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주화학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1초

토마토의 품종별 쥬스제조 적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Juice Manufacturing Properties of Various Tomato Varieties)

  • 박상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28-432
    • /
    • 1993
  • 국내산 토마토의 품종별 쥬스적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져 화학적 성질, 색도, 쥬스의 수율 등의 조사와 관능검사를 하였다. 토마토쥬스의 당도는 지주재배형이 무지주재배형보다 더 높았으며 지주재배형에서는 Jeok Pung과 Master 2가 가장 높은 당도를 보였고, 무지주재배형에서는 79078$\times$ARC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산도는 두 재배형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무지주재배형에서는 Jinhong과 TM103가 가장 높았고, 지주재배형에서는 Jeok Pung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pH는 재배형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vitamin C는 무지주재배형에서는 79078$\times$ARC가 가장 높았고 지주재배형에서는 Hong Jho가 가장 높았다. 점도는 무지주재배형에서는 79078$\times$CL1561F$_{6}$이 지주재배형에서는 Hong Jho가 가장 높았다. 쥬스의 색도에서 Dom-inant Wavelength는 무지주재배형의 Good Hope가 가장 긴 파장을 보였고 Y%는 지주재배형의 76Moll-3-1-2-2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쥬스의 수율은 무지주재배형에서 Good Hope가 가장 높았고 지주재배형에서 76Moll-3-1-2-2가 가장 낮았다. 관능검사의 결과 색은 무지주재배형이 지주재배형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게 평가되었고 지주재배형의 76Moll-3-1-2-2가 가장 낮게 평가되었으며, 향과 맛은 두 재배형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지주재배형의 Master 2와 76Moll-3-1-2-2가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쥬스특성에 가장 적합한 품종은 무지주재배형에서는 Good Hope와 지주재배형에서는 Jeok Pung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쥬스특성에 대하여는 품종별로 각기 우수성을 보이므로 이들 품종의 적절한 혼합으로 한품종으로 만드는 쥬스보다 우수한 쥬스를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인다.

  • PDF

폐쇄성과 비폐쇄성 무 정자증 환자의 고환 내 세포 자연사 관련 인자들의 발현 변화와 SELDI-TOF Mass Spectrometry를 이용한 단백질 발현 분석 (Differential Expressions of Apoptosis Regulators and Protein Profiling by SELDI-TOF Mass Spectrometry in Human Testis with Obstructive and Non-obstructive Azoospermia)

  • 김슬기;김호승;이호준;박용석;서주태;윤용달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2권2호
    • /
    • pp.121-132
    • /
    • 2005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비폐쇄성 무정자증 환자에서 나타나는 정자형성과정의 이상과 고환세포의 세포자연사와의 연관관계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SELDI-TOF MS 분석을 통하여 고환 내 단백질 발현 양상을 확인하고, 질환에 따른 효과적인 biomarker 개발 가능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재료 및 방법: RT-PCR 및 면역조직화학법을 사용하여 고환에서의 Fas, FasL, Bcl-2, Bax와 Caspase-3의 발현 양상을 확인하고, in situ DNA 3'-end-labelling 방법으로 고환세포의 세포자연사 양상을 확인하였다. SELDI-TOF MS 분석법에 의한 고환의 병리학적 소견에 따른 단백질 발현 변화는 소수성 칩 ($H_4$)을 사용하여 분자량 10~100 kDa 범위 내에서 분석하였다. 결 과: 정상적인 정자형성과정을 보이는 폐쇄성 무정자증 환자의 고환에 비해 지주세포 증후군 (Sertoli cell only syndrome)과 성숙정지 (maturation arrest)를 보이는 고환 내 생식세포와 지주세포에서 세포자연사가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포자연사 관련인자들의 발현 양상을 확인한 결과, 지주세포 증후군과 성숙정지 환자군에서 Fas와 FasL mRNA의 발현이 증가하였으나, bcl-2, bax와 caspase-3 mRNA 발현의 경우에는 두 질환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FasL 단백질 발현의 경우, 세포자연사의 증가가 관찰되었던 지주세포 증후군과 성숙정지를 보이는 환자의 간질세포와 지주세포에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SELDI-TOF MS 분석 결과에서 폐쇄성 무정자증 환자군에 비해 전체적인 단백질 발현양이 지주세포 증후군과 성숙정지 환자의 고환에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특히, 16.730 kDa 단백질의 현저한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 론: 본 연구결과를 통해 비폐쇄성 무정자증 환자에서 나타나는 정자형성과정의 장애는 생식세포의 비정상적인 세포자연사와 연관되어 있으며, 고환 내 Fas와 FasL의 비정상적인 발현이 주된 원인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SELDI-TOF MS 분석법을 통한 단백질 발현 양상의 연구는 무정자증 환자에서의 다양한 병리학적 소견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biomarker 발굴뿐만 아니라 질환의 원인규명을 위한 연구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제주도의 솔리아이트 화산활동 (Tholeitic volcanism in Cheju Island, Korea)

