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주보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7초

사질토 지반에 설치된 조립식 지주옹벽(AER)의 안정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tability of Assembled Earth Retaining Wall in Sandy Ground)

  • 유재원;임종철;황성필;김창영;최중현;김홍선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2권2호
    • /
    • pp.43-52
    • /
    • 2016
  • 배면말뚝(이하 지주보)을 사용한 조립식 지주옹벽(Assembled Earth Retaining Wall; AER옹벽)을 개발하였다. AER옹벽은 공장에서 제작되어 현장에서 조립하여 완성되는 옹벽으로 품질의 확실성 및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지주보에 의한 토압 감소효과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AER옹벽의 안정성과 지주보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내모형실험을 진행하였다. 실내모형실험의 결과 지주보를 설치함으로써 AER옹벽의 수평변위가 효과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옹벽의 기울기와 지주보의 면적비에 따른 효과가 분석되었다.

현장모형실험을 통한 AER옹벽의 지주보의 역학적 효과 (Mechanical Effects of Back Supporting Beam of Assembled Earth Retaining Wall on Field Model Tests Results)

  • 김홍선;임종철;최중현;서민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2호
    • /
    • pp.343-355
    • /
    • 2017
  • AER옹벽은 사면안정에 적용하는 억지말뚝을 옹벽에 결합한 구조로서 새롭게 개발되었으며, 종래의 옹벽보다 안정성과 경제성이 크게 향상 되었다. AER옹벽에 적용된 억지말뚝은 지주보로 명명하고, 지주보에 의해 구조적인 안정성을 증가될 것으로 판단되어 현장모형실험과 3D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현장실험의 결과, L형 옹벽에 비해 토압이 상당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3D 수치해석을 통해 일반적인 L형 옹벽과 AER옹벽을 비교한 결과 최소 29.85%의 수평변위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AER옹벽의 지주보의 뛰어난 역학적 안정성을 통해 경제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충돌실험 데이터를 이용한 슬라이딩 지주구조의 감충성능 분석 (Crashworthiness Study of Sliding Post Using Full Scale Crash Test Data)

  • 장대영;이성수;김기동;성정곤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0권1호
    • /
    • pp.1-11
    • /
    • 2020
  • 도로변에 설치된 중대형 지주구조물은 적절히 방호되지 않고 차량에 노출된 경우 충돌 시 심각한 차량 파손과 탑승자 상해로 이어진다. 북미지역이나 유럽은 차량에 노출된 지주에 대한 충돌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분리식 지주를 사용하고 있으나 분리된 지주의 낙하 시 2차 사고의 위험이 상존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슬라이딩 지주가 제안되었다. 본 논문은 국도와 지방도에 많이 쓰이는 무게 507 kg의 편주식 지주구조에 대하여 기존의 방식으로 기초에 강결된 경우와 슬라이딩 지주로 개선된 경우에 대한 1.3 ton-60 km/h, 1.3 ton-80 km/h의 충돌실험을 실시하여 강결지주의 위험도를 보이고 슬라이딩지주의 감충성능(Crashworthiness)을 입증하였다. 한편 차량중심에서 계측된 가속도가 차량과 지주의 운동을 동시에 나타낸다고 보는 기존의 충돌해석 방법 대신 고속촬영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주를 차량의 운동과 분리시켜 충돌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함으로써 감충성능을 갖는 지주설계의 기초를 제시하였다.

지주식 흙막이의 안정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tability of Inclined Earth Retaining)

