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질성분

검색결과 1,487건 처리시간 0.137초

대장균 내독소에 의한 토끼의 혈중 지질 및 cytokines 변화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of Lipids and Cytokines in Escherichia coli Endotoxin-induced Septicemic Rabbits)

  • 최석철;김재영;김태운;권헌영;황수명;최국렬;장동석;이원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0-35
    • /
    • 2000
  • 본 연구는 대장균 내독소로 실험적 패혈증을 유도한 토끼를 이용하여 지질성분과 cytokines에 대한 박테리아 내독소의 영향과 이 물질들 변화간의 상호 관련성을 조사한 결과이다. 내독소 투여군의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농도는 전 검체채취 시간대에서 대조군보다 대체적으로 높았다(p<0.01 또는 0.05). 내독소 투여군의 인지질 농도는 내독소 투여후 3 및 6 시간대에 용량의존성으로 대조군보다 높았다(p<0.05).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와 interleukin-I$\beta$(IL-l$\beta$) 농도는 모든 검체채취 시기에서 대조군보다 증가하였다(p<0.01 또는 0.05). 지질성분들의 변화와 cytokines(TNF-$\alpha$ 나 IL-1$\beta$)변화간에 유의한 음의 상관성이 있었으며(p<0.05), 중성지방이나 콜레스테롤 농도가 보다 높았던 내독소 투여 토끼들이 그렇지 않은 토끼들보다 상대적으로 더 좋은 임상상태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내독소에 의한 지질성분들의 변화가 지질 대사계의 혼란이라기보다 숙주 방어기작의 능동적 작용일 수도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감압저장중 Tomato 과실의 향기 및 지질성분의 변화 -저장중 지질성분의 변화와 향기성분과의 상관관계- (Changes of Flavor Components and Lipid Contents in Tomato Fruits during Storage : Changes of Lipid Condents and Its Correlation with Flavor Components)

  • 손태화;천성호;최상원;문광덕;정신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3-71
    • /
    • 1988
  • 토마토 과실의 전지질은 97.6mg%이었며 그 중 중성지질이 45.1mg%, 인지질이 31.2mg%, 당지질이 12.4mg%의 순으로 함량이 높았다. 저장중 중성지질의 함량은 climacteric rise시기부터 서서히 증가하였으나 당 및 인지질은 저장말기까지 감소하였으며 각 지질의 지방산 조성에서 포화지방산으로는 palmitic 및 stearic acid의 함량이 많았고 불포화지방산으로는 linoleic, linolenic acid및 oleic acid가 많았다. $25^{\circ}C$에서의 모든 지질과 $15^{\circ}C$에서의 중성지질중 linoleic acid함량은 저장중 감소하였으나 $15^{\circ}C$에서의 인지질중 linoleic acid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Palmitic acid 는 중성지질에서는 감소하였으나 당 및 인지질에서는 저장전반에 걸쳐 증가하였다. 파쇄흡착법에 의한 향기성분과 NAP-N의 중성지질중 linoleic acid 와는 부의 상관이 있는 반면 palmitic acid 와는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SAP-L의 중성질에서는 NAP-N과 같은 경향이었으나 당지질에서는 linoleic acid와 정의 상관을, oleic acid와는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인지질에서는 stearic acid와는 정의 상관을, palmitic acid와는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 PDF

한국산 마지질의 분획 정량과 지방산조성 (Quantitative Fractionation of Total Lipids and Their Fatty Acid Composition in Korean Yam Tubers.)

  • 김용선;김상순;김철재;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652-657
    • /
    • 1995
  • 한국산 마(긴마, 단마)에서 총지질을 추출하고 이의 각종 구성 지질을 SCC(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분획 정량하고, 이들의 조성을 TLC에 의해 분별한 후 각 획분의 지방산 조성을 GC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마의 건조물 중 총지질의 함량을 보면, 긴마, 단마는 각각 1.70%, 1.31%이었고 정제 총지질은 각각 1.35%, 0.99%였다. 또한 정제 총지질을 SCC로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로 분획 정량한 결과, 긴마는 각각 43.33%, 39.60%, 17.07%, 단마는 각각 43.94%, 34.74%, 21.32%로 중성지질이 가장 많았다. 마의 중성지질을 구성하는 주요성분은 triglyceride와 sterol ester이며 당지질의 구성성분은 monogalactosyl diglyceride, trigalactosyl dialyceride이었다. 그리고 인지질의 주요 구성성분은 phosphatidyl choline, phosphatidyl ethanolamine이었다. 총 지질을 구성하는 주된 지방산을 보면, 마는 linoleic acid와 palmitic acid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고 또한, 총지질 중의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을 구성하는 주된 지방산 조성은 총지질을 구성하는 지방간 조성의 pattern과 거의 같았으며, 다만 당지질 경우 linolenic acid가 중성 및 인지질에서 보다는 구성성분으로 다소 많았다.

