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표생물

검색결과 847건 처리시간 0.023초

GIS를 이용한 산림성 조류의 서식지 예측 모형 및 지도구축 (A Prediction Model and Mapping for Forest-Dwelling Birds Habitat Using GIS)

  • 이슬기;정성관;박경훈;김경태;이우성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2-73
    • /
    • 2010
  • 조류는 복잡한 생태계의 상태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생물 지표종으로써, 서식지 관리를 통한 효율적인 보전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창원시를 대상으로 산림성 조류의 서식지에 영향을 미치는 서식지 변수를 GIS기법으로 추출하여 서식지 예측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서식지 보존을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135지점에 출현한 산림성 조류는 총 5목 15과 26종 922개체로 나타났다. 또한 산림성 조류의 종다양도를 종속변수, 서식지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하여 서식지 예측모형을 구축한 결과, '식생지수', '계곡으로부터의 거리', '혼효림으로부터의 거리', '밭 면적' 등 4개의 변수가 유의성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51.3%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모형의 정확도를 검증한 결과, 상관계수 0.735, 절대평균오차비율(MAPE) 20.7%로 비교적 합리적인 예측으로 판단되었으며, 구축된 모형을 활용하여 서식지 예측지도를 제작하였다. 이 지도는 현장조사를 근거로 조사되지 않은 지역의 종다양도를 예측 할 수 있어 향후 서식지 보존을 위한 전략수립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광물성 약재(광물약)의 표준화에 관한 연구 (Standardization Studies for the Oriental Mineral Medicine)

  • 김선옥;박맹언
    • 자원환경지질
    • /
    • 제48권3호
    • /
    • pp.187-197
    • /
    • 2015
  • 광물성 약재(광물약)는 오랜 기간 동안 주로 중국, 한국 등 동양의 전통의학에서 화학성분이나 물리적인 성질이 질병치료나 건강 증진에 이용되어 왔던 단일 광물, 암석 및 생물화석 등을 의미한다. 광물성 약재는 산지의 지질특성, 기후 및 지표 환경에 의해 광물학적 특성이 달라지며, 광물의 조직, 수반광물, 정제 방법에 따라 약재로서의 효용성이 달라진다. 특히, 광물성 약재에 함유되어 있는 광물조성, 주성분 및 미량성분의 차이는 광물약의 약효와 유해성에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광물약의 분석방법과 전처리 및 제조과정에 대한 표준화가 매우 중요하다. 광물성 약재에 함유된 유해 금속 원소는 수치(법제)나 탕약 제조 등 약제의 전처리 과정과 위와 장에서의 소화과정에서 성분이 변화되어 용출량이 결정되기 때문에 체내와 대응되는 조건에서의 적절한 시험방법을 정립하여, 그 결과에 의해 위액용출도, 인체흡수도, 안정성과 위해성이 평가되어야 한다. 또한, 광물성 약재의 안정성과 위해성을 평가할 수 있는 연구결과로 유효성분과 독성 물질의 체내 존재량을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연구에서 제안된 광물성 약재의 표준화 방법은 광물약의 개발과 활용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뿐만 아니라, 광물성 약재의 품질 표준을 규격화 하는 기준을 제시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고지방 식이 유도 비만 마우스 모델에서 황정 추출물의 지방질 및 에너지 대사 관련 유전자에 대한 효능 연구 (Effects of Polygonatum sibiricum rhizome extract on lipid and energy metabolism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 전우진;김지영;오익훈;이도섭;손서연;서윤지;연승우;강재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92-202
    • /
    • 2017
  • 황정 주정 추출물 ID1216의 고지방 식이 유도 비만 마우스에서의 체중 증가 억제 효과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확인하고자 단백질과 mRNA 수준에서 지질 및 에너지 대사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지표들 간의 상호 작용 및 ID1216의 조절 여부에 관해 Fig. 10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ID1216은 고지방 식이 유도 비만 마우스에서 체중 증가 억제를 나타내었으며, 비만 대사 관련 pathway의 상위 유전자로 사료되는 SIRT1과 AMPK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성화된 SIRT1과 AMPK는 $PGC1{\alpha}$의 활성화에 관여하고, 이를 통해 열 발산 대사와 관련된 UCP 단백질과 핵 수용체 단백질인 $PPAR{\alpha}$의 발현이 백색지방, 갈색지방, 간 및 근육에서 증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각 조직 별로 RT-PCR을 진행한 결과에서는 $PPAR{\alpha}$의 하위 유전자인 aP2, ACO, Acadl, Acadm, CPT1a, CPT1b의 mRNA 발현 수준을 향상시켜 주어 ID1216이 지방산 산화 대사인 ${\beta}$-oxidation의 활성화에 기여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와는 별개로 ID1216은 중성지질을 분해하는 것으로 알려진 ATGL의 mRNA 발현 또한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ID1216이 조직에 따라 지질 및 에너지 대사와 관련된 인자의 발현에 영향을 주는 체중 조절에 효과적인 소재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만 치료제와의 기전적 차별성과 생약 특유의 섭취 안전성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조절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도 충분히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탁수조건에 따른 피라미 치자어의 생존률 비교 (Comparison of Larval Fish Survival of Pale chub (Zacco platypus) Exposed to Different Levels Turbidity)