  • 서민수;임종철;정동욱;유재원;구영모;김광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12호
    • /
    • pp.99-110
    • /
    • 2012
  • 지반굴착을 위해서 적용되는 흙막이공법은 앵커, 네일, 버팀보 등과 같은 지보재를 사용하게 되며, 지보재 설치에 시간적, 경제적 문제와 건설되는 구조물에도 결함을 야기하는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지주식 흙막이 공법은 전면지주와 배면지주를 경사로 설치하여 일체화시킨 가시설 공법으로, 배면지주의 설치로 인해 전면지주에 작용하는 토압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가시설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증대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모형실험을 통해 전면지주와 배면지주의 설치각도, 재료강성 등을 달리하여 지주식 흙막이 공법의 안정성을 확인하였으며, 실내 모형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배면지주 설치로 인한 전면지주에 작용되는 토압감소효과를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배면지주의 설치로 인해 전면지주에 작용되는 토압감소 및 변위억제 효과는 상당히 큰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본 실험을 통해 지주식 흙막이 공법의 안정성이 증명되었다. 또한 랜킨토압이론을 이용하여 토압감소율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선운동량 보존의 법칙을 활용한 감충지주의 충돌거동 (Impact Performance of Crashworthy Post Utilizing Conservation of Linear Momentum)

  • 고만기;김기동;노민형;윤덕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966-8976
    • /
    • 2015
  • 도로변에 노출된 지주는 충돌 시 탑승자 안전에 치명적인 위험물이다. 노출된 지주에 충돌하는 차량의 탑승자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차량과 지주가 소성충돌로 일체화 되는동안 충돌차량의 선형운동량이 지주로 전달되어 충돌에너지의 일부가 1차적으로 소산되고 감소된 속도로 이동하는 지주의 베이스가 기초에 매입된 충격에너지 흡수용 모듈을 충격하여 변형시킴으로써 나머지 에너지가 소산되는 감충지주를 개발하였다. LS-DYNA프로그램을 이용한 충돌 해석을 실시하여 강결된 지주의 문제점을 보이고 개발 단계별 감충지주와 차량의 거동을 분석하여 최종 설계된 감충지주가 노출상태에서 0.9ton-80km/h의 속도로 정면충돌하는 경우에 안전하게 대응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클립형 단부분리장치를 갖는 지주의 측면충돌 시 충격완화효과 (Crash Worthiness of a Post with Clip-type Slip Base Subject to Side Impact)

  • 고만기;김기동;김경주;성정곤;윤덕근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175-186
    • /
    • 2010
  • 기초에 강결되어 도로변에 노출된 각종 지주는 정면충돌 뿐 아니라 측면충돌에 특히 위험하다. 클립형 단부분리장치를 갖는 지주는 정면충돌에 효과적이고 다방향으로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측면충돌에도 효과적이다. 본 논문은 강결된 지주의 측면충돌에 대한 위험성을 보이고 클립형 단부분리장치를 갖는 지주의 충격완화 효과를 보이기 위하여 측면충돌실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 정리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미국의 NCHRP Report 350을 기반으로 측면충돌의 기준을 제시하고 D101.6mm(t=4.2mm)의 지주가 강결된 경우와 클립형 단부분리장치로 연결된 경우에 대하여 820kg의 소형차로 충돌속도 50km/h의 측면충돌실험을 실시하였고 단부장치의 저속분리가 가능한가를 35km/h의 측면충돌실험으로 확인하였다. 강결지주는 차량의 과다한 변형 및 전복, 안전지수 측면에서 측면충돌에 치명적이지만 클립형 단부분리장치로 기초에 연결된 경우 충돌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토마토의 품종별 쥬스제조 적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Juice Manufacturing Properties of Various Tomato Varieties)

