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제이상

Search Result 13, Processing Time 0.02 seconds

A Study about Measurement Method for Quantitative Classification of Breeding Pig's Locomotor Behaviors using Ultrasonic Sensor Array (초음파 센서 어레이를 이용한 모돈 지제이상 정량분석 방법 연구)

  • Cho, Jinho;Oh, Jong-woo;Lee, D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63-163
    • /
    • 2017
  • 모돈은 교배, 임신, 분만, 포유, 이유를 순환적 반복을 요구하는 개체로서 스마트 농장 시스템의 생산성 향상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돈 능력의 극대화 및 최적의 시스템 관리를 위해서 초음파 센서를 활용한 모돈의 지제 이상 징후를 실시간으로 계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높이에 따라 상-중-하(30 cm 간격), 위치에 따라 전면부-후면부에 초음파 센서를 설치하고 이를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연결하여 모돈의 지제 이상 유무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모돈의 체형과 위치를 고려하여 설치된 초음파 센서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소형 LCD 모듈을 내장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측정된 데이터는 저장장치인 microSD 카드에 저장되도록 하였다. 모돈사의 환경을 고려하여 방밀형 구조로 하우징 마감하였다. 이 모돈 지체 이상 분석 시스템에 사용된 툴은 C언어를 이용하였다. 건강한 모돈을 대상으로 모돈의 지제의 관찰을 위하여 총 12회의 현장 실증실험이 수행되었으며, 현장 실증 시험 중 소요된 시간은 현장의 상황에 따라 다소 상이하였다 (8시간-28일). 높이 상에 위치한 전면부 및 후면부 초음파 센서 모두에서 모돈이 검출이 된 경우 정상 기립으로 간주하였고, 높이 상에 위치한 전면-후면부 초음파 센서 모두에서 모돈이 검출이 되지 않은 경우 정상적으로 누워 있는 걸로 간주하였다. 높이 하에 위치한 전면부 혹은 후면부 초음파 센서 한곳만 모돈이 검출된 경우 비정상적인 기립으로 간주하였다. 취득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모돈의 정상적 상태 (기립상태, 누운 상태, 앉은 상태)와 그 외의 비정상적 상태로 분류가 가능하다. 또한 측정된 초음파 센서의 진동의 유무 및 파동형태에 따라서 모돈의 상태 예측이 가능하다. 초음파 센서의 진동 파동이 크고 안정된 상태인 경우 정상적인 활동 상태로 판단하였으며, 진동 파동이 작고 안정적인 경우는 수면 상태로 분류하였다. 실시간으로 지속적인 데이터 획득을 위하여 차후 초음파 센서 및 시스템의 보완작업이 필요하다. 이와같은 모돈의 행동 패턴에 따른 취득된 데이터를 분류하여 모돈의 발정에 의한 행동 특성(기립시간) 분석에 따른 발정 적기 발견 및 정량화 기술 개발에 활용이 가능하다.

  • PDF

A Study about Time-sharing Method in ADC Sampling for Analysis of Breeding Pig's Feeding (모돈 섭식 분석을 위한 ADC 샘플링 시분할 방법 연구)