  • 박준범;권성택
    • 암석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6-83
    • /
    • 1996
  • 이 연구는 알칼리 화산도로 특정지워진 제주도의 동부 성읍리, 서부 한림읍 이사돌 그리고 한경면고산리 지구내 해안에 분포하는 수매의 솔리아이트에 대한 암석기재, 광물화학, 주성분 및 미량성분 원소의 화학자료를 보고한다. 이들은 주로 반상조직인 알칼리암류에 비해 세립질이며, 주상 혹은 침상의 사장석 ($An_{61-46}$)과 사방휘석(브론자이트) 및 감람석($Fo_{78-67}$)이 입자간 조직을이룬다. 특징적으로 사방휘석이 반자형의 반정 혹은 미반정으로 산출되고, 두 유형의 단사휘석(피저나이트와 보통 휘석)은 석기 광물로만 산출한다. 이들 솔리아이트는 노옴 석영을 가지며, 주성분 원소의 변화 범위는 좁다(SiO2=51.0-52.5 wt%; Mg#=54-60). 주성분 원소와 전이금속 원소의 변화경향이 알칼리암ㄹ와 두드러진 것은 동일 마그마의 분화로 솔리아이트와 알칼리암의 관계를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편, $K_2O$, Rb, Ba, Nb, La들 간의 비는 솔리아이트와 알칼리암이 유사한 반면, P, Y, Yb 등 석류석과 친화적인 원소와 이 원소들 간의 비는 솔리아이트가 알칼리암보다 크다. 이러한 미량원소 특징은 제주도의 솔리아이트와 알칼리 현무암류는 동질 기원이나 부분용융정도가 다른 모마그마로부터 유래되었음을 시사한다.

  • PDF

넙치의 해상(海上)가두리 사육시험(飼育試驗)에 따른 혈액학적(血液學的) 연구(硏究)-II 혈청화학지수(血淸化學指數) 및 전해질지수(電解質指數)에 대(對)하여 (Hematological Characteristic of Bastard halibut according to Cultured experiment of Mari-floating netcage-II On the Blood serum constituents and Electrolytes in blood serum)

