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표조도

Search Result 47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Estimating Method of Surface Roughnes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지리정보를 이용한 지표면조도 산정 방법)

  • CHOI, Se-Hyu;SEO, Eun-S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8 no.3
    • /
    • pp.1-10
    • /
    • 2015
  • Rapid urban expansion and densification of the various industrial facilities affect the changes of topography and building in urban areas. Even if buildings proceed with high rise, they get mixed with low-rise buildings such as houses and industrial parks that have existed in the area. This may confuse the designer in estimating a surface roughness, an important factor in calculating the design wind velocity of building. This study analyzed the surface roughness by using a geographic information. Referring to the criteria of each country's building code,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to distinguish the surface roughness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surrounding buildings where the design building is located and calculated the surface roughness using 1:5000 topographic map and GIS. It is expected to solve problems that an existing designer calculates the surface roughness in a subjective manner and to help to design more rational buildings resistant to wind.

Guideline for Bridge Design Wind Speed in Coastal Region (해안지역 교량 설계풍속 산정 가이드라인)

  • Lee, Sungsu;Kim, Junyeong;Kim, Young-Min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8 no.6
    • /
    • pp.615-623
    • /
    • 2015
  • Estimation of wind load on bridge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in designing bridges in coastal region. Various design codes and researches have suggested the procedure to estimate design wind speed; however, they do not match one another due to many reasons such as incomplete data set, ignorance of wind environment and so on. For this reason, the necessity of guideline for estimation procedure of basic wind speed which reflect the roughness of surface and the topographical effect have been increasing. In this study, we have analysed limitations of the basic wind speed of nationwide suggested by Korea Building code(AIK, 2009) and Highway bridge design code(MOLTMA, 2010). In additional, we set forth guidelines considering the roughness of land surface and the topographical effect. Using the procedure, the basic wind speed were estimated for 15 coastal regions in Korea and compared with those listed in the existing codes.

Flood Risk Assessment of Seoul based on Watershed Characteristics (유역특성 기반의 서울시 침수위험성 분석)

  • Kim, Sung Eun;Kang, Won-Sam;Baek, Jong-R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8-38
    • /
    • 2022
  • 서울특별시(이하 서울시)는 기존 상습침수지역과 2010년, 2011년 집중호우로 발생한 침수피해를 바탕으로 34개의 침수취약지역을 선정하고, 이들 지역에 2011년 3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총사업비 1조 5,300억여 원을 투입하여 하수관거 정비, 펌프장 신설 및 증설, 저류조 신설 등 배수능력을 확충하는 사업을 진행해오고 있다. 하지만, 기후변화로 인해 집중형 배수시설의 설계용량을 초과하는 강우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극한홍수 발생위험과 기상예측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배수시설의 용량을 증설하는 집중형 우수배제체계 중심의 침수관리만으로는 안전한 침수대응이 어렵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침수대응 다각화를 위해 유역의 자연적, 사회환경적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52개 지표를 선정하고 서울시를 소규모 유역 단위인 163개의 배수분구로 구분하여 지표별 공간적 분포와 특성 분석을 통해 각 배수분구를 유형화하고, 유형특성에 따른 침수취약성과 잠재적 침수발생 위험성을 분석하여 침수위험성을 평가하였다. 유역의 특성을 대표하는 각종 지표의 서울시 내 공간적 분포를 분석한 결과, 지표별 공간적 분포 특성이 상이했으며, 지표별 최대/최소값의 차이가 수배에서 수백배까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서울시 내외에 산포된 총 40개 기상청관측소의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시간강우자료를 이용하여 강우관련 지표들의 시공간적 분포를 분석한 결과, 연평균강우량, 여름철강우량, 일최대강우량 등에서 지역적으로 최대 수백 mm의 강우량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역특성에 따른 서울시 침수위험성을 평가한 결과, 침수발생 및 피해에 불리한 유역의 공간적 취약성이 높은 배수분구로는 봉천1, 송파, 길동, 미아, 상계1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침수발생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이 높은 배수분구는 이문, 정릉, 제기1, 장안, 전농 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침수발생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과 침수피해에 불리한 공간적 취약성이 모두 높아 침수위험성이 큰 배수분구는 상계1, 미아, 장위, 창동1, 동선, 수유2, 방학, 길동, 월계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Quantitative Measurement Indicators of Software Maintenance Cost (소프트웨어 유지보수 비용의 정량적 측정지표에 관한 연구)

  • Jo, Ju-Yeon;Moon, Young-Joon;Rhew, Sung-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347-350
    • /
    • 2008
  • 유지보수 활동이 전체 프로젝트의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면서 유지보수를 수행하기 위한 비용의 증가가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유지보수를 수행하고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지표나 지침, 표준문서 등이 구체적으로 마련되지 않다. 유지보수 성능 수준을 향상시키고 유지보수를 평가, 관리하는데 있어 사용 할 수 있는 측정지표 등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산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유지보수스코어카드를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유지보수 형태에 따라 유지보수 비용의 감소와 분석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측정지표와 정량적 계산이 가능한 비용 측정지표에 대하여 연구한다.

