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체구조

Search Result 285,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Shear Lag in Framed Tube Structures with Multiple Internal Tubes (복수의 내부 튜브를 가진 골조 튜브 구조물의 Shear Lag)

  • 이강건;이리형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3 no.3
    • /
    • pp.351-360
    • /
    • 2000
  • A simple numerical modelling technique is proposed for estimating the shear lag effects of framed-tube system with multiple internal tubes. The tube(s)-in-tube structure is analysed by using an analogy approach in which each tube is individually modelled by a beam that can accounts for the flexural and shear deformations, as well as the shear lag effects. The numerical analysis is based on the minimum potential energy principle in conjunction with the variational approach. The shear lag phenomenon of such structures is studied with additional bending stresses. Structural parameters governing the shear lag behaviour in tube(s)-in-tube structures are also investigated through thirty-three numerical examples.

  • PDF

한반도의 지진지체구조 설정을 위한 지구물리학적 자료

  • 김성균;김우한;최광선;조봉곤;이희권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123-130
    • /
    • 2003
  • 어떤 지역에서 발생가능한 지진동을 확률적으로 예측하기 위해서는 그 지역을 포함한 광범위한 지역의 지진원(seismic source zone)을 정의하지 않으면 안된다. 지진원이란 동일한 지진학적, 지체구조적, 지질학적 양상을 가지는 지역을 의미하며, 지진활동이 지역내에서 균질로 하나의 지진규모 - 발생빈도 관계식에 의해 표현될 수 있는 지역으로 가정된다. 또한 하나의 지진원 내의 지진활동성은 그 지역 전반에 걸쳐 고르게 분포하고 미래의 지진은 그 지역내의 어떠한 곳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고 가정된다. (중략)

  • PDF

Seismic Characteristics of Tectonic Provinces of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주요 지체구조구별 지진학적 특성)

  • Lee, Kie-Hwa;Kim, Jung-Ki
    •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 /
    • v.3 no.2
    • /
    • pp.91-98
    • /
    • 2000
  • The seismicity of the Korean Peninsula shows a very irregular pattern of strain release typical of the intraplate seismicity. The Korean Peninsula may be divided into several tectonic provinces of differing tectonics. In this analysis, seismicity parameters for each tectonic province are evaluated from historical as well as instrumental earthquake data of the Korean Peninsula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seismic characteristics among tectonic provinces. Statistical analysis of the earthquake data made of incomplete data before the Choseon Dynasty and complete data afterwards reveals that there exis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ismic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ectonic provinces. It turns out the b-value in the intensity-frequency relation for the whole peninsula is about 0.6 and the maximum earthquake is about MMI X.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d in the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n estimating the design earthquake in earthquake engineering.

  • PDF

Development of Classified Congestion Functions (도로유형별 지체함수 정립에 관한 연구)

  • 강호익;박창호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2
    • /
    • pp.117-131
    • /
    • 1998
  • 지체함수는 교통량과 속도의 관계를 단조 증가함수로 단순화하여 교통수요예측의 교통배정모형에 사용되게 된다. 이 지체함수를 구하는 방법은 두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첫째는 교통배정을 통해 구해지는 추정 링크통행량과 실측 교통량을 비교해 가면서 정산하는 방법이고 둘째는 교통량-속도 관계로부터 직접 구하는 방법이다. 첫째 방법은 구해진 O/D 통행량표의 부정확성과 모형에 내재하는 오류가 이 지체함수에 포함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량-속도 관계로부터 직접 도로유형별 지체함수를 구하여 교통배정에 적용하는 새로운 방법을 정입하였다. 교통망 전체에 대하여 단일 지체함수를 적용하는 기존의 방법은, 교통량 변화에 따른 통행시 간의 변화가 보다 둔감한 고급도로에 변화는 고급도로일수록 둔감하게 나타나며, 교통배정에 도로유형별 지체함수를 적용할 경우 단일 지체함수 적용시에 비하여 고급도로에 더 많은 교통량이 배정되게 된다. 본 연구의 결과, 교통망상에서 보다 현실적인 도로유형별 분담을 이룰 수 있는 방안이 정립됨으로써, 지금까지 교통배정에 있어 상대적으로 과소평가되어 왔던 고속도? 등 고급도로의 실제 타당성을 반영할 수 있게 되어 도로의 기능적 배차구조가 확립된 효율적인 교통망을 구성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열처리가 Zr-2.5Nb압력관 재료의 지체균열전파 특성에 미치는 영향

  • 김인섭;오제용;김영석;국일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05a
    • /
    • pp.765-770
    • /
    • 1995
  • 지체균열전파(DHC)는 중수로 압력관의 수명에 근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현상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열처리를 통하여 압력관 재료인 Zr-2,5Nb의 기계적 성질, 집합조직을 변화시켜 각 인자들이 DHC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지체균열전파속도(DHCV)는 항복강도와 경도와 비례한다는 것과 유사한 미세구조와 집합조직을 갖는 Zr-2.5Nb의 경우 항복강도와 Puls의 모델을 이용하여 지체균열전파속도(DHCV)를 예측할 수 있었다. 그리고 secondary cracking이 annealing한 시편들에서는 관찰되었으나 $\beta$열처리 후 급냉한 시편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것의 수소화물 형상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