  • 심두생;전임기;민광식;이종문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9-50
    • /
    • 1990
  • 1. 1990년(年) 4월(月) 7일(日)부터 1990년(年) 5월(月) 8일(日)까지 대조구(對照區)와 해상(海上)가두리 시설별(施設別)로 양식(養殖)넙치의 혈청화학지수(血淸化學指數) 및 전해질지수(電解質指數)를 측정(測定)하였다. 2. 대조구(對照區)의 혈청화학지수(血淸化學指數)는 총단백(總蛋白) $5.74{\pm}0.83g/dl$, 알부민 $0.94{\pm}0.22g/dl$ 및 혈당(血糖) $62{\pm}29mg/dl$를 나타내었으며, 전해질(電解質)의 경우(境遇), 포타슘이 $2.5{\pm}1.1mmol/l$, 소디움이 $169{\pm}17mmol/l$, 칼슘이 $5.0{\pm}1.7mg/l$이었다. 3. 시험구별(試驗區別) 혈청화학지수(血淸化學指數)에 있어서 대조구(對照區)와 비교(比較)하여 총단백(總蛋白)의 경우 네트론의 시험구(試驗區)만이 이송후(移送後) 27일(日)만에 대조구(對照區)의 수치(數値)와 거의 같은 $5.72{\pm}1.11g/dl$을 나타내었으며 조사기간(調査期間) 중(中) 다른 시험구(試驗區)에 비(比)해 안정(安定)된 상태(狀態)를 유지(維持)하였다. 그 다음으로 안정(安定)된 상태(狀態)를 보인 PVC 시험구(試驗區)는 27일(日)만에 $5.34{\pm}0.81g/dl$ 점차 대조구(漸次對照區)의 수준(水準)으로 회복(回復)하는 추세(趨勢)를 보였다. 알부민의 경우 가장 변동(變動)이 적고 안정(安定)된 상태(狀態)를 유지(維持)한 PVC 시험구(試驗區)의 경우 이송(移送) 후(後) 27일(日) 만에 대조구(對照區) 수준(水準)과 거의 같은 $1.00{\pm}0.18g/dl$을 나타내었고 혈당(血糖)의 경우는 이송(移送) 후(後)에는 전(全) 시험구(試驗區)가 대조구(對照區)와 비교(比較)하여 2배(倍) 가량 증가(增加)하였으며 대조구(對照區)의 수준(水準)으로 회복(回復)한 시험구(試驗區)는 PVC 시험구(試驗區)와 네트론 시험구(試驗區)였다. 그러나 네트론의 시험구(試驗區)는 그 후(後)에 $49{\pm}15mg/dl$로 저하(低下)하였다가 다시 대조구(對照區) 수준(水準)을 회복(回復)하였으나 PVC 시험구(試驗區)는 큰 변동(變動)이 없이 안정(安定)된 상태(狀態)를 유지(維持)하였다. 4. 시험구별(試驗區別) 전해질지수(電解質指數)에 있어서 대조구(對照區)와 비교(比較)하여 포타슘의 경우 이송(移送) 직후(直後)부터 9일(日)째까지는 전(全) 시험구(試驗區)가 3배(倍) 이상(以上) 증가(增加)하였으며 그 후(後)에는 저하(低下)되었으나 PVC 시험구(試驗區)와 네트론지주(支柱) 시험구(試驗區)를 제외(除外)하고는 저하(低下)의 폭(幅)이 너무 컸다. 조사기간(調査期間) 중 가장 변동(變動)의 폭(幅)이 적은 시험구(試驗區)는 PVC 시험구(試驗區)였다. 소디움의 경우는 이송후(移送後) 9일(日)째에는 대조구(對照區)의 수준(水準)을 회복(回復)하는 시험구(試驗區)들과 큰 폭(幅)으로 저하(低下)하는 시험구(試驗區)로 대별(大別)되었다. 그리고 이송후(移送後) 16일(日)째는 전반적(全般的)으로 상승(上昇)하였으나 변동(變動)이 적은 PVC 시험구(試驗區)는 조사기간(調査期間) 중(中) $169{\pm}17-178{\pm}10mmol/l$이고 그 다음 변동(變動)이 적은 PVC지주(支柱) 시험구(試驗區)는 $173{\pm}10-179{\pm}9mmol/l$를 나타내었다. 5. 해상(海上)가두리의 각(各) 시설별(施設別) 혈청학적(血淸化學) 지수(指數) 및 전해질지수(電解質指數)의 분석결과(分析結果)를 종합(綜合)한 결과(結果) 지수(指數)의 변동(變動)이 안정(安定)된 시험구(試驗區)는 PVC 시험구(試驗區), 네트론, PVC지주시험구순(支柱試驗區順)이었으며 그외 시험구(試驗區)들은 변동(變動)의 폭(幅)이 컸었다.

  • PDF

법주사 당간지주 지의류의 동정 및 FT-IR 스펙트럼 특성 분석 (Identification and FT-IR Spectrum Analysis of Lichens on Flagpole Support in Beopjusa Temple)

  • 김영희;이정민;최명주;홍진영;조창욱;김수지;정소영
    • 보존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91-39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법주사 당간지주의 석재 표면에 서식하는 대표적인 생물피해 요인인 지의류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당간지주의 지의류는 5종으로 한정할 수 있다. 그 중 우점하는 2종의 고착상지의류는 Aspicilia sp.와 Pertusaria flavicans이며, 고착상지의류 위에 드물게 관찰되는 엽상지의류 1종과 수지상지의류 1종은 Xanthoparmelia conspersa와 Ramalina sekika로 동정되었다. 그리고 흑색조류층을 따라 서식하는 지의류는 Leprocaulon textum으로 확인되었다. 지의류가 생산하는 2차 대사산물을 분석하기 위하여 ATR FT-IR을 적용하였다. Xanthoparmelia conspersa와 Ramalina sekika의 FT-IR 스펙트럼을 비교해 본 결과, cyclic carbohydrate에 기인하는 C-O-C 결합과 carboxylic acid에서 기인하는 FT-IR 스펙트럼의 흡수피크가 특징적으로 관찰되어 이들이 생산하는 지의산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stictic acid와 sekikaic acid가 Xanthoparmelia conspersa와 Ramalina sekika를 대표하는 지의산으로 화학구조에서 작용기의 차이에 의한 스펙트럼의 변화 및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Aluminium-Pillared Clay의 제조 및 특성 (Characterization and Preparation of Al-Pillared Clay)

