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진 예측

Search Result 54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높이-직경비가 큰 지진시험모델의 강제진동시험과 지진에 대한 응답해석

  • 박형기;조양희;윤철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d
    • /
    • pp.386-391
    • /
    • 1996
  • 동경전력(주)가 도쿄만 근처에 건설한 높이-직경비가 비교적 큰 지진시험모델(TEPSCO모델)에 수행한 강제진동시험결과와 시험모델의 지진응답을 해석하고 분석하였다. 재료시험과 지반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예측해석모델을 만들었고, 시험시에 계측된 측정치를 반영하여 예측해석모델을 수정하여 예측후상관해석모델을 작성하였다. 해석은 진동수영역과 시간영역에서 각각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로 TEPSCOT모델의 경우는 부지와 시험모델의 형상특성으로 인하여 지반의 재료감쇠비가 동적응답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Seismic Response Prediction Method of Cabinet Structures in a Nuclear Power Plant Using Vibration Tests (진동시험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캐비닛 구조의 지진응답예측기법)

  • Koo, Ki-Young;Cui, Jintao;Cho, Sung-Gook;Kim, Doo-Kie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12 no.5
    • /
    • pp.57-63
    • /
    • 2008
  • This paper presents a seismic response prediction method using vibration tests of cabinet-type electrical equipment installed in a nuclear power plant. The proposed method consists of three steps: 1) identification of earthquake-equivalent forces based on lumped-mass system idealization, 2) identification of a state-space-equation model relating input-output measurements obtained from the vibration tests, 3) seismic prediction using the identified earthquake-equivalent forces and the identified state-space-equation. The proposed method is advantageous compared to other methods based on FEM (finite element method) model update, since the proposed method is not influenced by FEM modeling errors. Through a series of numerical verifications on a frame model and 3-dimensional shell model, it was found that the proposed method could be used to accurately predict the seismic responses, even under considerable measurement noise conditions. Experimental validation is needed for further study.

Analysis of Probability Distribution of Tsunami Heights for Development of Tsunami Prediction Model (지진해일고 예측모델 개발을 위한 지진해일고 확률분포 분석)

  • Kim, Byung-Ho;Yu, Jae-Ung;Cho, Yong-Sik;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68-268
    • /
    • 2022
  • 지진해일은 발생빈도는 높지 않지만, 한 번 발생하게 되면 막대한 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00년대 4건의 지진해일이 기록되었으며, 이로 인해 동해안 및 남해안 등에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가 발생하였다. 또한 2011년 동일본 지진해일로 인해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변전설비가 침수됨에 따라 냉각수 공급이 중단되고 방화벽이 파괴되어 방사능이 누출되어 큰 피해로 연결되었다. 이러한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 지진해일 수치해석과 확률론적 분석방법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한 연구가 국내외 적으로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확률분포기반 지진해일고 예측모델 개발을 위해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지진해일고(tsunami heights)를 산출하고 결과값에 대한 적절한 확률분포 분석을 실시하는 것이다. 지진해일고는 원자력발전소에서 취수구를 통한 냉각수 공급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최대 지진해일고(maximum tsunami height)와 최저 지진해일고(minimum tsunami height)로 구분하였다. 지진해일 수치해석은 지진원(단층매개변수) 조사, 조사된 지진원 중 지진해일 수치해석 case 선정을 위한 파향선추적기법(wave ray tracing) 수행, 선정된 지진원에 대해 로직트리(logic tree) 기법 적용, 로직트리를 적용한 지진원 case에 대한 수치해석 순서로 수행하였다. 수치해석을 통해 산출된 최대 및 최저 지진해일고 자료를 기반으로 확률분포형을 선정하기 위하여 확률분포별 적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선정된 분포를 기준으로 처오름 및 처내림높이와 관련된 다양한 변수간의 의존관계를 파악하였다. 향후, 파악된 의존관계를 기반으로 예측모델을 개발하여 수치해석 결과와 연계함으로써 국내에 적용할 수 있는 확률론적 지진해일재해도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stimation of Tsunami Heights near Gadeokdo Airport Area (가덕도 신공항 부지에서의 지진해일 파고 예측)