  • Cho, Jinho;Oh, Jong-woo;Cho, Yongjin;Lee, D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64-164
    • /
    • 2017
  • 스마트 돈사 환경의 복지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정량 분석법을 기반으로 한 모돈 관리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모돈은 교배, 임신, 분만, 포유, 이유를 순환적 반복하여 이루어지는데 모돈의 관리는 돈사 농장의 생산성 및 경제성과 직결된다. 모돈 관리에 필요한 환경 및 계측정보를 획득하고 이 정보로부터 모돈의 개체관리를 극대화시키고 최적의 방안을 찾고자 지속적으로 계측이 가능한 모돈의 돈사 모니터링 시스템이 필요하다. 모돈의 행동특성 계측이 가능한 시스템이 필요한 이유는 모돈의 행동 특성(섭식 및 지제불량 등)에 상응하는 대사 불량, 질병 및 발정 징후 등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돈사 내에서 정지 상태로 판별이 되는 모돈의 지제상태(기립상태, 누운 상태, 앉은 상태)와 다르게 연속적인 움직임으로부터 판별되는 모돈의 섭식상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계측 시스템과 이를 분석해주는 시스템간의 시간적 차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실시간 신호 처리 기술이 필수적이다. 모돈의 섭식을 정량적으로 지수화하기 위한 센서의 최소 SPS(sample per second)는 600 Hz($100Hz{\times}6$개)로서 최소 6개 ADC 채널과 최소 1,200 Hz 이상으로 샘플링 할 수 있는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필요하다. 또한 16 비트의 분해능으로 1분 동안 연속 계측을 수행할 경우 필요한 정보량은 153,600 KByte ($1,200sample/s{\times}16bit/sample{\times}8Byte/bit$)으로 실시간 처리를 수행하기에 매우 큰 정보량이라 판단할 수 있다. 수행하고자 하는 정보처리 기법에 따라 다소 상이할 수 있으나, 1분을 주기로 모돈의 섭식 분석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최도 150 MByte의 정보량을 처리하기 위한 최소의 클럭수는 단순 대입의 경우 2.5 Mhz (clock/second) ($=1clock/Byte{\times}150MByte/60seconds$) 이며 덧셈(4 clock)의 경우 10 Mhz, 곱셈(16 clock)의 경우 40 Mhz의 클럭이 필요하다. 또한 정보의 저장 및 도시를 위해 필요한 부가적인 회로(LCD, SD메모리) 구동을 위해 필요한 클럭을 고려할 경우 추가적인 클럭이 필요하다.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120 Mhz ($= 40Mhz{\times}3$) 이상의 클럭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계측 주기의 시간 분해능을 균등하게 유지하기 위해선 계측->도시->저장의 과정을 교차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처 최종적으로 선정한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ARM Cortex-M4이며 168 MHz로 연산 수행이 가능하여 목표하고자 하는 신호처리를 수행 할 수 있다. 현장 예비 실험을 통해 기대 성능을 만족하였으며, 시간 복잡도가 높은 연산을 대비하여 최적 시분할 스케쥴링 기법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 PDF

Comparative Study on Components and Microstructure of Korean Bronze Mirror (한국 청동거울에 대한 미세조직 및 성분조성의 비교 연구)

  • Hwang, Jin Ju
    • 보존과학연구
    • /
    • s.32
    • /
    • pp.155-170
    • /
    • 2011
  •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the ratio of alloy, metallographic examination and hardness on the bronze mirrors excavated in Korea and made the distribution chart of the main components according to each artifact and then tried to compare the ratio of artifacts with that of 鑑燧之齊of Zhouli Kaogongji(周禮, 考工記). Through this research, the components distribution of bronze covered a wide rage but it can be divided into 2~3 groups. When it is categorized into 3 groups, one is the bronze mirror with 70-80% of copper, 15-20% of tin and less than 5% of lead. Another is the bronze mirror with 20%-30% of tin which gives the white luster on metal and the high hardness. The other is the bronze mirror with 60-70% of copper and 15-20% of tin but it has more than 10-15% of lead which causes less luster and the low hardness. It contains less tin than 33%(50%) of tin from 鑑燧之齊 according to the old record Zhouli Kaogongji(周禮, 考工記) of Zhou Dynasty. In Korea the bronze mirror with tin of 鑑燧之齊was never found yet except the case of artifacts analyzed by non-destructive analysis.

  • PDF

Research on DNN Modeling using Feature Selection on Frequency Domain for Vital Reaction of Breeding Pig (모돈 생체 반응 신호의 주파수 영역 Feature selection을 통한 DNN 모델링 연구)

  • Cho, Jinho;Oh, Jong-woo;Lee, D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66-166
    • /
    • 2017
  • 모돈의 건강 상태를 정량 지수화 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 중이다. 지제이상, 섭식 불량, 수면 패턴 등의 운동 특성 분석을 위하여 복수의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였다. 시계열 계측 신호를 분석하여 정량 지수화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주파수 도메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 과정에서 주파수 도메인의 분해능에 따른 편차 극복을 위한 비선형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또한 인접한 시계열 데이터 구간 간의 상관성 분석이 가능하면 대용량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로 인한 지연 시간 극복 및 기대되는 예후에 대한 조기 진단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구글에서 제공하는 Tensorflow와 NVIDIA에서 제공하는 CUDA 엔진을 동시 적용한 심층 학습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전 처리를 위하여 주파수 분해능 (2분, 3분, 5분, 7분, 11분, 13분, 17분, 19분)에 따른 데이터 집합을 1단계로 두고, 상위 10 순위 안에 드는 파워 스펙트럼 밀도의 크기를 2단계로 하여, 총 2~10개의 입력 노드를 순차적으로 선정하였고, 동일한 방식으로 인접한 시계열의 파워 스펙터럼 밀도를 순위를 변화시켜 지정하였다. 대표적인 심층학습 모델인 Softmax regression with a multilayer convolutional network를 이용하여 Recursive feature selection 경우의 수를 $8{\times}9{\times}9$로 총 648 가지 선정하고, Epoch는 10,000회로 지정하였다. Calibration 모델링의 경우 Cost function이 10% 이하인 경우 해당 경우의 학습을 중단하였으며, 모델 간 상호 교차 검증을 수행하기 위하여 $_8C_2{\times}_8C_2{\times}_8C_2$ 경우의 수에 대한 Verification test를 수행하였다. Calibration 과정 상 모든 경우에 대하여 10% 이하의 Cost function 값을 보였으나, 검증 테스트 과정에서 모든 경우에 대하여 $r^2$ < 0.5 인 결정 계수 값이 나타났다. 단적으로 심층학습 모델의 과도한 적합(Over fitting) 방식의 한계를 보인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적합한 Feature selection 및 심층 학습 모델에 대한 지속적이고 추가적인 고려를 통해 과도적합을 해소함과 동시에 실효적이고 활용 가능한 Classification을 위한 입, 출력 노드 단의 전후 Indexing, Quantization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이를 통해 모돈 생체 정보 정량화를 위한 지능형 현장 진단 기술 연구를 지속할 것이다.

