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하수정보관리

Search Result 13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Groundwater management strategies for sustainability of field farming water supply (밭용수 공급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지하수 관리 전략)

  • Cha, Eunji;Hyun, Yunjung;Lee, Gu-Sang;Jeong, A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78-78
    • /
    • 2022
  • 농가인구의 감소 및 고령화, 고소득 작물 재배,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영농형태가 논농사에서 밭농사로 전환되고 지역별 증감의 차이가 있기는 하나 밭 면적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한편, 밭작물은 논에 비해 기반시설이 부족하고 고소득의 밭작물을 생산하기 위한 시설재배가 늘어나면서 대부분 사계절 확보가 용이하고 수질이 양호한 지하수를 사용하고 있다. 지하수 수요 증가는 지하수위 저하와 지하수 고갈의 우려를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지하수 이용 실태를 분석하고 지하수이용 및 관리 제도 현황을 검토하여 지속가능한 밭용수 공급을 위한 지하수 관리전략을 제안하였다. 진주시를 대상으로 경지유형에 따른 지하수 이용 특성 분석하여 지하수의 수요 특성을 살펴보았는데, 하천 주변 저지대에 큰규모의 밭이나 집단화된 시설재배 지역이 분포하고 있고 지하수 관정도 밀집하고 있었다. 하천에서 떨어진 산간지역에는 지하수 관정이 산발적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지하수 수요는 공간적 위치 외에도 고품질 농업용수에 대한 요구도 원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밭기반 용수공급 관련 사업과 지하수 자원확보 관련 법제도 등을 고찰하여 밭의 위치, 규모, 용수공급의 수요 특성 등을 고려하여 밭용수 공급을 위한 세 가지 지하수 관리전략을 제안하였다. 우선, 농업용 지하수 이용량 실측 및 정보의 다각화를 통한 정보의 고도화가 필요하다. 둘째, 지하수 이용의 공간적 특성을 고려하여 지표수와 연계한 지하수 이용기반이 구축되어야 한다. 지표수 공급이 가능한 지역은 지표수를 우선 공급하거나 지하수와 혼합 또는 교차하여 공급하고 물공급 취약지역에서는 지하수 공급 기반시설을 구축하는 것이다. 세 번째 전략은 농업용 지하수 시설의 공공관리 강화 및 관리 효율화이다. 특히 지하수이용이 밀집한 지역에서는 지하수 인허가 기준을 강화하고 용도별 관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밭용수 공급은 농가 소득과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물이용의 지속가능성과 함께 농가 소득증대를 고려하는 공편인적 관점에서의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 Research of Spatial Metadata Model for Underground water Management System (지하수관리시스템의 공간 메타데이터 모델에 관한 연구)

  • Lee, Sang-Moon;Seo, Jeong-Mi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2 no.4
    • /
    • pp.229-237
    • /
    • 2007
  • To solve of complex problems for access and management data stored in the very large spatial database system that need to constructed metadata for the physical and logical elements concerned with spatial and non-spatial data sets. Also, in the underground water management system which managed with spatial and non-spatial elements, need to spatial features metadata system based on feature-based. We, in this paper, proposed metadata model for the feature-based underground water management system using underground water meta-information inputted on the DXF formatted tile-based geological maps. Additional, we modeled metadata level of feature and data set and presented standard specification of underground water metadata.

  • PDF

Building of Integrated Web-GIS System for National Groundwater Data Management (지하수 정보관리체계 고찰 및 Web-GIS 기반의 국가지하수정보지도 구축 모형)

  • Kim, Gyoo-Bum;Son, Young-Chul;Kim, Jong-Wook;Kim, Dae-Ho;Lee, Chang-Won;Kim, Yang-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9 no.3
    • /
    • pp.107-122
    • /
    • 2006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web-bas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application, IGIS(Integrated Groundwater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efficient management of groundwater data. This integrated system includes various groundwater measurements, monitoring data, well data, hydrogeochemical data, hydrogeological maps and diversely analyzed results including time series analysis data for water levels and quality. It will be used efficiently for local government officers to manage groundwater within their districts and also for drillers and investigators to develop wells and assess groundwater conditions. This web-based GIS system was implemented firstly for Cheonan and Daegu city. As a result, the system makes the efficient management,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of groundwater data possible by web-based GIS technology.