  • 박세준;하백현;정순용;서정권;이정민
    • 공업화학
    • /
    • 제10권2호
    • /
    • pp.304-309
    • /
    • 1999
  • 한국산 벤토나이트에 0.2 M $AlCl_3{\cdot}6H_2O$ 수용액과 0.5 M NaOH 수용액을 혼합하여 제조한 수산화 알루미늄 올리고머를 층간 삽입시켜 다공성의 Al-pillared clay를 합성하여 특성 분석 및 열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합성한 aluminum-pillared clay는 수산화 알루미늄 올리고머의 OH/Al의 몰비가 0.25~2.25로 증가할수록 비표면적은 $104{\sim}228m^2/g$으로 증가하였고, 미세세공 면적과 미세세공 부피도 비표면적과 함께 증가하였다. 또한 BJH식으로 계산된 기공분포로부터 약 $40{\AA}$ 정도의 mesopore도 많이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수산화 알루미늄 올리고머가 층간 삽입되어 층간 공간을 확장하고 알루미늄 산화물이 층간에 지주가 되어 기공이 잘 발달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OH/Al 몰비가 클수록 층간기둥이 잘 발달되어 기공이 더욱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OH/Al의 비가 큰 수산화 알루미늄 올리고머 용액으로 제조된 Al-pillared clay는 층간 지주들이 많이 생성되므로서 층간 기둥 밀도를 증가시켜 열안정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 PDF

4차 산업혁명 관련 농학계 융·복합 R&D 어젠다 연구 (Study on Agricultural Science Convergence R&D Agenda under the Fourth Industry Revolution)

  • 이동훈;김소진;장금일;사동민;유도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323-334
    • /
    • 2019
  • 본 연구는 농업 분야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농학계 융 복합 R&D가 어떠한 방향을 가져야 하는지 어젠다를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농업 R&D를 수행 중인 학계 및 연구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계층화분석방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적용하여 농학계 융 복합 R&D 관련 어젠다를 제시한다. 분석 결과, 농학계 R&D는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첫째, 단편적 기술 혁신에 매몰되기보다는 미래형 인재 양성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둘째, 단기, 중기, 장기에 걸쳐 필요한 논의에 적합하게 대응하도록 농학계 R&D 로드맵이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농학계 응답자 전체, 학계 및 연구계 그룹별로 상이한 중요도 우선순위를 보임에 따라 양자 간 상호 교류 및 협력 체계를 구축하여 시너지 효과를 창출해야 한다. 넷째, 변화하는 농학계 R&D 여건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고 인류 삶 개선이라는 4차 산업혁명의 본질을 추구하기 위해 제도적 규제 개선과 인문사회학적 소양이 함께 강조되어야 한다.

불개미를 이용한 송총의 생물적방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Biological Control of Pine Caterpillar (Dendrolimus spectabilis Butler) by Red Wood Ants (Formica rufa truncicola var. yessoensis Forel))