  • PDF

Occurrence of Stem Rot of Aster glehni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Sclerotium rolfsii 에 의한 섬쑥부쟁이 흰비단병 발생)

  • Kwon, Jin-Hyeuk;Lee, Chang-Jung;Park, Chang-Seuk
    • Research in Plant Disease
    • /
    • v.11 no.1
    • /
    • pp.85-87
    • /
    • 2005
  • In July 2003, a destructive stem rot occurred sporadically in an exhibition farm on Aster glehni of Hamyanggun, Gyeongsangnam-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Korea. The typical symptoms of the disease were water-soaking, stem rot, wilt or blight. The infected plants were mostly died. White mycelial mats were spread over lesions and sclerotia were formed on stems and near soil line. The sclerotia were globoid or irregular in shape, 1~3 mm in size, and white to brown in color. The optimum temperature for fungal growth was about 30oC. Clamp connections were observed in the hyphae of the fungus grown on potato dextrose agar, and hyphal diameter was 3~8 ${\mu}m$. On the basis of my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est of pathogenicity to host plants, the fungus was identified as Sclerotium rolfsii.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stem rot of Aster glehni caused by S. rolfsii in Korea.

MoDTC의 마찰특성에 미치는 공존 첨가제의 영향

  • 김연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1.06a
    • /
    • pp.44-49
    • /
    • 1991
  • 엔진유및 각종 윤활유의 이용범위의 광대 및 재료의 등장으로 사용조건이 더욱 과산화됨에 따라 한 종류의 첨가제를 단독으로 첨가사용하기 보다는 몇 종류 이상의 첨가제가 첨가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첨가제의 기능상 여러종류의 첨가는 첨가제 자신이 갖고 있는 특성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한 것이지만, 일반적으로 첨가제간의 상호방해작용으로 단독첨가 사용시 각각의 특성을 충분히 발달하기보다는 기등이하의 결과를 가져오는 경우가 많다. 최근, 유용성 몰르브덴계 화합물이 마찰, 마모 및 \ulcorner화방지제로써 잘 알려져 있으며 몰리부덴계 첨가제중 Molybdenium dialkyl dithiocarbamate (MoDTC)는 다기능성 첨가제로서 우수성이 부고되었다. 그러나 특히 타 첨가제와 공존시 MoDTC의 마찰특성의 변화에 대해서는 거의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연구는 MoDTC와 타 첨가제 간의 마찰특성의 상호작용에 관한 검토로서, 유황계 화합물($S_8$), 인계 화합물(인산에스테르;TBP), 치오인산계 화합물(ZnDTP)과 같은 윤활유에 많이 첨가되고 있는 극압제를 사용해 이들 화합물이 공존시 MoDTC 마찰감소 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또한 분위기의 영향에 관해서도 검토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Policy of the Dress and Clothing of Se-Jong in the Yi Dynasty (조선왕조(朝鮮王朝) 세종(世宗)의 복식정책(服飾政策) - 세종(世宗) 팔년(八年) "관복지제(官服之制)"의 제정동기(制定動機)와 그 실시(實施) 여부(如否) -)

