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표개발

Search Result 4,235,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The Study on the Procedure to Build Urban Sustainability Indicators -Based on a Case Study in America- (지속가능성 도시지표 개발절차 연구 시설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이경기;황희연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2
    • /
    • pp.307-319
    • /
    • 2000
  • 본 연구는 도시 및 지역의 지속가능성을 측정하고 평가하기 위한 수단으로 요구되는 ‘지표’의 개발방법과 절차를 설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사례지역으로 미국의 잭슨빌, 시애틀, 오레건 지역을, 지표개발을 위한 방법론으로서는 Maclaren의 이론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지속가능성 지표는 단순한 평가수단이 아니라 그 개발과정을 통해 시민그룹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인식을 제고함과 동시에 구성원의 협력과 노력에 입각하여 미래지향적인 새로운 공동체를 만들어 나가는 강력한 매개체가 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추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지속가능성 도시지표 개발절차를, \circled1 지표개발 주체 형성 \circled2 목표 및 비전의 정립 \circled3지표개발에 따른 기본방침의 설정 \circled4 지표개발을 위한 측정 및 분석 \circled5 예비지표의 발굴과 지표선택기준 마련 \circled6 예비지표 평가를 통한 최종지표의 선택 \circled7 지표에 대한 측정 및 분석 \circled8 지표분석 결과 보고 및 발표 \circled9 지표작업평가 및 새로운 목표 수립 등 9단계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가 제시한 지속가능성 도시지표 개발절차는 우리 나라의 지역 및 도시단위에서 지속가능성 도시지표를 설정하는데 준거로 활용될수 있을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Usability-related Gamsung Indexes for Web-based Databases (Web 기반 감성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사용성 관련 감성 지표 개발)

  • 박길환;임은영;박민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338-342
    • /
    • 1999
  • 본 연구는 웹 기반 감성데이터베이스구축 및 보급을 위하여 국내의 감성 관련 주요 연구 결과 및 감성 자료를 수집하고 주요 감성 지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감성 지표는 사용 적합성 지표로서 수집한 감성 자료들 중 사용 적합성에 관련된 감성 자료를 선별하여 이를 물리적/객관적 적합성 관련 지표와 주관적 적합성 관련 지표, 개발된 측정 시스템, 감성 정보물로 분류하였다. 물리적/객관적 지표는 다시 환경 지표, 생리 지표, 제품설계 지표, 평가척도 지표, 제품평가 기술 지표로 분류 등의 세부지표로 분류하고, 주관적 지표는 언어 지표, 묘사 지표, 심리 지표, 인지 지표로 다시 나누어 분류하였다. 개발된 제품, 측정 시스템, 또는 시뮬레이터 둥은 개발된 측정 시스템으로 분류하고 그 밖의 감성공학적으로 중요한 자료 및 정보는 감성공학 관련 정보물로 분류하였다. 분류한 지표는 전문가의 검증을 통해 타당성을 확인한 후 감성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될 예정이다. 이를 위하여 전반적인 감성 자료 관리 시스템을 통한 효과적인 감성 자료 관리체제 구축과 감성 자료의 공유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 PDF

The Comparison Study between standardizations of Visual-Audial Sensibility (시청각 감성 지표에 관한 비교 연구)

  • 이동춘;윤훈용;이상도;부진후;심정훈;강재철;황성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348-351
    • /
    • 1999
  • 시청각 관련 지표 개발은 3차원 시청각 환경 제시기술, 시청각 감성을 활용한 Audio의 개발과 시청각 감성 측정기술 및 DB개발 등에 대하여 진행되었다. 3차원 시청각 환경 제시기술 개발은 VR 환경 제시 기술 개발과 모의 시뮬레이터를 통한 평가 단계 및 인간의 공간 인식 특성에 관한 연구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지표화 과정에서 VR 제시 시스템 관련 지표(3개), VR평가 지표(3개), 그리고 정보물(2개) 등 총 8개의 지표가 완성되었다. 시청각 감성을 활용한 Audio 개발과 시청각 감성 측정기술 및 DB개발에서는 시청각 감성에 대하여 주관적 평가 실시 후, 이를 이용한 제품개발 및 DB화하는 과정으로 구성되었으며, 각각의 연구물에 대하여 각각 6개와 13개의 지표가 완성되었다. 시청각 감성을 활용한 Audio 개발과 시청각 감성 측정기술 및 DB개발은 감성측정방법에서 제시 자극과 실험육법에서의 다소의 차이는 있었으나, 감성어휘 도출을 통한 SD척도법, 생체신호 측정, 자료처리방법 및 평가기준 등에서 유사성이 있었다. 따라서 각각의 연구물에 대한 지표 개발뿐만 아니라 지표간의 관련성을 비교ㆍ분석함으로써 체계화된 지표 표준화 과정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PDF