  • 박상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28-432
    • /
    • 1993
  • 국내산 토마토의 품종별 쥬스적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져 화학적 성질, 색도, 쥬스의 수율 등의 조사와 관능검사를 하였다. 토마토쥬스의 당도는 지주재배형이 무지주재배형보다 더 높았으며 지주재배형에서는 Jeok Pung과 Master 2가 가장 높은 당도를 보였고, 무지주재배형에서는 79078$\times$ARC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산도는 두 재배형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무지주재배형에서는 Jinhong과 TM103가 가장 높았고, 지주재배형에서는 Jeok Pung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pH는 재배형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vitamin C는 무지주재배형에서는 79078$\times$ARC가 가장 높았고 지주재배형에서는 Hong Jho가 가장 높았다. 점도는 무지주재배형에서는 79078$\times$CL1561F$_{6}$이 지주재배형에서는 Hong Jho가 가장 높았다. 쥬스의 색도에서 Dom-inant Wavelength는 무지주재배형의 Good Hope가 가장 긴 파장을 보였고 Y%는 지주재배형의 76Moll-3-1-2-2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쥬스의 수율은 무지주재배형에서 Good Hope가 가장 높았고 지주재배형에서 76Moll-3-1-2-2가 가장 낮았다. 관능검사의 결과 색은 무지주재배형이 지주재배형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게 평가되었고 지주재배형의 76Moll-3-1-2-2가 가장 낮게 평가되었으며, 향과 맛은 두 재배형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지주재배형의 Master 2와 76Moll-3-1-2-2가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쥬스특성에 가장 적합한 품종은 무지주재배형에서는 Good Hope와 지주재배형에서는 Jeok Pung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쥬스특성에 대하여는 품종별로 각기 우수성을 보이므로 이들 품종의 적절한 혼합으로 한품종으로 만드는 쥬스보다 우수한 쥬스를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인다.

  • PDF

폐쇄성과 비폐쇄성 무 정자증 환자의 고환 내 세포 자연사 관련 인자들의 발현 변화와 SELDI-TOF Mass Spectrometry를 이용한 단백질 발현 분석 (Differential Expressions of Apoptosis Regulators and Protein Profiling by SELDI-TOF Mass Spectrometry in Human Testis with Obstructive and Non-obstructive Azoospermia)

  • 김슬기;김호승;이호준;박용석;서주태;윤용달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2권2호
    • /
    • pp.121-132
    • /
    • 2005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비폐쇄성 무정자증 환자에서 나타나는 정자형성과정의 이상과 고환세포의 세포자연사와의 연관관계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SELDI-TOF MS 분석을 통하여 고환 내 단백질 발현 양상을 확인하고, 질환에 따른 효과적인 biomarker 개발 가능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재료 및 방법: RT-PCR 및 면역조직화학법을 사용하여 고환에서의 Fas, FasL, Bcl-2, Bax와 Caspase-3의 발현 양상을 확인하고, in situ DNA 3'-end-labelling 방법으로 고환세포의 세포자연사 양상을 확인하였다. SELDI-TOF MS 분석법에 의한 고환의 병리학적 소견에 따른 단백질 발현 변화는 소수성 칩 ($H_4$)을 사용하여 분자량 10~100 kDa 범위 내에서 분석하였다. 결 과: 정상적인 정자형성과정을 보이는 폐쇄성 무정자증 환자의 고환에 비해 지주세포 증후군 (Sertoli cell only syndrome)과 성숙정지 (maturation arrest)를 보이는 고환 내 생식세포와 지주세포에서 세포자연사가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포자연사 관련인자들의 발현 양상을 확인한 결과, 지주세포 증후군과 성숙정지 환자군에서 Fas와 FasL mRNA의 발현이 증가하였으나, bcl-2, bax와 caspase-3 mRNA 발현의 경우에는 두 질환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FasL 단백질 발현의 경우, 세포자연사의 증가가 관찰되었던 지주세포 증후군과 성숙정지를 보이는 환자의 간질세포와 지주세포에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SELDI-TOF MS 분석 결과에서 폐쇄성 무정자증 환자군에 비해 전체적인 단백질 발현양이 지주세포 증후군과 성숙정지 환자의 고환에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특히, 16.730 kDa 단백질의 현저한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 론: 본 연구결과를 통해 비폐쇄성 무정자증 환자에서 나타나는 정자형성과정의 장애는 생식세포의 비정상적인 세포자연사와 연관되어 있으며, 고환 내 Fas와 FasL의 비정상적인 발현이 주된 원인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SELDI-TOF MS 분석법을 통한 단백질 발현 양상의 연구는 무정자증 환자에서의 다양한 병리학적 소견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biomarker 발굴뿐만 아니라 질환의 원인규명을 위한 연구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농촌의 영양섭취 및 식품소비의 실태와 그 문제점-경남지역 6개 사회계층의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A Multidisciplinary Case Study of Food and Nutrition Intakes of Different Rural Socioeconomic Classes;The Current Status and Its Problem)

