객 수요 변화를 위한 실증적인 연구가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사전사후 분석을 통해 지하철 개통에 따른 대중교통 영향성을 네트워크의 연결성, 승객 이동성 측면에서 정량적으로 예측 할 수 있는 대안적 평가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우선 2009년 개통된 서울시 지하철 9호 선을 중심으로 도시 철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공간 구문 모델을 통해 9호선이 개통됨에 따른 네트워크의 위상적 변화 패턴을 분석하였다. 또한, 모델 측정 결과를 검증하기위해, 서울시 교통 카드시스템의 역간 지하철 승차 인원수와 버스 노선별 승차 인원수 자료를 이용하여, 경쟁 노선을 대상으로 버스 이용객의 수단 전환과 주요 환승역에서 승객 수요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방법론을 통해 지하철 노선 계획에 있어 승객수요변화를 가시화하고 노선 추가에 따른 전후 시공간적 변화 분석이 가능하였으며 향후 주변 대중교통의 영향성과 실제 대중교통 이용자의 이동패턴에 대한 효과적인 공간적 변화 분석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SSA를 이용한 지하철 노선 Chain OD 구축 및 활용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Subway Line Chain OD Using SSA)

  • 이미영;남두희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100-111
    • /
    • 2019
  • 기존의 선별역사분석(SSA)은 특정 역사를 통행하는 개별승객의 기종점간 연계통행수단정보를 미시적으로 분석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지하철 노선과 같은 거시적이고 통합적인 분석방안으로 기존 SSA를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개별승객의 지하철 통행의 경로탐색을 통하여 노선연계OD를 구축하고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우선 승객이 이용한 연계통행 수단에서 지하철 통행에 대하여 통행경로를 탐색하고 이를 SSA의 노선분석에 적용하는 개념을 제안한다. 이 개념은 기존 SSA에 비하여 개별승객의 완전한 통행경로정보가 특정역사에서 존재하기 때문에 역사를 통과하는 노선과 노선에 포함된 역사의 상반된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특정역사에 대하여 접근하는 노선연계OD를 통합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허용된다. 개념적 이해를 위하여 서울메트로9호선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통하여 특정역사를 중심으로 노선연계 OD의 통합적 구축개념과 노선에 포함된 역사로 접근하는 통행의 거시적 특성을 시연한다.

모바일 기반의 지하철 역 정보 및 알람 기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ubway Station Information and Alarm function of Based on Mobile)

  • 주헌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년도 제42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8권2호
    • /
    • pp.265-26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지하철 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응용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윈도우 모바일 6.0을 기반으로 한 이 응용프로그램은 지하철 역정보와 관련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설계 및 구현되었다. 이 프로그램에서 지하철 노선도와 부가기능이 성공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UI 인터페이스, 맵 모듈, 최단거리 모듈, 메모 모듈,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등을 설계하였다. 특히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은 프로그램 내의 알람 기능과 역 정보에 적용되었고, 또한 역 정보와 같은 방대한 정보와 데이터를 인접 행렬을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이 응용프로그램은 보다 쉽게 조작하기 위해 6개의 메뉴들로 구성되어있다. 지하철의 종합 관제 센터로부터 신호를 받아 이 프로그램에 적용된다면, 많은 유저들이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고 사료한다.

  • PDF

DEA를 활용한 부산광역시 준공영제 시내버스 운용 효율성 평가 연구 (An Analysis on Efficiency and Influencing Factors of the Quasi-Public Bus Operating System in Busan Metropolitan City Using DEA)

  • 성우용;강재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349-367
    • /
    • 2019
  •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준공영제 실시 이후 운영 효율성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DEA 분석결과, CRS의 경우 지하철 1호선과 환승 가능한 버스노선의 연도별 효율성은 2010년도가 가장 높았다. 지하철 2호선과 환승 가능한 버스노선의 연도별 효율성은 CRS 평균이 연차적으로 점차 향상되어 2016년 0.923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지하철 3호선과 환승 가능한 버스노선의 연도별 효율성이 2009년부터 2015년까지는 점차 향상되는 모습을 보이다가 2016년도에는 다시 하락하였다. 전체 134개 노선의 4개 연도 536개 노선 중 비효율적으로 나타난 노선은 205개이다. 205개 노선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규모의 축소 즉, 노선의 운행횟수 등을 감축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Tobit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결과, 운영 효율성 지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는 소요시간이 가장 컸고, 그 다음으로 이용객수, 환승객수의 순으로 나타났다.