  • 문운기;배대열;정명숙;이상돈;김재구
    • 생태와환경
    • /
    • 제45권3호
    • /
    • pp.314-32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탁수농도에 따라 생물서식지에 영향을 주는 스트레스 지수를 활용하여 탁수에 대한 어류영향실험을 수행하였다. 국내 하천에서 우점비율이 가장 높은 피라미를 대상으로 발생단계별로 탁수에 대한 모의실험을 수행한 결과 발생 초기단계에서는 탁수에 대한 반응이 민감하게 나타났지만 성체단계에 이르면서 고탁수에 대한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어종에 대한 탁수반응은 어종별 내성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향후 수생태 건강성평가와 연계하여 하천의 건강성상태를 결정한 후, 평가등급에 따라 탁수에 대한 농도와 배출 허용기간을 적용하는데 유용한 지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정밀여과막 및 입상활성탄을 이용한 수처리 공정에 따른 박테리아 거동 평가 (Evaluation of Microbes through Microfiltration within the Water Treatment Processes)

  • 심문정;임재원;김태우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30-236
    • /
    • 2016
  • 경제성장으로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국민건강을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수질오염에 대해 세계적으로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최근 맛 냄새 유발물질 발생의 문제가 대두되기 시작했다. 본 연구에서는 G정수장 내의 모형플랜트에서 사용된 원수 및 각 공정에 대한 공정수를 물 시료로 채취하여 정밀여과막 공정 및 입상활성탄 공정에서 박테리아의 거동에 대해 확인하였고, 또한 입상활성탄의 지속적 사용을 위한 역세척 가동 시 박테리아의 탈리 여부와 종 동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정밀막여과 공정을 거치는 경우 수계 내 존재하는 박테리아가 제거가 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역세척 가동시 ${\beta}$-proteobacterium species, Porphyrobacter donghaensis, Polaromonas rhizophaerae, Hydrogenophaga species, Pseudonocardia species 등 총 5종의 우점종 박테리아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정밀여과막 공정 이후 UV 공정을 추가 처리한 공정 처리수를 활성탄 공정에 유입한 2종의 박테리아는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함에 따라 생물활성탄 공정에 의한 오염물질 제거에서 박테리아 군집의 UV에 대한 민감도가 고려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수처리 공정의 설계에 유용한 지표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녹차추출물 성분 catechin이 자외선에 의해 손상된 피부에 미치는 영향 (Protective Effect of Green Tea Extract, Catechin on UVB-Induced Skin Damage)

