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질매체

Search Result 7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충적층하부 대규모 파쇄대의 파악을 위한 물리탐사

  • 황학수;문창규;박윤성;염병우
    • Proceedings of the KSEG Conference
    • /
    • 2002.04a
    • /
    • pp.285-290
    • /
    • 2002
  • 조사지역은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으로부터 남쪽으로 엄다면 화양리, 학야리, 성천리 일대에 발달한 충적층으로서. 이 지역에는 남서-북동방향으로 광주단층이 통과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충적층 하부에 발달한 단층을 포함한 대규모 파쇄대 파악에는 지표지질조사로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물리탐사방법을 적용하여 충적층 하부의 대규모 파쇄대의 방향과 연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사용된 물리탐사법은 전기비저항 2차원탐사, 전자탐사 그리고 자력탐사이다. 전기비저항 탐사결과 충적층 내에서 남북방향의 연장성을 갖는 전기비저항 이상대가 파악되었으나, 자력탐사와 전자탐사의 측정자료에는 이 이상대에대한 반응을 관찰할 수 없었다. 이는 전자탐사의 경우, 가탐심도가 매우 작은 EM31을 사용하였고, 또한 자력탐사는 주변 지질매체 간의 대자율 차이가 없는 것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지하심부의 탐사를 위해 전자탐사법중 TEM 탐사를 실시할 계획이며, 또한 낮은 전기비저항 이상대의 연장성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기 측정된 전기비저항 탐사 측선 사이를 탐사할 예정이다.

  • PDF

광주지역 일부 주유소 분진중의 중금속 원소함량과 지구화학적 연구

  • 이한별;윤정한;이종운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226-229
    • /
    • 2003
  • 산업이 발달하고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중금속들이 인위적으로 생성, 배출되며 이들은 대기, 물 등의 이동 매체를 통하여 대기권, 수권, 토양권을 포함하는 지구화학적 환경으로 광범위하게 분산된다 이러한 중금속은 토양 오염 및 수질오염을 유발시키며 특히 토양과 분진 중의 중금속오염은 심각한 환경 오염현상 중의 하나이다. 도시에서의 분진 및 토양에 산재된 중금속류의 성질은 산업활동량, 인구밀집도, 자동차, 폐기물 등에 따라 그 원인이 다양하다. (중략)

  • PDF

Evaluation of Rainfall Impacts on Groundwater Flow in Slopes and Slope Stability Using a Fully Coupled Hydrogeomechanical Model (완전 연동된 수리지질역학적 모델을 이용한 사면 내의 지하수유동과 사면의 안정성에 대한 강수의 영향 평가)

  • Kim, Jun-Mo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519-526
    • /
    • 2000
  • 강수량 변동에 따른 사면 내의 지하수유동과 사면의 안정성 변화를 동시에 분석.평가하기 위하여 하나의 완전 연동된 수리지질역학적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모델은 변형성 지질매체 내에서의 지하수유동을 설명하는 일련의 지배식들과 Galerkin 유한요소법에 기초하여 개발되었다. 1990년부터 1999년까지의 서울지역의 건기 (1월) 및 우기 (8월) 강수량 하에 있는 토양 사면에 대해 개발된 모델을 적용하여 일련의 수치실험을 실시하였다. 수치실험의 결과는 강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사면의 수리역학적 안정성이 전반적으로 악화됨을 보여준다. 즉 강수량이 증가할수록 공극수압이 증가하고 지하수면이 상승한다. 그 결과 불포화대가 축소되고 삼출면이 팽창되며 사면의 전단부를 따라 지하수유동속도가 증가하게 된다. 동시에 강수량이 증가할수록 사면 전단부를 향해 전반적인 변위량이 증가한다. 그 결과 안전율이 1 이하인 불안전한 지역이 사면 전단부에서 사면 상부 쪽으로 전파.팽창되며 그 두께도 증가한다. 수치실험의 결과는 또한 사면의 표면에서는 전단파괴와 더불어 인장파괴도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전북 무주읍 일대의 지하수 수질특성