부산 지하철 소음도 조사 및 평가 (Investigation and Evaluation of Noise Level of the Busan Subway)

  • 이장명;정진국;정진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43-250
    • /
    • 2011
  • 부산지하철 3개 노선에 대한 소음도 조사 및 비교 평가가 이루어 졌다. 차량이 역을 다 빠져 나간 순간부터 차량이 다음 역에 도착할 때까지를 기준으로 하여 차량 내부에서의 평균 소음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차량이 역사 도착 시 측정과 차량이 역사 출발 시 측정으로 나누어서 측정하였다. 주간시간대(오전9시~오후6시)와 야간시간대(오후6시~오후10시)로 구분하여 측정하였으나 주 야간 차이가 크지 않아 주 야간의 차이를 두지 않고 전체적으로 평균을 취했다. 2010년 5월과 7월 두 차례 부산지하철의 차량실내 소음도를 측정하여 실험에 대한 재현성을 검정하였다. 노선별 스크린 도어 효과, 도상조건, 열차차종 및 노선별 곡률반경 변화에 따른 소음도 차이가 조사되어 졌다. 부산지하철 3개 노선 중 2호선의 소음도가 가장 높았으며 이에 대한 방안도 강구 되었다. 스크린도어가 미설치된 역이 설치된 역에 비하여 소음도가 약 10 dB(A) 정도 높았으며 S 자형의 급곡선부에서 소음도가 높음이 확인되었다.

GIS를 이용한 지하철 건설의 도시개발 효과 분석 (The Estimate of the Urban Development Effects of the Subway Construction using GIS)

  • 김재익;정재희;정현욱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22-32
    • /
    • 2000
  • 교통조건의 개선이 지역개발을 촉진시키는 주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도시 교외지역에서 지하철 건설에 따른 상업용도 건축물의 개발효과 측정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대구 교외지역에서 지하철이 도입됨에 따라 지하철역과 노선주변에 얼마나 많은 상업용도 건축물이 개발 되었는가에 대해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첫째, 상업용도 건축물은 지하철의 개통연도에 맞추어 개발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고, 둘째, 상업용도 건축물의 개발효과는 노선전면이 노선이면보다 크며, 토지이용도 노선전면의 밀도가 높았으며, 셋째, 역 구간별 입지적 특성에 따라 건축물의 개발특성은 달리 나타났다.

  • PDF

대중교통 환승통행량 영향요인 분석: 대구시를 대상으로 (Analyzing Factors Affecting Public Transit Transfer Volume: Focused on Daegu City)

  • 황정훈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79-18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대구시의 지하철과 버스간의 환승통행을 대상으로 환승통행특성을 분석하고 또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버스와 지하철간의 환승통행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이를 통한 대중교통환승센터에서 보다 많은 환승통행량이 처리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였다. 그 결과 환승시간은 환승통행량과 반비례하는 반면, 연계버스 노선수, 지하철역의 공간적 위치, 버스노선의 연계지수는 비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준화계수로부터 지하철역과 연계되는 버스노선의 특성을 반영한 버스노선의 연계지수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하역사내 공기질관리를 위한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Prediction for the Indoor Air Quality in a Subway Station)

  • 송지한;김신도;이희관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3-264
    • /
    • 2003
  • 서울의 지하철은 1974년 1호선이 개통된 이래로 현재 8개 노선 262개 역사가 개통/운행되고 있으며 약 40%의 수송 분담율을 담당하고 있다. 이는 건설중이거나 검토 중에 있는 지하역사를 고려할 때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은 높은 수송분담율은 지하철 이용승객이 늘고 있으며 동시에 이용승객이 지하철을 이용하는 동안 지하철 시스템내의 실내공기환경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최근에 수행된 연구결과에 의하면 지하철 시스템내의 공기질, 특히 지하역사내의 공기질은 역사내부의 여러 가지 영향인자들에 의해 밀집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