  • 최문규;이대환;고광오;조용식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506-506
    • /
    • 2023
  • 지진해일은 대규모 인명피해는 물론 가공할만한 파괴력으로 해안시설물, 즉 원자력발전소, 항만시설물, 연안공항 등을 파괴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해안에 국가기간시설물을 건설할 때는 반드시 급습 가능한 지진해일을 설정하여 예기치 못한 지진해일의 급습에 대하여 안전한가 여부를 검토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에 건설 예정인 가덕도 신공항에 대하여 지진해일 급습 가능성을 예측한다. 기존의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공항부지에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높은 지진해일을 설정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고 안전 여부를 검토한다. 본 연구에서 고려된 지진해일은 기 발생한 역사 지진해일과 발생 가능한 지진해일, 즉 가상 지진해일 등이며, 수치모형은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전파모형과 범람모형인 HYCEL-NAMI와 HYCEL-RUNUP을 결합하여 사용한다.

  • PDF

A Simulation of Earthquake Loss Estimation for a Gyeongju Event (경주지역 발생 지진에 대한 지진손실예측 시뮬레이션)

  • Kang, Su-Young;Kim, Kwang-Hee;Suk, Bong-Chool;Yoo, Hai-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8 no.3
    • /
    • pp.95-103
    • /
    • 2008
  • Knowledge of expected losses in terms of physical, economic, and social damages due to a potential earthquake will be helpful in the effort to mitigate seismic hazards. In this study, losses due to a magnitude 6.7 scenario earthquake in the Gyeongju area have been estimated using the deterministic method in HAZUS. The attenuation relation proposed by Sadigh et al.(1997) for site classes B, C, and D, which are assumed to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ong-motion attenu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applied. Losses due to the hypothetical earthquake have been also calculated using other attenuation relationships to examine their roles in the loss estimation. The findings indicate differences among the estimates based on various attenuation relationships. Estimated losses of the Gyeongju area by a scenario earthquake using HAZUS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in the planning of disaster response and hazard mitigation.

Advanced and Application of Onsite EEW Technology in Korea (국내에서의 지진현장경보 기술 고도화 및 적용)

  • Lee, Ho Jun;Jeon, Inchan;Seo, Jeong Beom;Lee, Jin Ko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6 no.4
    • /
    • pp.670-681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rive a PGV prediction equation and to enhance the application of the Onsite EEW technology which has developed through previous studies. Method: The prediction equation for the Onsite EEW derived from earthquake data M≥3.0 and MMI≥II over the past four years. Local seismic risk is estimated using M and PGV deduced from P wave properties. Result: The improved PGV prediction equation estimated the MMI with an average accuracy of 94.8% and the 𝜏c : Pd method also showed valid performance for alerting local seismic risks. Conclusion: Onsite EEW technology is successfully applied to Korea, and becomes to reduce the blind zone to about 14km.

Current Situation of Domestic Earthquakes and Their Solutions (국내 지진 발생현황과 그에 따른 대책방안)

  • Kim, Hae-Won;Jung, Hye-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143-146
    • /
    • 2016
  • 이 논문의 목적은 국내 지진 발생 현황과 대책 방안에 대해 분석해보고 효율적인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국내 지진관측망의 현황을 고찰하고, 지진의 기본개념과 국내지진 발생현황 및 대책 방안에 대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우리나라가 현재는 직접적으로 지진에 대해 큰 피해를 받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앞으로 다가올 수 있는 지진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필요하다. 최근의 일본에서 일어난 지진으로 수많은 인명피해와 재산피해 또한 원자력발전소 파괴로 인한 2차 피해로 현재까지도 정상복구 되지 않은 곳이 많을 정도로 엄청난 물질적 정신적 피해를 입혔다. 이것은 지진파의 전파나 감쇠 또는 증폭 등 지진파가 전달해오면서 겪는 수많은 변화를 예측하고 그대로 실현하기에는 많은 변수가 존재하며 예측 가능하지 않다는 점에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앞으로 국내에서 지진에 대해 대책함에 있어서 사람들의 지진에 대한 인식과 기술개발에 있어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점이 피해를 줄이는 방법이라는 교훈을 남겼다.

