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하수계

Search Result 97,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Multilphase Flow in Heterogeneous Groundwater Systems (이질적 지하수계에서 다상흐름)

  • 최우희;선우중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2.07a
    • /
    • pp.504-505
    • /
    • 1992
  • 이질적 지하수계에서 물과 DNAPL(dense nenaqueous phase liquids)의 동시적 움직임을 연구하기 위한 수직단면 2차원 유한요소모형이 개발되었다. 물과 DNAPL의 흐름방정식은 비포화 영역 뿐만 아니라 연속적으로 모사하기 위하여 유체 압력항으로 형식화하였다. 이들 지배방정식의 비선형성을 다루기 위하여 mass lumping과 수정 Picard 기법이 이용되었고, 수치진동과 분산을 줄이기 위하여 전방가중이 사용되었다. 본 수치모형의 검증은 중력과 모세관 효과를 모두 고려한 McWhoter와 Sudana(1990)의 해석해와 비교함으로써 행하였다. 또한 수치모형의 타당성 검토의 연구는 진행되고 있다.

  • PDF

New Record of a Rare Hypogean Gobiid, Luciogobius pallidus from Jeju Island, Korea (제주도에서 처음 발견된 지하수계 서식 희귀 망둑어류 한국미기록종, Luciogoius pallidus)

  • Kim, Byung-Jik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24 no.4
    • /
    • pp.306-310
    • /
    • 2012
  • A hypogean gobiid, Luciogobius pallidus was described as the first record from Korea and also as the westernmost record of the species from the world, based on four specimens (31.2~53.6 mm SL) collected from Jeju Island, Korea. The species is characterized by having yellowish orange body color with I, 10~11 second dorsal fin rays, I, 10~12 anal fin rays, 13~15 pectoral fin rays, and 36 vertebrae as well as small embedded eyes beneath the skin. A new Korean name, "Juhong-mi-ggeun-mang-dug" was proposed for the species.

Development of on-demand control technique based on ICT for multiple wells (ICT기반 수요대응형 관정군집제어 기술 개발)

  • Park, Changhui;Kim, Sunghyun;Yi, Myeo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2-32
    • /
    • 2020
  • 하나의 수계 또는 용수구역 내에서 작물생육기간 동안 지하수자원 수요량의 집중적인 증가로 인해 지역적 지하수 고갈이 발생하여 농작물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과잉양수로 인한 지하수위 하강으로 사용자간 갈등도 빈번하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해 극한기후인 가뭄의 잦은 발생은 이러한 현상을 가속화 한다. 지하수 산출성이 좋은 대수층의 공간적 분포는 복잡한 지질구조로 인해 균일하지 않으며 같은 대수층 내에서도 양수 위치에 따라 산출성은 다르게 나타난다. 이러한 지하수 수요와 공급 및 대수층 분포로 인한 지하수자원 불균형의 해소를 위해 지하수가 풍부한 지역에서 부족한 지역으로 지하수를 공급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기술적용 지역의 지하수 사용 상황 및 공급 가능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하수 공급을 제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지하수자원의 수요-공급 불균형이 발생할 때 즉각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실시간으로 지하수 현황을 감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공급 가능량을 산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에 기반한 관정연계관리체계(Well Network System, WNS)를 구성하는 기술 중 하나인 관정군집제어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수계 내에 설치된 기존의 양수정과 새롭게 추가된 관측정들을 4G LTE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의 관정군으로 묶고 중앙 서버를 통한 자료 분석 및 양수 펌프 제어를 통해 대수층의 공급 능력과 사용자의 수요 현황에 따른 지하수자원의 체계적 분배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관정군집제어는 관정별 지하수위 및 양수정 양수량을 실시간으로 관측하고 이를 분석서버에 전송하여 해당 지하수계의 공급 가능량 및 인접관정 간섭 등을 분석하여 양수정의 펌프를 실시간으로 제어하고 양수된 지하수를 수요 지역으로 이송한다. 본 연구를 통해 관정군집제어 기술의 구현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정의하고 이에 대한 구현 방법을 기술하여 WNS를 구성하는 하나의 요소기술 모델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f Numerical Analysis on Hydrogeological Influence by Groundwater Development around Underground Oil Storage Cavern (지하 석유비축기지 주변의 지하수 개발에 의한 수리지질학적 영향의 수치해석 연구)

  • 정현영;송무영;이경주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1 no.1
    • /
    • pp.37-50
    • /
    • 2001
  • Through the modeting study on the groundwater now system around the underground stockpile site of crude oil near Seoul, we carried out the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the groundwater yield near the site, the effect of the water curtain construction in order to reduce the influence of water yield, and the realized case study by measuring the water level change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water curtain. For the simu1ation of the water yield and the water curtain, the nwnerical analysis code, MODFLOW has been utilized. Groundwater levels of the observation wells which were established to observe the hydraulic head around underground oil storage cavern of the study area have been changed in the range of from EL.+30 to +60 meter, while the simulation study revealed that groundwater levels changed in the range of from EL.+20 to +5Om. The hydrogeological condition of the underground oil storage cavern becomes stable by injection water to maintain the groundwater level around the cavern. The result shows the proper input of the hydrogeological factors helps the management to be effective for the oil stockpile site.

