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진공학

Search Result 2,12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Earthquake and Tsunami Shelters Designation and Improvement of Management Guidelines (지진·지진해일 대피장소 지정 및 관리지침 개선방안 연구)

  • Kim, Da-Hee;Yoon, Hong-Sic;Noh, Bok-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09-110
    • /
    • 2022
  • 본 논문은 현 지진·지진해일 대피장소를 지정하는 기준과 관리하는 방안을 해외 사례와 선행연구를 통해 개선안을 제시한다. 국내의 대피장소도 각 지역의 인구 분포나 유동인구, 지형, 대피 시설 등의 지역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재난피해경감을 위해 대피시간 내의 긴급대피장소로 이동할 수 있는 대피 인원을 산정하여 적정 수용인원의 기준을 산정한다. 지정기준의 근거 제시를 위해 지역별로 대피장소의 수용률을 비교·분석하여 대피장소의 지정요인에 지역특성이 고려되야 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이를 실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개선안을 제시하여 지자체 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해 효과적인 대피방안에 활용가능하도록 하고, 이와 관련한 운영지침 연구도 요구된다.

  • PDF

Post-earthquake Restoration of Water Supply Network considering Valve Location and Segment Layout (밸브위치 및 단수구역을 고려한 상수관망 지진피해 복구)

  • Choi, Jeong Wook;Kang, Doo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9-19
    • /
    • 2018
  • 최근 경주, 울산, 포항 등 경상도 지역에서 잇달아 발생한 대규모 지진으로 인해 사회기반시설물의 내진 안전성이 이슈가 되고 있다. 지진 안전 국가라고 여겨지던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지진에 대한 대비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자칫 대규모 피해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특히 상수관망의 경우, 지중에 매설되어 있는 특성상 지진에 취약하고, 그 피해를 발견하기 어려워 장기적인 피해가 불가피하다. 상수관로의 지진피해는 누수와 파손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파손관의 경우 용수공급능력을 크게 저하시키기 때문에 신속한 복구가 요구된다. 파손관의 복구는 부근에 위치한 차단밸브를 닫아 피해관로의 통수를 차단한 후에 복구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차단밸브의 위치에 따라 단수구역이 광범위하게 발생할 수 있어 시스템 전반의 용수공급능력 저하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진 발생 후 피해관로의 효율적인 복구전략 마련을 위한 상수관망 지진피해 복구 시뮬레이션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 모형은 피해복구에 따른 상수관망 시스템의 용수공급능력을 정량적으로 산정할 수 있으며, 지진 발생과 같은 비정상 상황의 시스템 용수공급능력을 수리학적으로 정확하게 해석하기 위해 압력기반의 해석(Pressure-driven analysis, PDA)을 적용하였다. 또한, 피해관로의 복구 시, 차단밸브에 의해 발생되는 단수구역을 탐색한 후, 수리해석 모의에 적용함으로써 현실적인 용수공급 상황을 모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모형을 활용하여 차단밸브의 위치 및 개수가 단수구역의 범위 및 지진복구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효율적인 지진피해 복구 전략을 제시하였다.

  • PDF

System-Level Seismic Fragility Evaluation of Bridge Considering Aging Effects (노후도를 고려한 교량의 시스템-수준 지진취약도 평가)

  • Kong, Sina;Moon, Jiho;Song, Jong-Keol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35 no.3
    • /
    • pp.149-158
    • /
    • 2022
  • As a bridge ages, its mechanical properties and structural performance deteriorate, degrading its seismic performance during a strong earthquake. In this study, the aging of piers and bridge bearings was quantified in several stages and reflected in the analysis model, enabling the evaluation of the member-level seismic fragility of these bearings. Moreover, by assuming that the failure mechanism of a bridge system is a series system, a method for evaluating the system-level seismic fragility based on the member-level seismic fragility analysis result is formulated and proposed. For piers with rubber and lead-rubber bearings (members vulnerable to aging effects), five quantitative degrees of aging (0, 5, 10, 25, and 40%) are assumed to evaluate the member-level seismic fragility. Then, based on the result, the system-level seismic fragility evaluation was implemented. The pier rather than the bridge bearing is observed to have a dominant effect on the system-level seismic fragility. This means that the seismic fragility of more vulnerable structural members has a dominant influence on the seismic fragility of the entire bridge system.