  • PDF

분말가쓰오부시의 제조 및 풍미성분에 관한 연구 2. 분말가쓰오부시의 지질성분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Powdered Katsuobushi and Its Flavor Constituents 2. Lipid Components of Powdered Katsuobushi)

  • 오광수;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9-24
    • /
    • 1989
  • 분말가쓰오부시 품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지질성분을 살펴보기 위해 제품제조 중 일어나는 지질성분의 변화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원료가다랑어의 총지질조성은 중성지질 $79.7\%$, 당지질 $7.8\%$ 및 인지질이 $12.5\%$였고, 자숙 및 훈건처리 등 제조과정 중 인지질은 점차 감소한 반면 중성, 당지질의 조성비는 증가하였다. 분말가쓰오 부시 제품의 조성은 중성지질 $82.5\%$, 당지질 $9.2\%$, 인지질 $8.3\%$였다. 제조과정 중 각 지질획분의 조성변화는 TG, DGD, PC 및 PE 등이 감소하였고 FFA, DG, MGD 등의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LPC의 생성도 확인되었다. 총지질의 지방산함량은 추출한 총지질 1g당 23:0을 기준으로 원료가다랑어가 721.8mg, 자숙시료 589.8mg, 1차훈건시료 549.6mg, 분말가쓰오부시제품 473.1mg으로 제품제조 중 약 $35\%$의 지방산이 감소하였다. 각 구성지방산의 변화는 22:6, 20:5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엔산이 절대량으로 약 $43\%$, 모노엔산 $36\%$, 포화산이 $26\%$의 감소를 보였으며, 주요구성지방산은 16:0, 18:0, 16:1, 18:1, 20:5 및 22:6이었다. 분말가쓰오부시 제조중 중성, 당, 인지질의 지방산조성의 변화는 획분별로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22:6, 20:5, 20:4 같은 고도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는 감소한 반면, 포화산의 조성비는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모노엔산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 PDF

치주질환 발생기전 및 예방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Prevention of Periodontal Disease)

  • 최근배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7권12호통권127호
    • /
    • pp.895-899
    • /
    • 1979
  • 치석다침착자의 치석의 화학성분함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치태제거후 6개월에 치태침착도가 심한 사람과 경한 사람을 분류하여 전악으로부터 치태를 채취하였다. 그리고 채취된 치태 세포성분획과 비세포성 부분으로 분리하여 각 분획에서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Ca, Mg, K 및 P의 함량을 화학적으로 분석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치석다침착자의 치태 건조중량당 10%의 탄수화물, 43%의 단백질, 18%의 지질, 4.3%의 Ca, 0.15%의 Mg, 0.29%의 K과 2.87%의 P으로 구성되어 있다. 2. 탄수화물, 지질, K은 비세포 성분획에서 단백질, Mg, 세포성분획에서 많이 차지하였다. 3. Ca, Mg, P의 함량은 치석다침착자의 치태에서 K의 함량은 치석경침착자의 치태에서 높았다. 4. Ca/P비는 비세포성분획보다 세포성 분획에서 훨씬 낮았다.

  • PDF

한국장류식품(韓國醬類食品)의 유지성분(油脂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 1 보(報) : 청국장 발효(醱酵)과정중의 유지성분(油脂成分) 변화(變化)- (Studies on the Lipids in Korean Soybean Fermented Foods -I. Changes of Lipids Composition during Chungkookjang Fermentation-)

  • 이숙희;김선기;최홍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99-403
    • /
    • 1983
  • 청국장 발효과정중에 일어나는 지질성분(脂質成分)의 변화(變化)를 규명하고저 삶은콩에 Bacillus natto 를 접종(接種), 3일간 발효시킨후 식염을 7% 첨가하여 20일간 숙성(熟成)한 청국장을 만들고, 삶은콩, 청국장 고오지 및 청국장제품의 지질(脂質)에 관한 연구를 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삶은콩의 총지질(總脂質) 함량중 중생지질(中性脂質)은 92.08%, 유리지방산(遊離脂肪酸)은 1.76%, 당지질(糖脂質)은 2.04%, 연지질(憐脂質)은 4.12% 이었으나, 발효숙성(醱酵熟成)과정중 중성지질(中性脂質)이 감소하고 유리지방산(遊離脂肪酸)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당지질(糖脂質)의 함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연지질(憐脂質)의 함량은 청국장 고오지 발효중에 증가하였다가 숙성기간중 감소하였다. 또한 연지질(憐脂質)과 당지질획분(糖脂質劃分)들의 발효숙성중(醱酵熟成中)의 구성성분의 변화에 있어서 특히 포스파티딜 이노시톨 및 포스파티딜 콜린의 변화가 주목되었고 또 디-갈락토실 디-글리세리드가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한편, 중성지질(中性脂質) 및 유리지방산(遊離脂肪酸)들의 구성 지방산(脂肪酸)중 주요성분은 리놀레산이었으며 당지질(糖脂質)과 연지질(憐脂質)에서는 팔미트산이었고 특히, 다른 지질획분(脂質劃分)에 비해 당지질(糖脂質)에는 리놀렌산 함량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발효숙성(醱酵熟成) 결과 연지질(憐脂質) 및 당지질획분(糖脂質劃分)들에서 포화지방산(脂肪酸) 함량이 감소한 반면 불포화도가 높은 지방산(脂肪酸)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 PDF