  • 이은희;이종권;홍진태;정경미;김용규;이선희;정수연;이용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7-124
    • /
    • 2001
  • 녹차의 주요 성분인 catechin은 항돌연변이, 항종양, 항균, 항바이러스 활성 및 콜레스테를 저하, 혈압 상승 억제, 해독, 방사선 차단 작용 등과 같은 다양한 생물학적 작용들이 보고되고 있다. 최근 환경 오염의 급증으로 인한 오존층의 파괴로 지표에 도달하는 자외선이 증가됨에 따라 피부노출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피부암의 발생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역학적 및 실험실적 연구에서 자외선 조사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catechin이 UVB에 의해서 손상된 피부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고 광발암과정에서 catechin의 억제효과가 apoptosis에 어떤 영향을 주어 작용하는지를 in vivo hairless mouse skin에서 연구하였다. 녹차잎에서 추출한 catechin을 hairless mouse를 대조군, catechin을 처리한 군, 자외선을 처리한 군, catechin과 자외선을 처리한 군으로 나누었으며 catechin의 농도는 3mg/mouse로 피부에 도포한 후 자외선을 100 mJ/$ extrm{cm}^2$ 조사하였다. 자외선에 의한 피부조직에 미치는 catechin의 영향을 H&E stain을 실시하여 확인하였고, apoptosis에 미치는 catechin의 보호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DNA laddering 형성 여부와 TUNEL assay로 확인하였으며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apoptoic activity와 관련된 단백질인 p53연구하였다. 또한 자외선에 의한 세포증식에 미치는 catechin을 영향을 bromodeoxyuridine(BrdU) 면역염색방법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 자외선에 의하여 피부는 진피층의 교원섬유의 증가가 정상피부보다 2~3배 비후되었고, 염증세포의 침윤과 섬유화세포 등이 관탈되었으며 표피층은 두꺼워졌으나 상피세포가 소실되어 1~2층으로 되었다. UVB조사와 catechin을 2주간 처리한 후의 mouse의 피부는 표피층이 9~12층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세포의 핵은 과염색성을 보이며 커져있어 손상된 표피층 상피세포가 재생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Apoptosis에 미치는 결과에서 UVB 조사군은 apoptosis의 대표적 특징인 DNA fragmentation이 관찰되었고, UVB와 catechin을 처리한 군에서는 생성되지 않아 뚜렷한 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TUNEL assay를 실시한 결과 UVB군과 catechin 군을 비교하였을 때 UVB+catechin군에서 apoptotic cells이 유의성 있는 차이(p<0.05)를 보였다. Apoptosis 관련 단백질인 p53발현을 살펴본 결과 대조군과 비교해볼 때 UVB군과 UVB와 catechin을 처리한 군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자외선에 의한 세포증식에 미치는 catechin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BrdU에서는 UVB군과 UVB+catechin군을 비교하였을 때 UVB+catechin군에서 BrdU 세포수가 유의성 있는(p<0.05) 감소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해 녹차의 주요성분인 catechin은 자외선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증식 및 apoptosis를 억제하고, 세포손상, 세포증식 및 apoptosis를 억제시킴을 확인하였다.

  • PDF

$Estradiol-17\beta$의 복강주사에 따른 미성숙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의 혈장 VTG, ALPP, Ca, GPT 및 HSI의 일시적 변동 (Temporal Changes of Plasma Vitellogenin (VTG), Alkaline-Labile Protein Phosphorus (ALPP), Calcium (Ca),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GPT) and Hepatosomatic Index (HSI) in the $Estradiol-17\beta-Administered$ Immature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황운기;심정민;박승윤;지정훈;강주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91-198
    • /
    • 2004
  • $estradiol-17\beta$ ${E_2}$에 노출된 미성숙 조피볼락의 혈장 내 vitellogenin (VTG), alkaline-labile protein phosphorus (ALPP), calcium (Ca),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GPT) 및 hepatosomatic index (HSI)의 일시적인 변화가 조사되었다. 70% 에탄올에 녹여진 ${E_2}$ (5 mg/kg B.W.)를 조피볼락 치어의 복강에 주사한 후 0, 1, 3, 6, 9, 12 및 15일에 혈장이 수집되었다. 전기 영동상에서 주사 후, 3일째 약 170 kDa의 위치에 염색성을 나타내는 VTG 밴드가 검출되었다. 밴드의 염색성은 6일째 더욱 강하게 나타났지만,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흐려져 15일째에는 노출 전 처럼 VTG 밴드가 관찰되지 않았다. 혈장 내 ALPP와 Ca는 1일째부터 급격히 증가했으며 VTG 변동과 유사하게 6일째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낸 후,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점점 감소해 15일째는 노출 전과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GPT는 투여 1일부터 급격히 증가해 3일에 최고치를 나타낸 이후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HSI의 경우도 1일째부터 증가해 3일째에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낸 후, 점점 감소해 ${E_2}$ 투여전과 유사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들 결과로 E2에 노출 된 이후 조피볼락의 혈장 내 ALPP, Ca, GPT 및 HSI는 혈장 VTG와 유사한 증․감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ALPP, Ca, GPT 및 HSI는 VTG와 더불어 연안 생태계 내에서 외인성 ${E_2}$ 노출에 대한 생물학적 지표로서 사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생활 스트레스에 대한 심박변이와 혈청 코티졸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Heart Rate Variability (HRV) and Serum Cortisol Level to Life Stress)