A study on the selection of technology development supporting business by AHP method in a BSC viewpoint : Focused on Daejeon TP (BSC관점에서 AHP기법을 이용한 기술개발지원사업 선정에 관한 연구 : 대전테크노파크를 중심으로)

  • Gu, Jeong-Hee;Choi, Jong-I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a
    • /
    • pp.419-422
    • /
    • 2012
  • 본 연구는 기술개발지원사업의 선정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사례에 적용하여 그 타당성을 파악하고 있다. 개발된 선정평가지표의 기업선정순위와 기존 선정평가지표의 기업선정순위를 비교하여 성과를 낸 기업의 순위를 어떤 선정평가지표가 더 정확히 유추해 냈는지를 확인하고 있다. BSC 및 AHP기법을 이용하여 기술개발지원사업 선정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 PDF

연구개발과제의 양적.질적 성과분석지수 개발 : IT핵심기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 Yu, Seung-Hun;Lee, Jong-Sik;Kim, Sang-Tae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9.02a
    • /
    • pp.413-433
    • /
    • 2009
  • 질적인 측면을 충분히 감안하지 못한 양적 성과분석은 연구개발 과제의 성과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양적 성과와 질적 성과를 함께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종합적인 성과분석지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성분 분석과 동일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특허 출원 건수, SCI 게재논문 건수, 기술이전 건수라는 3가지 양적 성과지표와 이에 대응되는 특허 심사청구 항수, 논문게재 학술지의 IT, 총 연구비 대비기술료 비중의 3가지 질적 성과지표를 성과지표로 고려하면서 성과분석지수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주성분 분석의 적용 결과 특허 출원 건수(0.2160), SCI 논문게재 건수(0.1510), 기술이전 건수(0.1564), 특허 심사청구 항수(0.2257), 논문게재 학술지의 IF(0.2218), 기술료 비중(0.0291)의 가중치를 얻을 수 있었다. 이 6가지 평가지표는 종합평가지수라는 하나의 틀로 결합되어 개별 과제의 성과를 평가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양적 성과지표와 질적 성과지표로 구분하여 평가할 수 있다. 가중치 결정 방법에 따라 평가결과가 크게 달라지지는 않았지만, 가중치 결정 방법과 상관없이 양적 성과지표 평가결과와 질적 성과지표 평가결과는 크게 달랐다.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과제평가등급과의 상관관계를 따져보았더니 질적 성과지표와 과제등급과의 상관관계가 양적 성과지표와 과제등급과의 상관관계보다 더 크다는 것이다. 따라서 성과분석에 있어서 질적 성과지표를 반영한 질적 성과분석이 반드시 수행될 필요가 있다. 앞으로 특허 인용도 등 보다 다양한 질적 변수를 확보하여 성과분석지수를 보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ser Satisfaction Indicators for Public Library Evaluation (공공도서관 평가를 위한 이용자 만족도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Pyo, Soon-Hee;Cha, Sung-J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3 no.2
    • /
    • pp.329-35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indicators of user satisfaction for Korean public library evaluation. This is an attempt to overcome the inequality of indicators, which mainly consist of inputs and outputs. User satisfaction indicators are constr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the prepared indicators are tested through a user survey of public libraries. Notably, the test is focused on the applicability of indicators for public libraries with a variety characteristics such as scale and operation organiz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a total of 10 indicators.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Framework for Natural Disaster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자연재난분야 연구개발 사업의 특성을 고려한 성과지표 및 성과평가체계 개발)

  • Kim, Du-Yon;Kim, Sang-Bum;Kwak, Hyun-Ju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4 no.4
    • /
    • pp.118-129
    • /
    • 2013
  • Due to the recent surge in natural disasters, with rising social concerns, investment on research & development (R&D) project in natural disaster mitigation area is continuously increasing. However, current R&D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of natural disaster mitigation area does not properly reflect characteristics and social ripple effects of R&D projects. It is indicated that mainly due to the current performance index consists of easy-quantification factors and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dopts simple aggregation metho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new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considering characteristics and social ripple effects of natural disaster mitigation R&D projects. To this ends, this study derived 3-dimensional performance measurement index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natural disaster mitigation R&D projects analysis. Finally, based on the derived performance measurement index, this study suggested new and eff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for natural disaster mitigation R&D projects.