  • PDF

지하수 전문기관에 의한 먹는샘물 관리방안

  • Lee Byeong-Dae;Seong Ik-Hwan;Kim Jeong-Suk;Im Hyeon-Cheol;Kim Yong-J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5.04a
    • /
    • pp.65-67
    • /
    • 2005
  • 먹는물 관리법 제19조의2 제2항에서 환경부장관은 지하수 전문기관을 지정하여 먹는샘물제조업자로부터 제출받은 수질측정결과를 지하수 전문기관으로 하여금 분석하도록 하는 먹는샘물 사후관리를 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지하수 전문기관은 먹는샘물의 수량 수질자료에 대한정보의 수집 분석 및 관리와 먹는샘물 통합관리시스템 개발 및 구축, 먹는샘물 제조업체의 현장시설관리 등 사후관리 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 PDF

KISTI-ACOMS를 기반으로 한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온라인논문투고관리

  • 박재원;강무영;김태중;김병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39-43
    • /
    • 2003
  • 학회는 학술지식정보자원의 최신정보에 대한 접근 점이지만, 대규모 학회를 제외하고는 정보 수집과 서비스 면에서 재래식 방법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더구나, 최근에는 각 학회 자체 업무 중 발생하는 회원관리, 논문투고, 심사와 같은 제반업무와, 발간되는 학술정보에 대한 정보화를 수행하고자 하는 학회의 열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학회의 재정상 적극적으로 이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KISTI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은 국가차원의 학회 정보화 사업의 일환으로 학회정보 유통체제 전 과정을 온라인화하고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 $\boxDr$KISTI-ACOMS(KISTI-Article Contribution Management System: KISTI-학회논문투고관리시스템) $\boxDr$KISTI-ACOMS(KISTI-Article Contribution Management System)$\boxUl$ 을 개발하여 2001년부터 학회에 무상으로 보급하여 왔다. 최근에는 학회의 KISTI-ACOMS를 이용하고자 하는 요청이 더욱 확대되고 있어, KISTI는 많은 학회 특성을 의견수렴하여, KISTI-ACOMS의 표준화를 목표로 보완해 나가고 있다.

  • PDF

Development study of ground water management system making use of GIS ( Well analysis program, connection program of ground water modeling ) (GIS를 이용한 지하수관리시스템 개발 연구 (관정분석 프로그램, 지하수모델링 연계프로그램))

  • 이병호;김양빈;설민구;송양권;송무영
    • Proceedings of the KSEG Conference
    • /
    • 2002.04a
    • /
    • pp.235-248
    • /
    • 2002
  • Ground water development skill growth and life circumstances improvement increase ground water use. So managerial difficulties and various problems about ground water occur. Poor ground water management organization, lack of management person, thoughtless development add ground water pollution and lack of water volume. And local excessive developments or abandoned well occur. This paper presents ground water management system model making use of GIS and helps effective management by realizing necessary analysis functions in ground water management system and ground management methods. Local information of ground water recorded and development data, site examination data made D/B. And linearment analysis data making use of a satellite image data, hydraulic test data, the quality of water examination data, these local characteristic values made out thematic maps and making use of these data can form elementary data of ground water modeling It makes easy to understand environmental development conditions and pollution source conditions about new ground water development location, linearment growth, DRASTIC, the quality of water examination. Ground water management system making use of these functions can choose right location of ground water.

  • PDF

Groundwater Pollution Analysis Using GIS (GIS를 이용한 서울시 지하수 오염분석 연구)

  • 김윤종;원종석;이석민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8 no.2
    • /
    • pp.317-328
    • /
    • 2000
  • It is a well-known fact that groundwater is difficult to be recovered, once it is polluted. Since its damage may continue for a long time, its management is very much necessary. For groundwater pollution managemet, current groundwater quality should be analyzed and its diffusion should be estimated. Such analysis and estimation are greatly enhanced by a GIS. In order to build the GIS, groundwater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various database related to groundwater should be constructed. The system can be utilized to analyze groundwater quality and to help administrative processes of groundwater management. In this study, we analyze No3N diffusion in the groundwater under the study area, a part of Jung-Gu area, by using groundwater analysis subsystem and create the 1/5,000 scale map for the diffusion prediction of groundwater pollution. Although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constructed the 1/25,000 scale hydrogeology map of Seoul area through basic groundwater survey in 1996, the survey data are not sufficient for local groundwater pollution management. The large scaled map construct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tilized for the management. The GIS softwares, Arc/Info and Arc/View, are used. MODFLOW and MT3D programs are extensively used to analyze groundwater pollution.