  • 한원식;김연태;이병선;이기철;우남칠;이광식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2.04a
    • /
    • pp.463-465
    • /
    • 2002
  • 연구지역은 좁은 면적에 비하여 800m 이상의 지형기복을 보이며, 계곡과 하천 충적층을 따라 마을이 발달된 전형적인 수계 상류의 농촌지역이다. 주요 상수원은 천부지하수이며, 농업용으로는 하천수를 이용한다. 지표수는 연구지역의 소유역(A, B)간 계절별 수질차이를 보이나, 지하수의 경우 유역간 및 계절별 변동이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난다. B 소유역의 하류부에서는 지질매체의 영향으로 보이는 Fe, Mn, Zn 농도의 부화현상이 나타났으며, 이는 방이리층과 길왕리층을 기반암으로 하는 지역에 대한 전체적인 지하수질 조사가 필요함을 지시한다. 국지적인 수질오염원으로 과거에 개발되었던 폐금광이 존재하며, 이로 인한 산성수의 발생도 인지되었다.

  • PDF

Watershed Classification Using Statistical Analysis of water Quality Data from Muju area (무주지역 수질특성자료의 통계학적 분석에 의한 소유역 구분)

  • 한원식;우남칠;이기철;이광식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7 no.3
    • /
    • pp.19-32
    • /
    • 2002
  • This study is obje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 between surface- and shallow ground-water and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ir qualities in watersheds near Muju area. The water type shows mainly Ca-$HCO_3$type. Heavy-metal contamination of surface water is locally detected, due to the mixing with mine drainage. In October nitrate concentration is especially high in densely populated area. Cluster Analysis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re implemented to interpret the complexity of the chemical variation of surface- and ground-water with large amount of chemical data. Based on the cluster analysis, surface-water was divided into five groups and ground-water into three group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efficiently supports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allowing the identification of three main factors controlling the water quality. There are (1) hydrogeochemical factor, (2) anthropogenic factor and (3) heavy metal contaminated by mine drainage.

Sorption Behavior of $^{241}Am,\;^{152}Eu,\;^{160}Tb\;and\;^{60}Co$ in the Geological Materials: Eu as an Optimum Analogue for Fate and Transport of Am Behavior in Subsurface Environment (지질매체내에서의 $^{241}Am,\;^{152}Eu,\;^{160}Tb,\;^{60}Co$의 흡착특성비교: 지표지질내에서의 Am의 거동특성을 위한 최적 유사체로서의 Eu)

  • Lee, Seung-Gu;Lee, Kil-Yong;Cho, Soo-Young;Yoon, Yoon-Yeol;Kim, Yong-Je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0 no.4
    • /
    • pp.361-374
    • /
    • 2007
  • Rare earth elements(REEs) have been used as an useful tool in understanding the various geological processes such as evolution and differentiation in the crust. The REEs also have been used as an analog of actinides for radioactive wastes at the water-rock interactions. Using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REEs and actinides, we have shown that Eu is an optimum analogue for understanding the behavior of Am in subsurface environments. Factors affecting sorption behavior of radioactive nuclides in groundwater were investigated by batch experiments. Four nuclides such as $^{241}Am,\;^{152}Eu,\;^{160}Tb\;and\;^{60}Co$ were selected to test our hypothesis, and $^{160}Tb$ and $^{60}Co$ were specifically used to compare to the sorption behavior between $^{241}Am-^{152}Eu$ and other radioactive nuclides. Four different rock samples and one groundwater were used in the batch experiments where solution pH for all experiments was fixed at 5.5.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241}Am,\;^{152}Eu,\;and\;^{160}Tb$ show similar sorption behavior whereas $^{60}Co$ is different in sorption behavior at the mineral-water interface, suggesting that the sorption behavior of $^{60}Co$ is affected by different rock types. Our results also show that 1) Eu in REEs is optimum analogue of fate and transport of Am in subsurface environments, and 2) mineral compositions such as $SiO_2,\;TiO_2,\;P_2O_5$ and distribution of REEs such as Eu anomaly play key roles in affecting sorption behavior of radioactive nuclides even though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eological materials such as specific surface area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can not be ruled out.