한국장류식품(韓國醬類食品)의 지질성분(脂質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2. 된장 발효숙성중(醱酵熟成中)의 지질성분변화(脂質成分變化)- (Studies on the Lipids in Korean Soybean Fermented Foods -II. Changes of Lipid Composition during Daenjang Fermentation (Ripening)-)

  • 이숙희;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7-71
    • /
    • 1985
  • 삶은 콩에 Aspergillus oryzae를 접종하여 3일간 제국(製麴)한 다음 식염을 첨가하여 45일간 숙성(熟成)시켰을때, 된장 숙성과정(熟成過程)중 된장 함유지질(含有脂質)의 변화에 관한 일련의 실험을 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숙성(熟成)중 수분(水分)은 54% 내외, 식염함량(食鹽含量)은 12% 내외 (건물(乾物)기준), 총질소(總窒素)는 5.6% 내외 (아미노태 질소 $1,532{\sim}2,011mg%$), pH 는 5.82내외, 온도 $27^{\circ}C$ 내외를 보였고 추출지질 (chloroform-methanol extractables 22%내외)의 요오드가(價)(숙성최종일(熟成最終日) : 98.2)는 저하되는 경향이었으며 산가(酸價)는 숙성중 현저하게 증가 (숙성최종일(熟成最終日) : 27.1) 하였다. 된장숙성중 총지질(總脂質)중의 중성지질(中性脂質)함량은 계속 증가하였으나(숙성최종일(熟成最終日) : 94.3%), 인(燐) 및 당지질(糖脂質)의 함량은 미소(微少)하지만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비극성지질(非極性脂質) 획분에서 free fatty acid 및 esterified sterol 등이 증가하였으나, 극성지질(極性脂質) 획분에서의 각 성분은 현저한 변화는 없었다. 한편, 숙성초일(初日) 및 최종일(最終日)의 총지질(總脂質), triglyceride 및 free fatty acid 획분들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을 살펴본 결과, linoleic, oleic, palmitic acids 들이 주요성분이고 숙성기간중 이들 조성비(組成比)의 경미(輕微)한 변화가 있었다.

  • PDF

녹두(Phaseolus aureus L.) 급여가 당뇨 유발 흰쥐의 혈당 및 지질성분 개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ng Bean (Phaseolus aureus L.) on Blood Glucose and Lipid Composition Improvement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박시우;김한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62-172
    • /
    • 2020
  • 녹두(Phaseolus aureus L.)가 당뇨 유발 흰쥐에 있어서 혈당 및 지질성분, 단백질, 전해질 농도 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본 식이를 섭취시킨 BD군, 기본 식이군에 5% 녹두 급여군(BM군), 당뇨 유발 실험군(BS군)과 BS군에 5% 녹두를 섭취시킨 실험군(SM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혈청 지질성분(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질, 인지질, 유리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혈당 및 유리지방산(non esterified fatty acid, NEFA)의 농도와 동맥경화지수(atherosclerotic index, AI), 심혈관 위험지수(cardiac risk factor, CRF)는 당뇨 유발군에서 여타 실험군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증가를 나타내었고(p<0.05), 5% 녹두 급여군에서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유발군인 BS군에 비해 5% 녹두를 첨가시킨 SM군에서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HDL-콜레스테롤) 및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농도 비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혈청 단백질 농도에 있어서, 당뇨 유발군(BS군)에 5% 녹두를 급여(SM군)한 흰쥐의 혈청 알부민(albumin) 농도와 알부민/글로불린 비(albumin/globulin ratio, A/G 비)는 증가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나트륨(Na) 및 염소(Cl)는 SM군에서 BS군 보다 농도가 감소된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 5% 녹두는 흰쥐의 혈당 및 지질대사 기능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새조개 생육과 자숙육 및 자숙액즙의 식품성분 비교 -1. 일반성분 및 지질조성의 비교- (Comparision of Food Components in the Raw, Cooked Meat and Cooked Meat Extracts of Cockle Shell 1. Proximate compositions and lipid components)