  • PDF

Groundwater Resources Management with ChatGPT: Harnessing AI fo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지하수 수량 및 수질 관리를 위한 ChatGPT의 활용)

  • Eungyu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2-12
    • /
    • 2023
  • 지하수자원 관리의 정량적 및 정성적 측면에 있어, 최첨단 인공지능 언어 모델인 ChatGPT의 혁신적인 기능이 활용될 수 있다. 본 발표에서는 지하수 자료에 대한 분석과 도출된 문제의 중요도에 따른 목표를 설정, 그리고 지하수 관리 전략 개발에 있어서의 ChatGPT 활용 방법을 논의할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 사례로, 지하수자원 관리에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도구들의 개발과 고도화에 ChatGPT가 기여하는 방식을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개별 도구들은 지하수자원 관리 결정에 있어 더 나은 예측 및 평가를 제공하여, 지하수 자원 관리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ChatGPT의 문제 발견 및 해결책 제안 능력에 대해서도 다룰 것이다. 이를 통해 지하수 관리에 있어서의 다양한 문제를 식별하고, 이해당사자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ChatGPT가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 및 문제에 대한 솔루션 접근 방식을 활용한 브레인스토밍 방법을 설명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일반 인공지능(AGI)의 개발에 근접하면서 지하수 관리의 자동화 및 가속화 그리고 산업 및 환경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 고찰해 볼 것이다. 이를 위하여, ChatGPT와 같은 인공지능 기술이 더욱 고도화되고 향상되면서, 지하수 관리 및 관련 분야에서의 의사결정, 계획 수립, 그리고 모니터링과 같은 작업들이 어떻게 변화할지에 대하여 토의할 것이다. 본 발표는 지하수 자원 관리 분야에서 ChatGPT와 같은 인공지능 기반 접근법의 가치를 보여주며, 복잡한 지하수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첨단 기술의 활용 가능성을 강조할 것이다. 또한, AGI가 등장할 때까지 여전히 요구되는 지하수 분야 도메인 지식과 전문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할 것이다. 지하수 관리자들의 도메인 지식과 전문적 기술은 인공지능 기반 도구와 결합되어 보다 정확한 분석, 예측 및 해결책 도출을 가속화하며 정교화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지하수 관리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와 전문성을 갖춘 전문가들의 인공지능 기술활용은 지속가능한 지하수의 첨단 관리 효과적 달성에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the Database System for Groundwater Information Provision (지하수 정보 제공 시스템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 Lee, Seungyeon;Lee, Jisu;Lee, MinHyuck;Moon, Yoo-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119-120
    • /
    • 2022
  • 지하수라는 수자원의 관리를 위해,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여 정책 수립에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도록 지하수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구축한다. 기초 데이터로는 지역별, 용도별, 연도별 지하수 이용 정보를 사용하였고, 또한 지하수 이용의 허가 신고현황과 전국 지하수 관련 업체 분포에 관한 자료를 활용했다. 이를 통해 허가 정보와 관련 업체의 수, 부담금의 액수, 연도별 경향성을 지하수 이용량과 연관지어 둘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적으로 지하수 이용 부담금이나 관련 업체의 분포가 합리적이지 못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파악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구축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정책적 보완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Analysis of Groundwater Recharge Change using Water Table Fluctuation Method by Subbasins in Geum, Yeongsan, Seomjin River Watersheds (지하수위 변동법을 활용한 금강 및 영산·섬진강 권역 표준유역 별 지하수 함양량 변동 분석)

  • Jae Beom Lee;Jeong-Seok Yang;Amos Agossou;Yeong Jin Jeong;Min Seong 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77-377
    • /
    • 2023
  • 기후변화로 인한 국내 수문기상 환경의 변화는 기존의 강수 패턴의 변화를 야기하고, 이는 수문학적 측면에서 유역 내 지하수 함양량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 상시 취수가 가능한 대규모 하천 인근 지역 외의 지역은 가용 수량의 확보를 위하여 생·농·공 용수 확보를 위하여 지하수를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유역의 수자원 관리를 위하여 하천, 저수지, 댐 등으로 대표되는 지표수자원의 관리와 함께 지하수자원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지하수자원의 관리를 위해서는 기존 지하수 이용시설의 지하수 이용량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지하수 함양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물수지 분석, MIKE, SWAT 등 모형을 이용한 분석 등 다양한 평가 방법이 있으나 유역의 지하수 함양에 영향을 줄수 있는 수문환경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권역 내 표준유역 전반에 대한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위 관측자료와 강수량 관측자료를 이용한 지하수위 변동법을 적용하여 표준유역 별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였다. 최근 5년간의 자료를 이용하여 표준유역 별 지하수 함양량 산정 결과를 제안함으로써 표준유역 단위 수자원 관리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표준 유역 별 가뭄 대응 방안을 도출하는데 기초 자료로써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