Diffusion of Cr(VI) in Porous Media (심층 지하에서의 육가 크롬 확산)

  • 현재혁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3 no.2
    • /
    • pp.203-214
    • /
    • 1993
  • Underground Injection Control regulations for Class I injection wells require that the vertical dufusion be considered as a mechanism for transport of contaninants in evaluating containment Due to the low permeability in the confining aquitard, the movement of contaminants over the long term is controlled by the molecular diffusion. The movement can be predicted, using the Fick' S second law of diffusion. The diffusion coefficient in Fick' s law has been determined experimentally in this study. Instantaneous injection of $^{51}Cr$ was used to trace the distribution of Cr(VI) in soil plugs and an analytical solution was applied to calculate the diffusion coefficients. This study shows the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chloride concentration, applied amount of $^{51}Cr$, and bulk density of injection formations on diffusion of Cr(VI)

  • PDF

지구물리탐사

  • 이상규;김광은;김지수;박삼규;임무택
    • Proceedings of the KSEG Conference
    • /
    • 2004.03a
    • /
    • pp.15001-15097
    • /
    • 2004
  • 원격탐사란 직접적인 접촉 없이 대상물의 전자파 반사 특성을 파장별로 측정하여, 이를 처리, 해석함으로써 대상물에 대한 속성, 상태, 위치 및 형태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하는 기술이다. 특히 획득된 자료가 영상(image)으로서 표현될 수 있으며, 영상을 매체로 하여 처리되고 해석된다는 점이 원격탐사 기술의 특징이다. 1972년에 미국의 항공우주국(NASA)이 지구자원 기술위성(Earth Resources Technology Satellite)을 성공적으로 발사함으로써 세계 최초의 위성 관측에 의한 원격탐사가 시작된 이래. 원격탐사 기술은 지도제작. 자원탐사, 지질조사, 지구환경, 해양 및 기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미국, 캐나다, 프랑스, 일본, 인도 등 세계 각국이 각자 지구관측용 원격탐사 위성을 보유하고 있다. (중략)

  • PDF

Experimental Study on the Hydrodynamic Dispersion of Contaminants in Geologic Media : Adsorption and Diffusion of Sr and Cr-EDTA in Granitic Rocks (수리지질계에서 지질매체에 따른 오염물질의 수리분산에 관한 실험적 연구 : 화강암질암에서 Sr과 Cr-EDTA의 흡착 및 확산에 관한 연구)

  • Chang, Ho-Wan;Lee, Kwang-S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 no.2
    • /
    • pp.105-112
    • /
    • 1994
  • To investigate the migration behavior of contaminants in rocks. adsorption and diffusion experiments for Sr as a sorbing contaminant and for Cr-EDTA as a non-sorbing contaminant were carried out on granitic rocks. The Sr adsorption on separated minerals and crushed rocks tends to slightly increase with increasing pH. It also greatly decreases with the increase of ionic strength in NaCl solution. Among separated minerals, biotite and sericite have adsorbed much more amount of Sr than other rock-forming minerals, such as quartz, plagioclase, and potassic feldspar, because the specific surfaces and cation exchange capacities of phyllosilicates are generally much greater than those of the other rock-forming minerals. The intrinsic diffusion coefficients of Cr-EBTA for granitic rocks differ little from those of Sr. This indicates that they are independent of water-rock interactions. Experimental data show that the intrinsic diffusion coefficients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orosities of the rocks. They are close to the theoretically predicted values, especially in pre-steady state diffusion region, with the increase of rock sample thickn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