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정현황

검색결과 465건 처리시간 0.025초

국내 보호지역의 현황 및 세계보호지역 설정을 위한 기초연구 - 명승·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보호지역을 중심으로- (Research for Current Status of Protected Area in Korea and World Protected Area Designation - Focused on sacred natural sites designated as scenic site & natural monument -)

  • 김재웅;김승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91-200
    • /
    • 2014
  • 본 연구는 보호지역으로 보호되고 있는 국가지정 문화재중 천연기념물과 명승을 대상으로 현황을 분석하고 이들 문화재를 보호지역 카테고리에 포함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문화재보호법으로 지정 보호되고 있는 자연문화재중 명승과 천연기념물을 대상으로 보호지역 현황을 조사한 결과 명승40개소, 천연기념물 126개소가 보호지역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조사결과 자연문화재에서의 보호지역은 마을에서 '당숲', '성황림', '신림(神林)'등으로 오랫동안 마을사람들의 행(幸) 불행(不幸)에 관계된 성스러운 대상이었으며, 물리적 환경뿐만 아니라 문화적 가치와 규범, 토지에 대한 태도와 신앙관 등이 종합적으로 결합된 결과물로써, 주민들로부터 마을을 지켜주는 신성한 장소로 인식되고 있으며, 그 지역의 독특한 민간신앙 등으로 인해 강력한 보호를 받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천연기념물 노거수는 점적인 형태로 인식되어 보호지역에 포함하지 못하고 있으나, 보호지역을 중심으로 보호구역을 설정되어 있어 세계보호지역 등재가 가능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명승의 자연성지는 IUCN 카테고리의 지정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세계보호지역으로 설정함에 있어 명승 내부의 공간별 특성에 따라 자연성지를 비롯한 개별 카테고리를 세분화하여 적용함으로써 세계보호지역으로 관리하여 보호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건설기술 연구개발 현황 및 발전 방향 (Status and Direction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Construction Industry)

  • 유정호;홍영탁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80-86
    • /
    • 2006
  • 건설산업의 지속적 성장과 국제적인 기술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건설기술 연구개발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건설분야 연구개발 투자는 타 산업에 비해 저조한 실정이며, 정부차원의 연구개발 투자도 외국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기술 연구개발의 투자 현황을 고찰해 보고, 연구개발의 성과를 신기술 및 특허와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신기술지정제도의 현황과 개선점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현황 분석을 바탕으로 건설기술 연구개발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커뮤니티 비지니스 지정 현황과 발전방안 제언 - 강원도 사회적기업과 마을기업을 중심으로 - (A Study of Growth Plan and the existing designed Community Businesses in Gangwon-do - Social businesses and town businesses in Gangwon-do -)

  • 배중남;박노국;지경배
    • 벤처창업연구
    • /
    • 제8권2호
    • /
    • pp.75-82
    • /
    • 2013
  • 본 연구는 강원도 내 커뮤니티비지니스의 자립화와 지속화에 기여하기 위해 추진했다. 이를 위해 커뮤니티비지니스의 개념을 정립 후, 커뮤니티비지니스의 지정현황을 파악하고, 커뮤니티비지니스의 사업내용과 사업추진형태를 분석 후, 일본의 100년 이상의 기업 가게의 지속요인을 분석하여 도내 커뮤니티비지니스의 지속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 강원도내 커뮤니티비지니스는 예비사회적기업 86개, 마을기업 62개, 사회적기업 38개, 계186개가 지정 운영되고 있다. 예비적사회기업과 사회적 기업은 도시지역에 많이 지정되어 있고 사업내용은 제조와 교육부문이 많고 기업의 추진형태는 주식회사와 유한회사가 많았다. 반면, 마을기업은 군지역에 지정이 많고 사업내용은 농식품과 문화부분이 많으며 사업추진주체가 영농법인이 압도적으로 많았다는 차이를 알 수 있었다. 특히 커뮤니티비지니스 사업추진주체가 임의단체인 기업이 총 38개 기업으로 전체의 20.4%로 영농법인수까지 고려하면 기업경영 전문성의 부족을 보안할 필요를 알 수 있었다. 도내 커뮤니티비지니스가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선진사례분석으로 부터 소비자에게 신뢰를 줄 수 있는 좋은 재료의 확보, 제품 품질의 향상과 유지를 위한 기술력, 기업의 전통유지와 새로운 수요에 대응하면서 기업을 유지할 수 있는 인력 양성으로 정리 할 수 있었다. 이는 도내 커뮤니티비지니스가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질 좋은 재료를 확보하고 품질 향상과 유지를 위한 계속적인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며, 또 기업 경영 주체의 경영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학계와 기업, 기업과 행정, 기업과 기업이 연계하여 지역사회의 지원 운영 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 PDF

경상남·북도 국가지정 중요목조문화재 주변 환경에 따른 방재특성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Disaster Preven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s of State-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in Gyeongsangnam-do and Gyeongsangbuk-do Provinces)