  • 김귀식;하봉석;배태진;진주현;김현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2-110
    • /
    • 1993
  • 여수지방에서 많이 생산될 뿐아니라 새로운 양식품종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새조개의 식품학적인 품질을 구명하기 위하여 새조개의 생육과 자숙육, 그리고 자숙액즙의 일반성분, 지질조성 및 지방산조성 등의 차이를 분석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자숙육의 수분이 생육보다 다소 적었고 조단백질 및 조회분은 수분과는 반대로 생육보다 약간 증가하였으며 조지방은 약간 감소하였고 glycogen은 차이가 없었다. 휘발성염기질소량은 생육의 경우 $1.8mg\%$로 양호하였으며 자숙시 $3.7mg\%$로 약간 증가하였다. 생육과 자숙육 및 자숙액즙의 총지질조송은 각각 비극성지질이 $25.4\%,\;22.4\%$$48.7\%$, 극성지질이 $74.6\%,\;77.6\%$$51.3\%$로 대부분 극성지질로 구성되어 있었다. 비극성지질의 성분은 triglyceride 및 free fatty acid, 극성지질은 phosphatidyl choline과 phosphatidyl ethanolamine이 주성분이었다. 총지질과 비극성지질 및 극성지질을 구성하고 있는 지방산조성은 생육, 자숙육, 자숙액즙 모두가 20:5(n-3), 22:6(n-3), 16:0 및 18:0 등이 주성분을 이루고 있었고 20:5(n-3)와 22:6(n-3)을 주체로 하는 polyene산의 비율이 훨씬 높았다. 자숙육은 생육에 비해 polyene산 경우 20:5(n-3)이 증가하는 반면 22:6(n-3)은 감소하는 경향이고 포화산의 경우 16:0는 증가하나 18:0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자숙액즙에는 20:5(n-3)과 22:6(n-3)을 주체로 하는 polyene산의 비율이 생육이나 자숙육에 비해 낮았으나 16:0을 주체로 하는 포화산의 비율이 높았다.

  • PDF

가와사끼병에서 혈중 지질과 지단백의 변화와 심장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Changes of Lipid and Lipoprotein Compositions in Kawasaki Disease and its Impact on Cardiac Complications)

  • 윤신원;이호석;김동운;이강원;정영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12호
    • /
    • pp.1370-1377
    • /
    • 2005
  • 목 적 : 가와사끼병에서의 지질대사의 변화는 특히 이 병이 관상동맥을 직접 침범하는 질환이므로 특히 중요하다고 하겠다. 성인에 있어서 TC의 증가 및 HDL-C의 감소, Lp(a)의 증가는 죽상경화증의 중요한 위험인자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에 가와사끼병에서의 혈중 지질성분 및 지단백, Lp(a)의 시기별 변화와 관상동맥 병변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2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중앙대학교병원에서 가와사끼병으로 진단되어 고농도 감마글로불린으로 치료한 환아 51명을 대상으로 TL, PL, TG, HDL-C, LDL-C, TC, apo A1, apo B, Lp(a) 등을 급성발열기, 아급성기인 발열 2주, 회복기인 2개월, 1년 후 각각 측정하였고 초음파 검사 소견에 따라 비교 분석 하였다. 또한 대조군으로는 나이와 성별을 고려한 가와사끼병이 아닌 급성발열성 질환으로 입원한 25명을 대상으로 삼았다. 결 과 : 가와사끼병에서 급성 발열기에 대조군에 비하여 HDL-C($33.64{\pm}7.49mg/dL$ vs $50.43{\pm}14.41mg/dL$, P<0.01)과 apo A1($99.75{\pm}6.39mg/dL$ vs $113.34{\pm}11.35mg/dL$, P<0.05)이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관상동맥 확장이나 심염 등 심합병증 여부에는 큰 차이는 없었다. 아급성기에는 모든 지질성분이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증가를 보였으며 발열 2개월째에는 모든 지질성분이 정상화되었고 발병 1년 후에 역시 정상범위였으며 어느 시기에서도 관상동맥 확장이 있었던 군과 정상인 군에서 지질성분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가와사끼병의 급성발열기에 HDL-C의 및 apo A1의 감소를 보였으며 발병 2주째에는 모든 지질성분이 일시적으로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런 변화는 발열 2달째에는 모두 정상화되었으며 1년 경과 후에도 계속 정상소견을 보였다. 어느 시기에도 관상동맥병변이 있었던 군과 정상관상동맥을 보였던 군에서 지질성분의 의미있는 차이는 없어 이러한 급성기의 일시적인 HDL-C과 apo A1의 감소는 가와사끼병의 관상동맥 병변 여부나 장기적인 예후와는 직접적인 큰 상관은 없고 급성혈관염이라는 염증 반응의 하나의 현상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이들이 후에 성인이 되었을 때 동맥경화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