  • 신숙희
    • 핵의학기술
    • /
    • 제18권2호
    • /
    • pp.78-82
    • /
    • 2014
  •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사건들은 모두 스트레스인자로 작용하여 이에 대한 대처가 부적절하면 인체의 항상성이 파괴되어 정신 및 신체질환의 발생에 영향을 주며 인체의 면역반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어 질병에 대한 대처능력을 떨어뜨려 다양한 만성질환에 대한 감수성을 높일 수 있다. 스트레스에서 내분비학적 및 생화학적 반응을 이용하는 근거는 신체 대부분의 시스템이 스트레스 중 변화하고 이런 변화를 나타내는 생물학적 지표가 스트레스와 관련된다는 근거에 의해 신체적 반응에 대한 생화학적 반응으로서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졸 측정과 생리적인 스트레스반응으로서 여러 가지의 생리신호 중에 혈압(blood pressure)과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HRV)를 측정하여 스트레스 반응 수준을 측정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전체 94명의 피실험 대상자의 혈청 코티졸의 농도는 평균 11.22 ng/mL 이었고 최저 3.6ng/mL에서 최고 23.3 ng/mL의 분포를 나타냈다. 남녀 집단을 나누어 분석하면 남자가 13.71 ng/mL 으로 여자 10.47 ng/mL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생리신호 중 혈압을 남녀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수축기혈압 평균이 남자가 133 mmHg으로 여자 117 mmHg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확장기 혈압의 평균은 남자가 81mmHg로 여자의 76.4 mmHg 보다 높았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심박변이도 중 교감신경 활동을 보여주는 LF/HF ratio 비도 남자가 3.09 로 여자 1.77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 PDF

납 사업장의 공기 중 납 농도 및 납 노출 근로자들의 납 관련 생물학적 노출 지표의 관련성에 관한 조사 (The Association of Lead Biomarkers of Lead Workers with Airborne Lead Concentration in Lead Industries)

  • 김남수;김진호;장봉기;김화성;안규동;이병국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3-52
    • /
    • 2007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airborne lead concentration by type of lead industries and type of lead exposure and to evaluate their association with lead biomarkers of lead workers in 11 lead using industries. Total of 182 lead workers (male: 167, female: 15) from 11 lead industrie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from March, 2004 to August, 2005. Airborne lead concentration were measured by representative personal sampling of workers in each unit workplace and applied same concentration value to the workers in the same unit workplace who did not measure their airborne lead with personal air sampling. Tibia lead, blood lead, zinc protoporphyrin in whole blood, ${\delta}$-aminolevulinic acid in urine, hemoglobin and hematocrit were selected as study variables of indices of lead exposure. Information about type of lead exposure (fume or non-fume other), age, work duration, smoking & drinking habit were also collecte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een in the means of zinc protoporphyrin, blood lead and tibia lead in lead workers by different airborne lead concentration in workplace. While blood lead and tibia lead in lead work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econdary smelting than other types of lead industries, zinc protoporphyrin, ${\delta}$-aminolevulinic acid in urine and airborne lead concentr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litharge manufacturing. While the mean blood lea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ead workers working in fume type unit workplace than those of non-fume lead workers, the mean airborne lead concentration of fume worker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non-fume lead workers.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airborne lead concentration and the type of lead exposure on tibia lead and lead exposure indices after adjustment of related covariates, airborne lead concentr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lood lead and tibia lead, but the type of lead exposure was only associated with blood lead. To verify the causal association of airborne lead concentration on blood lead and tibia lead, further studies are needed.

일반 인구집단에 대한 대기중 총먼지의 생물학적 노출지표로서 요중 1-hydroxypyrene 및 2-naphthol의 유용성 (Urinary 1-Hydroxypyrene and 2-Naphthol as a Biological Exposure Markers of Total Suspended Particulate in the General Population)

  • 강종원;김헌;강대희;이철호;조수헌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3권3호
    • /
    • pp.306-312
    • /
    • 2000
  • Background :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 are well known environmental pollutants. The measurement of PAH in ambient air is not commonly used, because it is quite difficult to perform and is unreliable. Using biomarkers of PAH can be an alternative approach to this problem. The PAH in ambient air is absorbed in particulate matter. Total suspended particulate(TSP) or particulate matter of less than $10{\mu}m$ in diameter (PM10) can be easily measured. Therefore, TSP or PM10 can be used as a surrogate measurements of ambient air PAH. Objectives : We investigated whether the urinary concentration of two biomarkers of PAH, 1-hydroxypyrene (1-OHP) and 2-naphthol, could reflect the total suspended particulate in the general population. Methods : In order to exclude the effects of occupational exposure and smoking,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Four middle schools within a one kilometer boundary of ambient air monitoring stations were selected. Total suspended particulate was regarded as the marker of airborne PAH. Diet and smoking data were collected by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spot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Urinary 1-OHP and 2-naphthol were analyz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esults : The correlation between urinary 1-OHP, 2-naphthol and passive smoking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orrelation between urinary 1-OHP and TSP indic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orrelations between urinary 2-naphthol and TSP of two lag days, one lag day, and zero lag day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wo lag days was the strongest (p=0.001), one lag day was the next (p=0.0275), and zero lag days was the weakest (p=0.0349). Conclusion : Our results imply that the urinary concentration of 2-naphthol can be applied as a PAH exposure marker for the general population with low PAH expos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