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하수개발

Search Result 1,070, Processing Time 0.056 seconds

Estimation of streamflow depletion due to groundwater pumping using analytical solution and empirical formula (해석해와 경험공식을 이용한 하천 인근 지하수 양수에 따른 하천수 감소율 분석)

  • Lee, Jeongwoo;Kim, Nam Won;Chung, Il-Moon;Hong, Sung 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20-220
    • /
    • 2019
  • 천부대수층-심부대수층-하천-양수정 시스템에 대해 개발된 Ward & Lough 해석해와 국내 시험유역을 대상으로 개발된 양수량 대비 하천수 감소량 산정공식 (한강홍수통제소, 2018)을 광주천인근에 실제로 위치한 지하수 관정에 적용하여 지하수 취수로 인해 하천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관정은 하천에서 약 67 m 떨어진 공업용수 공급을 위한 지하수개발 이용시설로서 착정심도 100 m, 착정구경 150 mm, 취수계획량 $200m^3$/일, 수중펌프 5 Hp 등의 시설제원을 가진다. 해석해 및 경험공식 적용을 위한 기본 입력자료로 투수량계수, 저류계수 등의 수리상수값은 해당 관정의 지하수개발 이용 영향조사서에서 발췌하였고, 측정되지 않은 일부 입력값은 문헌조사를 통해 적절한 값을 가정하여 사용하였다. 하천의 수량에 미치는 지하수 양수 영향을 예측한 결과 지하수 허가기간 5년동안 취수계획량의 약 80 %를 넘는 하천수 감소율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대상관정과 같이 하천에 매우 근접한 지역에서 지하수를 이용할 경우 하천수 취수에 준하는 영향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수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서는 하천수와 하천 인근 지하수의 통합적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Method of estimating potential amount of groundwater development by administrative district (시군구단위의 지하수 개발가능량 산정방안)

  • Chung, Il-Moon;Yoo, Sang-Yeon;Lee, Jeong-Woo;Kim, Nam-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924-1928
    • /
    • 2008
  • 우리나라 지하수 관리 정책의 기조는 지속가능한 미래 청정 지하수의 체계적인 보전 및 관리 기반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하수의 지속적인 조사, 관측 및 체계적인 개발, 이용이 이루어지도록 추진중에 있다. 한편, 현재 우리나라의 지하수 개발가능량은 10년빈도 갈수시 소유역의 연간 함양량으로 정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기준은 1996년 지하수 관리 기본계획시 정해진 기준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지하수 함양량 산정은 기저유출분리법, 물수지 분석법, 지하수위 강하곡선법, 분포형 수문모형기법 중 한 가지를 사용하도록 기초조사 지침에 명기되어 있으며 함양량으로부터 개발가능량을 추론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결과는 주로 유역 규모의 연단위 대표 함양량을 추정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어 개정지하수법 6조 2항에 의해 시군구 단위에서 수행하는 지역 지하수 관리 계획 수립과 같은 세부계획에는 활용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포형 지표수-지하수 결합모형인 SWAT-MODFLOW 모형을 이용하여 10년 빈도 갈수년에 해당하는 함양량으로부터 시군구별 개발가능량을 산정하고 이를 지역의 이용수량과 비교하여 과부족을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Groundwaters being Discharged into East Sea along the Shoreline of Southern of Southern Korean Peninsula (한반도 동해안 유출 지하수에 대한 연구)

  • Kim, Hyeong-Su;Kim, Seong-Ju
    •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 /
    • v.4 no.1
    • /
    • pp.71-84
    • /
    • 2001
  • A study was initia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groundwaters being discharged into the sea could be used as a possible water resources. This paper presents a preliminary information about the groundwaters being discharged along the shoreline of East Sea. Major discharge sites were selected primarily on the basis of the informaion on surface temperatures of the sea. Hydrogeologic and geographic conditions were also considered in selecting the major discharge sites. The development possibility of the discharging groundwater were estimated roughly, considering populations, industries and social development compatibilities of the selected areas. Groundwater dams and linked usage with surface water were suggested as possible development methods for the groundwaters.. Based on this study, we selected about 60 sites as the major discharge areas and tentatively recommended 6 sites as optimal sites for development of groundwaters being discharged into the sea. However, detailed in-situ hydrogeologic surveys are required prior to the final decision.

  • PDF

Estimation of the Available Amount of Groundwater in South Korea: 1. Development of the Method (우리나라 지하수 개발가능량 추정: 1. 개념 정립과 기법의 개발)

  • 박창근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 /
    • v.3 no.1
    • /
    • pp.15-20
    • /
    • 1996
  • The potential and the available amount of groundwater are defined precisely based on the hydrologic concept, of which terms are prescribed but not defined in the groundwater law. A simple method to estimate the available amount of groundwater is proposed by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previous methods. The proposed method is based on separations of the groundwater components from the hydrograph for the recession period and the recharge period, and may be applied to the hydrograph analysis consistently.