  • 윤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4권2호
    • /
    • pp.87-96
    • /
    • 1981
  • 이 연구에서 얻어진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계층별 영양섭취실태에서는 지주층이 가장 양호하였는데 비해 농업노동자 및 소작농층은 대부분의 영양소가 권장량에 미달하였으며, 특히 칼슘은 모든계층에서 결핍되고 있었다. 이외에도 열량과 단백질, Vitamin A 등이 지주 및 부농을 제외한 계층들에게 각각 부족을 나타냈으며, 이는 특히 열량 및 단백질의 질적구성에서도 더욱 현저하였다. 2) 식품소비를 가장 많이하는 계층도 지주층이었고, 그 다음이 부농, 중농층이었는데 비해 가장 적은 소비를 보인 계층은 농업노동자층이었다. 식품군별로 보면 지주층은 채소류, 어패류등에서 그리고 부농층은 유제품, 유지류등에서, 또한 과일류, 육류, 계란류등에서는 이들 두 계층의 소비가 가장 컸는데 비해, 중소농층은 채소료, 해조류등에서 평균 이상의 소비를 하였다. 지난 10년간 소비가 급증된 식품은 부농층은 청량 음료등을 지주층은 어패류등을 들었는데 비해, 나머지 계층들은 쌀밥등을 가장 많이 들었다. 이러한 식품소비의 변화에 대한 이류로는 지주층은 도시적 생활양식의 침투를 부농 중농 소작농층은 소비성향의 변화를 그리고 무의식적 추종을 든 계층은 주로 농업노동자층과 소농층이었다. 3) 사회경제적 지표와 영양섭취층과의 관계에서는 열량과는 학력이, 또한 단백질은 토지소유면적과 농가소득이, 그리고 칼슘은 부채 및 농업소득와의 상관이 깊었다. 특히 농가소득과 단백질섭취량간의 계층별 상관 및 희귀관계를 보면 지주, 소작, 중농의 순으로 상관이 컸으며, 희귀분석에서는 전체적으로 1인당 연간 소득이 10만원 증가됨에 따라 단백질 섭취량이 약 4g증가 됨을 보여주었다(y=56.96+0.04x). 4) 사회경제적 지표와 식품군별 소비지출과의 상관 관계를 보면 학력과 가장 상관이 깊은 식품은 육류, 유지류등의 그너대적 식품이었고, 토지소유 면적과는 곡류 및 어패류등에서 그러하였다. Engel 계수와 곡류는 정의 상관이, 그리고 어패류, 육류는 높은 부의 상관을 보였고, 또한 어패류와 육류는 소득과도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다. 5) 마지막으로 계층간 식품소비 및 영양섭취의 불균등 정도는 동물성 단백질을 제외하고는 소득이나 토지 소유면적등 사회경제적 지표간의 격차보다 훨씬 낮은 수준에 있었다.

  • PDF

구조계획에 있어 들림형 보구조의 특성과 구성방식 (Composition Method and Character for Beam String Structure in Structural Planning)

  • 이주나;박선우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111-121
    • /
    • 2006
  • 들림형 보구조는 휨재와 뜬지주, 스트링으로 조합되는 구조로서, 스트링에 PS력을 도입하여 휨재의 응력과 변형을 조절함으로써 구조능력을 높이는 구조시스템이다. 기존의 연구결과와 실사례를 조사하여 들림형 보구조의 특성과 구조계획시 구성방식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연력도형의 보의 형상 및 높낮이 그리고 스트링의 sag설정, 평면배열, 뜬지주의 수와 구성이 설계인자로서 고려될 수 있음을 파악하였고, 실사례와 구조적 거동의 연구고찰을 통해 그 설계인자의 세부 구성방식을 나타내었다. 또한 들림형 보구조는 큰 부가하중이 작용할 때의 구조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부가하중에 대해 별도의 저항 메카니즘을 고안함으로써 구조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식이 고려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