  • Lee, Sang-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5
    • /
    • pp.165-171
    • /
    • 1981
  • During the period of 3rd Tae-Jong and 4th Se-Jong, Yi Dynasty has established sound basis for ruling power and aristocratic social cast system. And the regulation for official dress has also been firmly established during the same period. The establishment of KWAN BOK SACK (Office of Hat-Dress) in 16th year of Tae-Jong (1416 A.D.) and the enforcement of KWAN BOK JI JAE (System of Hat and Dress) in 8th year of Se-Jong(1426 A.D) indicates the completion of system of official dress in the dynasty. In this study, the author tried to find out the concept of color in the ruling society since the concept of color in KWAN BOK JI JAE, which is the social reglation in the fendal dynasty, had greatly been influenced by these class of people. Effort has also been given to investigate what motivated the establishment and enforcement of KWAN BOK JI JAE, through the descriptions revealed in SE-JONG SILLOK. It can be concluded in the first that, in KWAN BOK JI JAE no new color concept appeared and its significance only remains on the fact that it establshed the social regulations which were existed before. And secondly, the works of Se-Jong in KWAN BOK JI JAE, in contrast to his magnificance in other fields, only showed great influence of toadyism (Chinese culture).

  • PDF

Occurrence of Gray Mold on Hypericum ascyron Caused by Botrytis cinerea in Korea (Botrytis cinerea에 의한 물레나물 잿빛곰팡이병 발생)

  • Kwon, Jin-Hyeuk;Son, Kyung-Ae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 /
    • v.33 no.2
    • /
    • pp.89-91
    • /
    • 2005
  • In April of 2003 to 2004, the gray mold disease caused by Botrytis cinerea on Hypericum ascyron was occurred in the exhibition field of Gyeongsangnam-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at Hamyang-gun in Korea. The disease symptoms were started with water-soaking lesions in stem and the infected plants became withered, discolored and died. The conidia and mycelia of the pathogen appeared on stems of infected plants. The conidia were 1-celled and mostly ellipsoid or ovoid in shape and their color was light gray. The size of conidia was $4{\sim}16\;{\times}\;3{\sim}8\;{\mu}m$ and that of conidiophores was $12{\sim}26\;{\mu}m$ respectively. The pathogen formed sclerotia abundantly on potato-dextrose agar. The optimum temperature for sclerotial formation was $20^{\circ}C$. Pathogenicity of the causal organism was proved according to Koch's postulate. The causal organism was identified as Botrytis cinerea based on mycological characteristics. This is the first report on gray mold of H. ascyron caused by B. cinerea in Korea.

Sclerotium Rot of Cowpea (Vigna sinensis King)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동부 흰비단병)

  • Kwon, Jin-Hyeuk;Kang, Dong-Wan;Han, Inyoung;Choi, Yong-Jo;Lee, Sang-Dae;Son, Daeyoung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 /
    • v.44 no.1
    • /
    • pp.61-63
    • /
    • 2016
  • Sclerotium rot disease on cowpea (Vigna sinensis King) was observed in the exhibition field of Gyeongsangnam-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in September 2015. Lesions were covered by white mycelial mats, and numerous sclerotia were formed on the stem near the soil line. The sclerotia were globoid in shape, 1~3 mm in size and white to brown in color. The optimum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and sclerotia formation on potato dextrose agar (PDA) was $30^{\circ}C$, with the hyphal width of $4{\sim}8{\mu}m$. For molecular identification, the complet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DNA region of the causal fungus was sequenced and analyzed. Based on the mycological characteristics, ITS rDNA sequence analysis, and pathogenicity test, this fungus was identified as Sclerotium rolfsii. This is the first report of sclerotium rot on cowpea caused by S. rolfsii in Korea.

Sclerotinia Rot of Broad Bean (Vicia faba)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Sclerotinia sclerotiorum에 의한 잠두 균핵병)

  • Kwon, Jin-Hyeuk;Bae, Yeoung-Seuk
    • Research in Plant Disease
    • /
    • v.13 no.2
    • /
    • pp.115-118
    • /
    • 2007
  • Sclerotinia rot occurred on the stem and pod of broad bean (Vicia faba) at Gyeongsangnam-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in Korea from 2004 to 2006. The infected plants showed the typical symptoms; wilted, water-soaked, rotted and eventually died. The colony of the isolated fungus on PDA was white to faintly gray color. Apothecia were cup-shaped and $5{\sim}10\;mm$ in size. Asci were cylindrical in shape and $90{\sim}180{\times}8{\sim}12\;{\mu}m$ in size. Ascospores were ellipsoid and $8{\sim}12{\times}4{\sim}6\;{\mu}m$ in size. Sclerotia formed on the PDA were globose to cylindrical or irregular in shape with black color. The optimum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was $25^{\circ}C$ and sclerotia formation was at $20^{\circ}C$ on PDA. This is the first report on sclerotinia rot of broad bean (Vicia faba)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Lib.) do Bary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