  • 구원회;백민호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11
    • /
    • 2019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경상남북도의 국가지정 중요목조문화재 주변 환경에 따라 방재특성이 어떻게 다른지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화재 주변 환경에 맞는 목조문화재 방재대책을 검토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연구를 위해 경상남도와 경상북도에 있는 문화재 지정 현황 및 특성을 파악하고 재난이력을 통하여 경상남도 및 경상북도에 있는 문화재의 피해 현황을 검토하였다. 또한 경상남도와 경상북도에 있는 국가지정 중요목조문화재 58개소를 대상으로 주변 환경에 따라 산악, 농촌, 도시지역으로 나누어 방재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도시지역에 위치한 문화재는 안전경비인력의 배치가 적절했고 방재훈련이 잘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진입여건은 신속하게 진입할 수 있었다. 농촌지역은 방염사업이 잘 실시되어 있었고 평탄한 곳에 위치한 문화재가 많았다. 산악지역은 진입여건이 타 지역에 좋지 않았으며 과거 재난 발생이력도 가장 많았다. 결론 :첫째, 도시지역의 목조문화재 경우 초기 대응을 위한 자위소방대 배치인력 확보 및 방재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농촌지역의 목조문화재 경우 문화재 보호를 위한 방충사업, 방재보험 등의 예방사업을 실시해야 한다. 셋째, 산악지역의 목조문화재 경우 자체적인 대응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GIS DB를 이용한 상업·업무시설의 입지 포텐셜 분석 (A Study on the Analysis of Location Potential of Commercial Use using GIS Database)

  • 백태경;최정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49-157
    • /
    • 2006
  • 본 연구는 부산시의 GIS 데이타베이스를 활용하여 먼저, 입지포텐셜 분석을 위한 지표를 설정하여 각 지표별 Rank-Map을 작성하였다. 다음으로 각 상업 업무시설이 입지할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입지 포텐셜 ($P_i$)을 분석하여 제안하였다. Rank 1, 2로 분류되는 존의 건물용도 현황을 보면, 상업시설 용도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Rank 4~7까지의 존은 환경보전적 차원에서 비 상업계 용도지역이 지정되고 관리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입지 포텐셜은 용도지역 지정시 상업계 용도지역 지정의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다고 사료되어진다.

  • PDF

대통령기록물의 이용 확대를 위한 현안과 쟁점 (Issues to Expand the use of Presidential Records )

  • 박종연
    • 기록학연구
    • /
    • 제79호
    • /
    • pp.205-230
    • /
    • 2024
  • 본 연구는 대통령기록물의 이용 확대를 위하여 대통령기록관의 대통령기록물 공개와 활용 현황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대통령기록물의 공개와 이용 확대를 위한 현안으로 적극적인 공개와 원문제공, 지정기록물 지정 해제와 공개, 연구·활용지원의 확대와 콘텐츠 강화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세 가지 현안을 해소하기 위한 쟁점과 시사점으로 대통령기록관리 업무재설계, 대통령기록물법 개정, 전문가 협업과 연구, 중장기 업무계획 마련을 제시하였다.

성층권 통신 시스템(HAPS) 규정 연구 현황 (Status of Studies on Regulatory Provisions for HAPS)

  • 이승민;박종민;구본준;안도섭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2권3호통권105호
    • /
    • pp.166-173
    • /
    • 2007
  • WRC-97에서 HAPS 개념이 도입된 후, HAPS 이용 주파수 대역으로 IMT-2000 대역과 Ka 및 V 대역이 지정되었다. IMT-2000 대역에 대한 공유 및 규정 연구는 WRC-03에서 종료되었으나, Ka 및 V 대역에서 타 무선업무와 HAPS를 이용한 고정업무 간의 기술적, 운용적 그리고 규정에 관한 연구를 지속하고 WRC-07에서 연구결과를 검토하기로 하였다. 본 고에서는 WRC-03 회의에서 결의한 IMT-2000 서비스를 제공하는 HAPS 시스템의 이용에 관한 규정 현황을 알아보고, 현재 ITU-R에서 논의중인 Ka및 V 대역에서 HAPS 시스템 활용을 위한 규정 연구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나라 부표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한아름;성유창;임남균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41-343
    • /
    • 2015
  • 우리나라의 표준형 부표류는 2001년 지정된 후 일부 부표류의 활용이 저조하고 우리나라 해역에 적합하지 못한 부표류가 일부 차지하고 있으므로 표준형 부표류에 대한 전반적인 운영 현황 및 검토가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대부분의 표준형 부표류가 철 소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PE 소재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 검토하고 있는 국제적인 추세를 반영하여 저수심수역 등에 가능한 신소재와 충격 흡수성이 좋은 고무 소재 등을 부표류에 적용하는 등의 신소재 부표류 개발 적용방안에 대한 연구 개발이 요구된다.

  • PDF

회의공개제도 운영에 관한 연구 중앙행정기관 지정회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pen Meeting System : Focused on the Centr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Designated Meeting)

  • 최정민;김유승
    • 기록학연구
    • /
    • 제55호
    • /
    • pp.307-334
    • /
    • 2018
  • 본 연구는 중앙행정기관의 지정회의 현황과 지정회의 연도별 개최수, 지정회의별 회의록 작성 유무와 작성 형태(요지작성, 속기록, 녹음기록), 회의록 공개 여부와 비공개시 비공개 사유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 번도 개최되지 않은 회의, 대면회의는 개최되지 않고 서면회의만 개최한 회의가 있었다. 지정 회의가 개최되어야 하는 기준 등이 확립되어야 한다. 둘째, 서면회의만 있을 경우 회의록을 따로 작성하지 않아 회의록이 없었다. 필요한 경우 서면회의를 하는 것은 가능하나, 서면회의라도 회의록에 준하는 수준으로 세부 사항에 대한 기록을 남겨야 한다. 셋째, 회의록 유형 가운데 요지작성이 선호되고 있었다. 합당한 사유로 비공개하더라도 요지작성 이외에 속기록, 녹음기록작성의 의무가 정착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회의, 회의록이 비공개 되는 절차 및 사유에 대한 구체적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지정회의, 지정회의 회의록 관련 기준 및 절차의 정비를 통해, 생산, 관리 중심의 관점에서 공개, 공유 관점으로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