  • PDF

The Concentration And Distribution Of Iron In The Water Of Lake Eui-Am (의암땜 하류수역의 철분량과 그 분포)

  • Choe, Sang;Kwak, Hi-Sang
    • 한국해양학회지
    • /
    • v.5 no.2
    • /
    • pp.52-58
    • /
    • 1970
  • Concentrations of the total, dissolved and particulate iron in waters of Lake Eui-Am have been determined spectrophotometrically on August 14, 1970. O-phenanthroline was the reagent used. Iron contents of the lake water were varied by the station and depth. Analyses showed variations in the total iron ranging from 238 to 2,643 ${\mu}$g/l (mean value 1,028${\mu}$g/l); the dissolved iron varied from 34.5 to 137.7 ${\mu}$g/l (mean value 83.0${\mu}$g/l), and the particulate iron varied from 179 to 2,544 ${\mu}$g/l (mean value 943 ${\mu}$g/l). Three forms of iron tend to increase with depth. This is believed that the suspended matter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gulating of iron contents in summer season.

  • PDF

Baseflow Varaiance Analysis using Runoff-Groundwater Linkage Model (지표-지하수 연동모형을 활용한 기저유량 변동특성 파악)

  • Yang, Dongseok;Lee, Seoro;Kang, Taeseong;Shin, Minhwan;Lim, Kyo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01-401
    • /
    • 2021
  • 최근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 강수량 등의 시·공간적 변화는 홍수, 가뭄 등과 같은 자연재해의 빈도와 규모를 증가시키고 있다. 특히 한강수계 주요 하천에서는 급격한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한 물 수요의 증가와 기후변화로 인한 강수량 감소 그리고 하천변 시설에서의 과다한 지하수 이용으로 인해 지하수위 변동이 발생하고 있다. 2017년 국가 지하수관측연보 및 지하수조사연보에 따르면 한강수계에 위치한 전체 569개 관정 중 암반층 관정과 충적층 관정의 최근 5년간 지하수위 평균 변동폭은 각각 3.91 m, 2.73 m로 조사되었으며, 10년 이상 장기관측 자료를 보유한 430개소 관정 중 228개소 관정에서 지하수위 하강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이처럼 강우나 하천수위 등 자연적인 원인과 양수, 유출 등 인위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지하수위의 하강은 지반 침하의 주요 원인이 되며, 하천 기저유출의 변화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저유출은 하천으로 단기 유출되는 지하수로 평수기 및 갈수기 하천 유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건기시 하천 수질과 수생태계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에 해당된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의한 이상가뭄 발생 등을 대비하기 위한 비상용수 또는 대체수자원으로서의 지하수 개발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에 따라 기저유량 확보 및 수질 개선 방안을 수립하는 것은 지속가능한 수자원 이용·관리 측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현재 활용되는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과 HSPF(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 Fortran) 수문모형의 경우 지표유출 모의에 있어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나 기저유량의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지표하 수문거동 모의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지표하 수문거동 모의가 가능한 MODFLOW의 경우 지표유출을 모의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SWAT-MODFLOW 모형이 개발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SWAT-MODFLOW 모형을 활용하여 신둔천 유역을 대상으로 유량 및 지하수위 모의결과를 검보정하여 기저유량을 산정하고 변동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An Analysis on the Infrastructure for Urban Water Cycle according to Location Characteristic (수계별 입지특성에 따른 도시 물순환 인프라 분석)

  • Lee, Sang Jin;Kim, Byung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58-58
    • /
    • 2021
  • 물은 비, 눈의 형태로 지표면에 공급되며, 빗물이 땅속으로 침투, 저류되고 지표 및 지하흐름을 통해 강이나 바다로 유입되고 다시 증발산을 통해 순환 시스템을 이룬다. 또한, 물은 생명체의 생존에 필수적이며, 건강한 문순환 체계의 균형을 이루는 것이 안정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최근 범지구적으로 기후변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지난 50년간 도시화를 통해 수계와 임야를 제외한 전 국토에서 불투수면적이 22.4%를 차지한다(ME, 2016). 이와 같은 경향은 도시지역의 물순환 및 인프라에서 침수, 가뭄, 비점오염, 침투량 감소 등과 같은 수재해 문제의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물관리 일원화와 관련하여 다양한 정책들이 마련되고 있으며, 또한 도시개발 이전의 상태로 회복하기 위한 저영향개발 기술 및 도시지역의 현재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각 분야에 따른 지표 선정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기존 연구사례에서는 대상 도시 내 물순환 체계 회복을 중점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물순환 체계는 수계별로 상·중·하류에 따라 인구밀도, 급경사에 따른 돌발홍수, 내수침수, 우수배제 등과 같은 문제가 도시별로 상이하게 발생하며, 추후 이와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 수계에서 대표적인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을 대상으로 각 도시에서는 입지특성에 따른 대응방법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4개의 수계로 구분하여 상·중·하류별로 위치한 도시지역의 물순환 및 인프라에 대해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