Study on Development of River Synthesis Management Index (유역종합관리지표 선정 및 타당성 검증)

  • Baeck, Seung-Hyub;Choi, Si-Jung;Lee, Dong-Ryul;Hong, Seung-Jin;Seo, Jae-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35-735
    • /
    • 2012
  • 국내 및 세계적으로 중앙정부 관점에서 수자원관련 현황을 평가하거나 취약성을 파악하는 등 관련 적응 정책 수립, 부문별 정책 수립의 우선순위 결정과 평가를 위하여 지수(Index)와 지표(Indicator)를 개발하고 사용하고 있다. 수자원관련 지수의 개발은 이수, 치수 및 하천환경 분야의 지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 치수관련 지수는 국내 외에서 많은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지표 및 지수의 구성체계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가 되며 하나는 인과관계 접근방식으로 측정하고자 하는 현상, 결과를 나타나게 하는 요인, 이러한 현상을 완화 또는 강화하기 위한 노력 간의 상관성을 파악하여 지표를 도출하고, 다른 하나는 주제 접근방식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현상을 크게 분야별로 구분한 후 분야별 정책목표에 따라 하위 분야로 세분화하고 이에 따른 관련지표를 선정한다. 최근에는 주제 접근방식의 지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자원통합관리를 위하여 행정구역 및 유역의 다양한 대리변수를 조사, 분석하여 1990년부터 2007년까지의 시군구 및 국가표준지도인 수자원단위지도의 812개의 표준유역별 DB를 구축하였고, 물이용취약성지수 홍수취약성지수 하천환경취약성지수 및 유역종합관리지수를 개발하여 평가하는 유역종합관리지표를 개발하였다. 각 분야별 취약성 지수는 다양한 대리변수들을 통계분석을 통하여 잠재지표를 선정하였으며, 잠재지표들 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서로 유사한 변수들끼리 묶어주는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주제별 세부지표를 선정하였다. 지표 산정에 있어 표준화방법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Z-score 방법을 사용하였고 가중치부여 방법은 동일가중치를 이용하였으며 최종적인 집계과정은 누적합산방법으로 지수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유역종합관리지표의 타당성조사를 위하여 2008년 강원도 지역의 이수 및 치수관련 자료를 구축하여 피해이력을 제외한 유역종합관리지수를 산정하여 제한급수 및 홍수 피해이력이 발생한 유역과 비교 분석하여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지표는 유역관련 현황 파악 및 취약성 분석을 통하여 향후 분야별 관련 정책 및 대책 수립에서 보다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eacher Librarians' Evaluation Indicators in Korea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사서교사 평가지표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Kim, Jeong-Hyen;Lee, Byeong-Ki;Shu, Kyung-Un;Kim, Sung-Ju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1 no.3
    • /
    • pp.133-154
    • /
    • 2010
  • With the introduction of new teacher evaluation system, teacher librarians' evaluation indicators and questions were presented for the first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validity of current indicators and questions and to develop new one, based on it. The result is as follows : Current indicators mainly focus on the management of school library facility and collection, not on teacher librarians' educational activities and have the low validity to evaluate the expertise of teacher librarians. As a result, this study will suggest new evaluation indicators and questions to evaluate their expertise appropriately.

  • PDF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ex about Disaster Preparation Training (재난대응훈련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Park, Nam-Hee;Yeo, Wook-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278-280
    • /
    • 2016
  • 본 연구는 재난대응훈련시 훈련의 결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은 전 국민이 참여하는 훈련으로 재난대응 행동요령 숙지는 물론, 안전문화 확산에 기여토록 추진하고 범국가적 재난대응체제 확립을 위한 발생가능한 모든 재난유형을 대비한 국가종합훈련이다. 재난대응훈련 평가지표 개발에는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의 평가분야별 평가지표 분석 및 적용, 최종점수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평가결과 3등급(A, B, C) 부여, 중앙평가위원회에서 기관별 평가결과 및 협력도를 종합적으로 검토, 우수기관 선정 및 포상 추진, 미흡기관(C등급 하위 10%) 역량교육 및 재훈련, 기관별 미적용 평가지표는 해당 배점을 제외하는 것 등으로 지표 개발을 고려한다. 재난대응훈련 평가지표 개선을 위하여 개발된 표준훈련절차와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테스트베드를 통한 문제점을 도출한 후 운용 및 적용성을 보완하여 시스템 운영을 하도록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