  • PDF

Effects of Tidal Fluctuation on Seawater Intrusion in Groundwater (조위 변화가 지하수 해수침투에 미치는 영향)

  • Nam, Byung Hee;Park, Nam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39-139
    • /
    • 2017
  • 우리나라 수자원의 잠재적 문제점중 하나는 단일 하천 혹은 댐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한반도의 지형, 기상, 경제성 등의 요인에 의해 야기된 결과이기도 하지만, 지하수 수자원의 불확실성과 적정 관리의 어려움에서 기인하였다. 지하수는 유속이 매우 느리며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지하수 과잉개발 및 오염 등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지하수자원을 활용하지 않고 무작정 보존하기 보다는 많은 연구개발을 통하여 지속가능한 수자원으로 활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해안에 위치한 지하수개발관정의 경우 바닷물이 대수층을 통해 침투하여 지하수관정을 오염시키는 경우가 발생한다. 해안지하수의 주된 오염 원인은 과잉양수로 해수침투를 야기한 결과이다. 이러한 경우 수질을 회복하기까지 수년이 걸리게 되며, 그동안 취수원으로서의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해수면상승에 따른 해수침투길이가 길어져 기존의 해안지역 지하수의 오염위험성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외에서 해안지하수 개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많은 해안지하수 수치해석연구에서는 해안경계에 평균해수면(MSL)이 적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조위변화가 지하수위 및 해수침투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 PDF

Groundwater Flow Analysis in an Urban Area (도시지역의 지하수 유동 분석)

  • Bae, Sang-Keun;Lee, Seu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35-239
    • /
    • 2011
  • 도시지역은 수자원 공급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최근 기상 이변과 같은 문제점들로 인하여 용수 공급이 안정적이지 못한 실정이다. 기후적 영향을 적게 받는 지하수의 경우는 비교적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수자원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 또한 관리적인 측면의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도시지역은 지하수이용량이 많아 지하수개발에 대한 명확한 체계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과잉양수로 인한 지하수위 저하로 용수부족, 지하수질 악화 등과 같은 지하수 재해를 일으킬 수 있으며 해안지역일 경우 해수침투로 인하여 그 피해가 광범위하고 장기간으로 확산될 수 있다. 따라서 지하수의 개발 및 관리를 위해서는 지하수 유동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효율적인 지하수 이용이 가능하다. 도시지역 지하수 유동의 경우 지하수함양과 지하수유출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요소들인 지하수이용량, 상하수도 누수량, 지하철로 인한 유출량 등과 같은 도시화 요소들도 고려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요소들을 명확하게 규명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지하수자원의 개발 이용 및 관리가 가장 절실히 필요한 곳이 도시지역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지하수 유동 분석에 관한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며 수문계측 기술의 향상과 관련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들도 함께 이루어져서 해석의 정확도가 높아져야만 원활한 수자원 공급과 효율적인 체계 관리가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의 지하수유동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부산광역시 수영구를 대상으로 도시화 요소를 고려한 지하수 모델링을 통하여 지하수 유동을 분석하였다. 정상상태 지하수 유동 모의를 실시한 결과 지하수위는 산지가 분포하고 있는 북서쪽으로 갈수 록 높아지고 수영강과 남해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며 지하수 유동도 내륙에서 수영강 및 남해로 유출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도시화 요소를 고려한 비정상상태 지하수 유동 모의 결과 수영강 및 남해에서 내륙으로 지하수가 유입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었다. 지하수위 또한 내륙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형상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대량의 양수량의 관정이 위치하는 수영로타리 일대와 광안동 지역, 지하철유출량이 많은 망미역 부근, 전력구 터널 공사로 인한 지하수 유출량이 있는 일부지역에서는 급격하게 지하수위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n the Hydrologic Components Considering Groundwater Development of the Pyoseon Watershed in Jeju Island (제주 표선유역의 지하수 개발을 고려한 수문성분해석)