  • PDF

The development of Vine Copula based Tsunami height for Probabilistic Tsunami Hazard Assessment (Vine Copula 기반 확률론적 지진해일 재해도 분석 방법 개발)

  • Yu, Jae-Ung;Kim, Byung-Ho;Cho, Yong-Sik;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72-272
    • /
    • 2022
  • 지진해일에 대한 분석은 주로 물리적인 계산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나, 다수의 매개변수가 복잡하게 얽혀있어 계산이 오래 걸리고 해당 지진해일에 대한 분석은 지진해일이 발생한 후에 단층을 조사하여 매개변수를 산정하므로 준실시간에 해당하는 예측이 어렵다. 또한, 지진해일을 예측하는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지진해일에 대한 자료가 필수적이나, 국내의 지진해일은 지난 100년간 4건의 지진해일이 발생하여 자료 역시 불충분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지진해일은 주기적이지 않고 빈도가 많지 않으나, 지진해일로 인한 피해는 주요한 사회 기반 시설 및 막대한 인명피해를 야기하므로 지진해일 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확률론적 지진해일 재해도 평가(Probabilistic Tsunami Hazard Assessment; PTHA)시에 주로 지역적인 범위에서 수행되어 자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행해야하나, 현재 지진해일고에 대한 분포를 대수정규분포로 하여 지역적인 특성이 고려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단층매개변수와 지진해일고와의 Vine Copula 기법을 활용하여 관계성을 파악하고 국내에서 발생가능한 지진해일에 대한 위험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된 지진해일고 클러스터링 결과를 활용하여 향후 지진해일에 대한 방재대책 시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Evaluating the Efficiency of Models for Predicting Seismic Building Damage (지진으로 인한 건물 손상 예측 모델의 효율성 분석)

  • Chae Song Hwa;Yujin Lim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13 no.5
    • /
    • pp.217-220
    • /
    • 2024
  • Predicting earthquake occurrences accurately is challenging, and preparing all buildings with seismic design for such random events is a difficult task. Analyzing building features to predict potential damage and reinforcing vulnerabilities based on this analysis can minimize damages even in buildings without seismic design. Therefore, research analyzing the efficiency of building damage prediction models is essential. In this paper, we compare the accuracy of earthquake damage prediction models using machine learning classification algorithms, including Random Forest, Extreme Gradient Boosting, LightGBM, and CatBoost, utilizing data from buildings damaged during the 2015 Nepal earthquake.

Analysis of Buried Pipelines Using Ground Strain Input from Seismic Waves (지반변형률에 의한 매설관의 지진차 거동 해석)

  • Kim, Moon-Kyum;Cho, Woo-Yeon;Eo. Jun;Lee, Kang-Won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4 no.4
    • /
    • pp.15-26
    • /
    • 2000
  • 지진파 전파로 인한 매설관에 작용하는 지진하중은 지진특성 및 지반조건에 따른 지반변형률로부터 산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경험적인 방법에 의해 계산된 지반변형률 모형은 지진 및 지반의 지역적 특수성을 고려할 수 없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지진특성 및 지반조선을 반영할 수 있는 수정된 지반변형률 모형을 제안하고 개발된 모형을 매설관로의 지진해석에 지진하중으로 적용하였다. 여기서, 지반변형률을 예측하기 위한 지진판 전파속도는 지반조건을 고려할 수 있도록 파 에너지분포에 근거한 분산곡선을 제안하여 산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지반변형률 산정방법에 타당성을 파악하기 위해 예측한 지반변형률과 과거 지진으로 실측된 지반변형률을 비교하였다. 타당성이 입증된 지반변형률 모형을 매설관의 하중으로 적용하여 지진해석을 실시하였으며, 계산결과는 범용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동해석 및 응답변위법에 의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지반 변형률 모형을 적용한 매설관 지진해석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지진 및 지반환경이 다른 다양한 관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지진 지반 및 관의 영향 인자에 대해 매개변수 해석에 실시되었으며, 이로써 본 연구의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