Development of System-level Seismic Fragility Methodology for Probabilistic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Steel Composite Box Girder Bridges (강상자형 합성거더교의 확률론적 내진성능 평가를 위한 시스템-수준 지진취약도 방법의 개발)

  • Sina Kong;Yeeun Kim;Jiho Moon;Jong-Keol Song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36 no.3
    • /
    • pp.173-184
    • /
    • 2023
  • Presently, the general seismic fragility evaluation method for a bridge system composed of member elements with different nonlinear behaviors against strong earthquakes has been to evaluate at the element-level.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ystem-level seismic fragility evaluation method that represents a structural system. Because the seismic behavior of bridges is generally divided into transverse and longitudinal directions, this study evaluated the system-level seismic fragility in both directions separately. The element-level seismic fragility evalu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as performed for piers, bridge bearings, pounding, abutments, and unseating. Because pounding, abutment, and unseating do not affect the transverse directional damages, the element-level seismic fragility evaluation was limited to piers and bridge bearings. Seismic analysis using nonlinear models of various structural members was performed using the OpenSEES program. System-level seismic fragility was evaluated assuming that damage between element-levels was serially connected. Pier damage was identified to have a dominant effect on system-level seismic fragility than other element-level damages. In other words, the most vulnerable element-level seismic fragility has the most dominant effect on the system-level seismic fragility.

Estimation of Seismic Responses of Hualien LSST Model By the Substructure Method of Soil-Structure Inraction Analysis (Hualien 대형지진시험 모델의 지진응답해석)

  • 조양희;박형기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1 no.2
    • /
    • pp.59-68
    • /
    • 1997
  • Seismic responses of the Hualien large scale seismic test model on a layered soil site are estimated for three recorded earthquakes with different level of peak acceleration using two different approaches of soil-structure interaction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then compared and evaluated with the recorded. The method adopted for the analysis is based on substructuring method using a lumped parameter model in both the frequency and time domain.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reasonably estimate the earthquake responses of a soil-structure interaction system of r engineering purposes if the techniques of defining input motion and modeling of the backfilled soil are prudently selected.

  • PDF

Study of tsunami sensitivity analysis to fault parameters for probabilistic tsunami hazard assessment (확률론적 지진해일 재해도 평가(PTHA)를 위한 단층 파라미터에 대한 지진해일의 민감도 분석)

  • Jeong, Hyun-Kee;Kang, Jun-Ho;Cho, Y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74-274
    • /
    • 2022
  • 확률론적 지진해일 재해도 평가(PTHA)는 최근 지진해일에 대한 연구에서는 관심을 많이 받고 있는 주제로 여러 국가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단층매개변수의 민감도 분석은 일본(Goda et al., 2014), 미국(Sepúlveda and Liu, 2016), 뉴질랜드(D. Burbridge et al., 2015) 등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현재도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민감도 분석은 PTHA를 진행하기 위한 선행 과정으로 파향선 추적을 통한 대상지 설정 및 연구 대상 단층을 선정한 후 로직트리를 만들기 위해 각 단층 매개변수의 범위와 단위 폭을 제시한다. 해당 연구는 세 가지 단층 매개변수에 대한 지진해일 초기파와 파고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행했다. 주향각은 초기파와 지진해일고에 대해서 임의의 변동을 보이지만 변동 폭은 다른 두 매개변수들과 비교하여 가장 크다. 경사각과 슬립각은 단층의 수직 움직임을 변화시키며 이를 통해 초기파의 변동을 예측할 수 있다. 초기파의 변동과 모양을 분석함으로써 수치 계산이 가설과 유사한 결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경사각과 슬립각에 의한 지진해일고의 변화는 최저 지진해일고가 초기파의 총 에너지와 연관된다는 결론에 이른다. 지진해일 재해도는 해안지역에 도달하는 최종 파고와 관련이 있으므로 각 매개변수의 단위 폭은 지진해일고의 결과를 통해 선정되었다. 민감도 분석은 제시한 주향각, 경사각, 슬립각의 단위 폭을 이용하여 로직트리의 분기 수를 감소시켜 수치 계산 시간을 줄임으로써 PTHA의 효율성을 증대시킨다.

  • PDF

Earthquake detection based 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using multi-band frequency signals (다중 주파수 대역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기반 지진 신호 검출 기법)

  • Kim, Seung-Il;Kim, Dong-Hyun;Shin, Hyun-Hak;Ku, Bonhwa;Ko, Hanseok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8 no.1
    • /
    • pp.23-29
    • /
    • 2019
  • In this paper, a deep learning-based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using multi-band frequency signals is presented for detecting earthquakes prevalent in Korea. Based on an analysis of the previous earthquakes in Korea, it is observed that multi-band signals are appropriate for classifying earthquake signals.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ep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using multi-band signals as training data. The proposed algorithm extracts the multi-band signals (Low/Medium/High frequency) by applying band pass filters to mel-spectrum of earthquake signals. Then, we construct three CNN architecture pipelines for extracting features and classifying the earthquake signals by a late fusion of the three CNNs. We validat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by performing various experiments for classifying the domestic earthquake signals detected in 2018.

교량의 내진해석 및 설계

  • 조대연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11 no.1
    • /
    • pp.17-26
    • /
    • 1998
  • 본 고에서는 일반적인 지진의 특성 및 지진에 대한 교량구조물의 피해형태를 알아보고, 지진에 대한 구조해석 방법을 정리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교량의 내진설계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을 정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