A Study on Improvement of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for the Local Public Corporations using Cluster Analysis (군집 분석을 이용한 지방상수도 공기업 경영평가체계 개선 방안 연구)

  • Choi, Hanju;Ryu, Sung Soo;Lee, Ho Jin;Ryu, Mun Hyun;Choi, Hyo 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82-82
    • /
    • 2018
  • 지방공기업 경영평가는 지방공기업의 경영성과에 대해서 평가하는 것이므로 경영 성과를 균형있게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방공기업의 평가 대상 유형은 상수도, 하수도, 도시철도공사, 도시개발공사, 특정공사 공단, 시설관리공단, 환경시설관리공단 등 7개로 구분된다. 이 가운데 2017년 상수도 분야의 평가 대상 공기업은 지방공기업법 제78조 및 동법 시행령 제68조에 의거하여 115개이다. 행안부에서 주관하는 8개 광역 직영 기업 그룹과 시 도에서 주관하는 107개 기초지자체 직영 기업 그룹를 구분하여 평가하고 있으며 지방상수도 경영성과 평가 지표은 크게 리더십/전략, 경영시스템, 경영성과, 정책 준수로 구분되며 총 21개의 세부지표로 구성된다. 경영 성과 지표 가운데 주요사업성과와 경영효율성과 지표에 해당하는 상수도관리, 상수도보급률, 요금부과율, 요금 현실화율은 해당 지자체의 인구규모에 따라 평가군을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평가군을 설정하는 인구 기준에 대한 명확한 근거가 없고 동일한 평가군 내에서도 지자체 상수도 시설, 면적, 인구 밀도 등에 따라 관로길이나 상수도 원가 등이 크게 차이가 발생하고 있어 경영 평가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순 인구 규모가 아니라 지자체 지방상수도는 경영효율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선별하여 주요사업 활동 성과 지표 측정에 적용할 수 있는 성과 평가군을 군집분석을 통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 PDF

Evaluation Measures of CRM Application Software Use (CRM 응용 소프트웨어 활용도 평가를 위한 지표에 관한 연구)

  • Bhang, Su-In;Lee, Dong-Hyun;Kim, Neung-Hoe;In, Hoh Peter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222-225
    • /
    • 2010
  • 매년 국내 많은 기업 및 단체에서 정보시스템 관련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막대한 비용을 지불하고 있으며, 2008 년 국내 소프트웨어 및 컴퓨터관련 서비스 생산액은 24 조 4 천억 원에 이르고 있다. 그 중 컴퓨터 관련 서비스(SI 및 SM 등) 비용이 약 20 조, 응용 SW 비용이 1 조 8 천억 원에 이르고 있으며, 많은 기업과 단체들이 필요에 의해 다양한 정보시스템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성과에 대해서 만족하지 못하고, 또 다시 정보시스템을 도입하여 운영하는 등 많은 시행착오를 겪고 있다. 이것은 기업의 필요에 맞는 정보시스템을 계획하고 구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보시스템의 활용수준을 평가하고 이슈 및 개선사항을 도출하여 잘 활용하는 것이 정보시스템 성공의 핵심적인 요소임을 간과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개발되어 운영중인 정보시스템의 응용 소프트웨어가 효율적으로 이용되는지에 대한 활용 수준 평가/진단을 위하여 정보시스템 활용도 평가에 대한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살펴보고,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응용 소프트웨어 활용도 평가 지표를 새롭게 제시하며, 국내 기업의 차세대 CRM 응용 소프트웨어 활용수준을 적용하고 평가하여 이슈 및 개선사항을 도출하는데 있다.

A Study on the Improvement in Statistical Indicators of Libraries for the Disabled (장애인도서관 통계지표 개선에 관한 연구)

  • Cho, Hyun-Yang;Kim, Bo-Il;Cha, Sung-J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6 no.1
    • /
    • pp.141-162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a new "Statistical Indicators of Libraries for the Disabled (SILD)" to collect objective and reliable data from such libraries. The previous researches and related literature were reviewed to compare current national statistical indicators. The draft of a new SILD, which was based on the current SILD, was made by deriving from countable factors at the library. These were selected from various parts of the library sectors, such as the library-related laws, library standards, evaluation indices of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and statistical indicators of libraries for the disabled from IFLA, ISO, and other major countries. The draft was compared to the current SILD. The draft was then reviewed by five librarians and on-site experts working at the library for the disabled to see if they have any comments on each item of the draft. The new SILD is composed of 26 items in seven categories, and it can be used in understanding the present situation of libraries for the disab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