  • 김창효;최진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16
    • /
    • 1976
  • 본 보고는 불개미 (Formica rufa truncicola var. yessoensis Forel: red wood ant, Polydomous ant)가 어떤 일정한 지역의 삼림애 한정되어 서식하기 때문에 그의 서식지에 있어서의 서식의 제한인자인 생태학적 환경요인을 구명함으로서, 다른 지역의 송림에 이식하여, 실제로 송충의 천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므로. 자연서식지(A구)이 있어서의 불개미 집(소)의 분포와 밀도를 조사하는 동시에, 토양의 물리 및 화학적성질, 식물의 분포와 밀도, 소나무의 입목도와 울패도, 조소와 지주식물, 지표면의 습도 그리고 이식시험한 결과 등을 종합한 것이며 그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자연서식지에 있어서 불개미의 집(소)은 주로 산록부와 산복부이 분포하여 서식밀도가 높으나 산정부에는 불개미가 전혀 서식하지 못하였다. 2. 자연서식지(A구)에 있어서의 불개미의 경제밀도는 $2.85/m^2$이고 단위밀도는 $1.95/m^2$로서 실제로 송충의 발새오가 피해를 완전히 억제하고 있으므로 경제적 이용효율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3. 불개미의 자연서식지는 10-20년생 소나무가 밀생하여 임목도와 울패도가 높은 송림의 지표면에 임간나지가 많고 쇠풀과 화본과 잡초인 새류가 부분적으로 군생하는 반면에 잔디가 적었다. 4. 불개미는 자연서식지의 산록부가 산복부에서 주로 새류와 소나무 등을 지주식물로 이용하여 조소하였다. 5. 자연서식지에 있어서 습도에 따르는 불개미의 분포한계선은 5월부터 9월까지(활동기)는 산복부의 $76\%$선이고 10-11월(월동기)까지는 $72\%$선이었다. 6. 불개미의 자연서식지는 지표면에 유기물과 수분등의 함량이 많은 반면에 Ca와 Mg의 함량이 적고, 미사와 세사 및 점토가 많은 반면에 조사가 현저히 적었다. 7. 불개미를 자연서식지와 환경조건이 비슷한 비서식지의 송림에 분군이식하면 증식과 정착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전침자극이 척수 N-methy1-D-aspartate receptor외 NR-2B Subunit 인산화에 미치는 영향 (Involvement of Serine Phosphorylation of Spinal Cord NR-2B Subunit of the N-methyl-D-aspartate Receptor Following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 강별님;최병태;윤현민;민영광;안창범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63-71
    • /
    • 2007
  • 목적 : 저주파에 해당하는 2Hz 전침 자극이 척수 N-methyl-D-aspartate receptor (NMDAR)의 NR-2B subunit의 발현 및 인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법 : Sprague-Dawley계 흰쥐를 Storkson등의 방법에 의해 척수막의 지주막하강에 catheter를 삽입하는 수술을 행한 후 마비등의 척수 손상을 나타내지 않는 개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N-methyl-D-aspartate (NMDA) antagonist인 D-2-amino-5- phosphonopentanoic acid (AP-5)를 투여한 후 족삼리와 삼음교에 해당하는 부위에 30분간 전침 자극하였다. 무통각 여부는 hot plate test를 시행하였으며 NMDAR NR-2 subunit 발현과 인산화 여부는 Western blot과 면역조직화학적으로 살펴보았다. 결과 : 전침 무통각은 전침 자극 후 180분 후까지 지속되었으며 NMDA antagonist인 AP-5를 투여하였을 때 전침 무통각이 저하되었으나 유의성은 나타내지 않았다. Western blot 분석으로 보아 NMDAR NR-2B 및 인산화 NR-2B의 발현은 전침자극에 의해 미약한 증가를 보이나 AP-5투여에 의해 현저한 저해를 보였다. 면역조직화학에 의한 척수배각 구역별 발현을 보면 NMDAR NR-2B 및 인산화 NR-2B는 전 배각에 걸쳐 관찰되나 경부(층판 V-VI)에서 약한 반응을 보였다. 전침 자극에 의한 각 군별 NR-2B 발현은 유의한 차이를 보여 주지 않았으나 인산화 NR-2B는 천층(층판I-II) 및 고유핵 층판(III-IV)에서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전침 자극시 AP-5 투여는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으나 인산화 NR-2B 발현을 저해하였다. 결론: 저주파 2Hz 전침에 의한 무통각은 NMDA antagonist인 AP-5 투여에 의해 저해될 뿐 아니라 NMDAR NR-2B subunit의 인산화를 저해하는 것으로 보아 전침 무통각의 과정에 NMDAR 및 NMDAR NR-2B의 인산화가 관여함을 알 수 있다.

  • PDF

2002-2004년의 벼줄무늬잎마름병 발생상황 및 약제처리에 의한 애멸구의 화학적 방제 (Incidence of Rice stripe virus during 2002 to 2004 in Korea and Chemical Control of Small Brown Plant Hopper)

  • 박진우;진태성;최홍수;이수헌;신동범;오인석;이상계;이민호;최병렬;배순도;김진영;한광섭;노태환;고숙주;박종대;이봉춘;김태성;정부근;홍성준;김충회;박형만;이기운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09-314
    • /
    • 2009
  • 2002년에서 2004년에 걸쳐 전국적으로 Rice stripe tenuivirus(RSV)에 의한 벼줄무늬잎마름병의 발생지역과 발생 포장율을 조사한 결과, RSV에 의한 발병은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RSV의 발생주율은 감수성 품종인 추청과 새추청, 일품에서 각각 45.8, 45.0 43.7%로 매우 높은 데 반해 저항성 품종인 화성에서는 4.4%로 낮았고, 좌지주율 역시 추청과 새추청, 일품 품종에서 각각 33.6, 33.2, 31.9%인데 비해 화성에서는 0.8%에 그쳤다. 두 가지 보독충 채집방법간의 효율성을 비교한 결과 기존의 포충망 채집에 비해 동력흡충기를 이용한 채집이 매우 효율적이었다. 2002년부터 2004년에 걸쳐 전국적으로 보독충 밀도를 조사한 결과, 연도별로 전국적인 평균 보독충율은 각각 3.6, 2.3, 1.3%로 시험기간에 걸쳐 보독충율은 전반적으로 감소하여 병 발생이 감소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앙전 육묘상의 육묘상처리제 및 수면전개제 처리에 의한 애멸구 방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 Imidacloprid 입제 등 4종 처리제의 약효가 인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