  • Kim, Nam-Won;Chung, Il-Moon;Na, Han-Na;Yoo, Sang-Yeon;Yang, Su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2021-2025
    • /
    • 2010
  • 우리나라 대표적인 도서지역인 제주도는 대부분의 하천이 평상시 건천의 형태로 유지되며, 일정한 강우가 도달해야만 지표유출이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같은 하천특성은 내륙과 매우 상이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역 수문해석 방법으로는 정확한 수문성분의 산정을 기대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완전연동형 지표수-지하수 결합모형인 SWAT-MODFLOW을 이용하여 지표수 유출성분과 지하수 유동변화 및 지하수 개발까지 고려한 제주 표선유역의 통합수문성분 해석을 수행하였다. 특히 SWAT-MODFLOW에 포함된 양수모듈(MODFLOW의 well package 와 SWAT의 물이동 옵션 결합)을 이용하여 198개의 현 양수정 자료를 모의하였고, 현재 양수량, 현재양수량의 10배, 20배로 증대시켜 가며 수문성분 변화를 살펴보았다. 양수를 통해 지하수를 개발하여 사용하면 실질적으로 기저유출량의 감소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영향은 상류부 보다는 하류부에서 크게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제주도 지형적인 특성상 자연적으로 대수층으로 함양된 지하수가 대부분 바다로 유출, 손실되고 있으나 지하수를 양수할 경우, 손실량의 일부는 지하수 개발을 통해 효과적으로 사용됨으로써 제주 수자원의 추가 수자원확보량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지하수 개발에 따른 자료 획득 및 이용에 관한 연구

  • Son Ju-Hyeong;Jeong Sang-Yong;Kim Sun-Yeong;Park Sang-Ju;Gwon Su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5.04a
    • /
    • pp.90-93
    • /
    • 2005
  • 경상남도 합천군과 창녕군 생활용수 지하수 관정 개발시 지하수 굴착공종으로부터 얻어진 구간별 지층자료와 대수층 수질 자료를 획득하여 이용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지층정보를 파악하기 위하여 지하수공 굴착심도 10m마다 슬라임을 채취하였으며, 대수층 관통시에 지하수 시료를 구간별로 채수하여 전기전도도 및 수질시료를 분석하였다. 경도가 높은 지역의 경우, 음용수 수질기준치에 적합한 지하수를 개발하기 위해서 대수층별 전기전도도를 분석측정하여 경도를 간접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지하수 굴착심도 결정에 이용하였다. 그리고 대수층 구간별 불소 농도를 파악하였으며, 불소 농도가 높은 대수층 구간에서는 하부대수층 메움 등을 실시하였다. 대수층의 수질검사결과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우려 인자들(불소, 경도, 증발잔류물, 질산성 질소, 철, 알루미늄, 아연 등)에 대한 수질기준 초과 가능성을 대비한 양수시험 모니터링을 설계함으로써 지하수공의 수질 특성 파악이 가능하였다. 양수시험과정에서 탁도가 시간에 따라 기준치 이하까지 감소하는 일반적인 경향과 기준치 이상에서 더 이상 감소하지 않는 경향에 대한 원인을 분석할 수 있었다.

  • PDF

The Support System for Groundwater Development Design using GIS (GIS를 이용한 지하수개발 설계지원 시스템)

  • 김만규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9 no.2
    • /
    • pp.207-225
    • /
    • 2001
  • This study develops a GIS-based system which examines the adequacy of the Groundwater development project before the actual designing of the project. A system environment is constructed in order to efficiently and scientifically manage and analyze data related to Groundwater through a Server/Client environment. For this programs such as GIS S/W ArcVies3.2, RDBMS ORACLE, ArcSDE (Spatial Database Engine) are used. WHPA and AQTESOLV are employed as a underground water simulation program and Scripts, a language for ArcView, is used to develop graphic user interface (GUI). Using the system developed here, we can transfer simulation results obtained by WHPA regarding Groundwater levels in new development projects into GIS. We can also judge whether a Groundwater development project should be permitted through examining overlaps of th effects of the development and comparing with o pollutants. At the same time, the system has a feature of supporting Groundwater development and based designing through judging the proper amount of Groundwater in a new project. It is also possible to easily and quickly prepare charts and reports using the outputs of the system. Since a two-tiered system which shares DB using inter-and intranets is developed, all the departments in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 and the agriculture base corporation can share accurate, reliable and latest information related to Groundwater.

  • PDF

Status of Exploitable Groundwater Estimations in Korea (우리나라 지하수 개발가능량 산정의 현황과 전망)

  • Chung, Il-Moon;Kim, Jitae;Lee, Jeongwoo;Chang, Sun Woo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5 no.3
    • /
    • pp.403-412
    • /
    • 2015
  • We summarize the status of exploitable groundwater reserves in Korea based on reports of the National Basic Groundwater Plan, and review methods for estimating groundwater recharge rates, as recharge is a key factor in the estimation of exploitable groundwater reserves. We also outline the various methods used to assess exploitable groundwater reserves in previous groundwater investigation reports. Regarding advancements in the estimation of exploitable groundwater, we recommend that enhanced estimation methodologies (e.g., the water balance method and the advanced water table fluctuation method) and sustainable groundwater management concepts be adopted in the near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