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Open Meeting System : Focused on the Centr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Designated Meeting

회의공개제도 운영에 관한 연구 중앙행정기관 지정회의를 중심으로

  • 최정민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
  • 김유승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Received : 2018.01.08
  • Accepted : 2018.01.20
  • Published : 2018.01.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status of the designated administrative meetings of th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including the number of meetings, the presence of written minutes, and the form of minutes.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eetings that were not held, and written meetings were held. The standards for determining the designated meetings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when only a written meeting was held, the minutes were not made because these were not written separately. A written meeting can be held, if it is necessary. However, there is still a need to keep a detailed record similar to minutes in such cases. Third, among the minute types, a written record of the points of the meeting is preferred. Even if the meeting is closed for proper reasons, making a transcript and a record in addition to writing the points must be settled. Finally, specific standards for the procedures and reasons why meetings and minutes should be closed should be establishe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aradigm from the viewpoint of production and management to the viewpoint of disclosure and sharing through the improvement of standards and procedures related to designated meetings and designated meeting minutes.

본 연구는 중앙행정기관의 지정회의 현황과 지정회의 연도별 개최수, 지정회의별 회의록 작성 유무와 작성 형태(요지작성, 속기록, 녹음기록), 회의록 공개 여부와 비공개시 비공개 사유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 번도 개최되지 않은 회의, 대면회의는 개최되지 않고 서면회의만 개최한 회의가 있었다. 지정 회의가 개최되어야 하는 기준 등이 확립되어야 한다. 둘째, 서면회의만 있을 경우 회의록을 따로 작성하지 않아 회의록이 없었다. 필요한 경우 서면회의를 하는 것은 가능하나, 서면회의라도 회의록에 준하는 수준으로 세부 사항에 대한 기록을 남겨야 한다. 셋째, 회의록 유형 가운데 요지작성이 선호되고 있었다. 합당한 사유로 비공개하더라도 요지작성 이외에 속기록, 녹음기록작성의 의무가 정착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회의, 회의록이 비공개 되는 절차 및 사유에 대한 구체적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지정회의, 지정회의 회의록 관련 기준 및 절차의 정비를 통해, 생산, 관리 중심의 관점에서 공개, 공유 관점으로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기록원. 2009a 속기록 등 작성대상 추가 지정 계획(안).
  2. 국가기록원. 2009b. 속기록 작성회의 지정관련 의견조회.
  3. 김승두. 2018. 전 정부 4대강.자원외교 기록관리 엉망...폐지업체 불러 폐기도. 연합뉴스. 2018.1.10. .
  4. 김장환. 2013. 국회 비공개회의록 및 불게재 부분의 공표 방안 연구. 기록학연구, 35, 93-132.
  5. 손태규. 2015. 왜 한국에도 회의공개법이 필요한가. 공법학연구, 16(1), 163-186.
  6. 윤대근, 남태우. 2011. 국회 회의록의 관리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2), 143-163.
  7. 이혜진, 정은경. 2012. 공공기관의 회의록 생산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3), 137-153.
  8. 변주연. 2008. 공공기관의 회의록 생산, 공개 제도화 연구: 미국의 회의공개법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17, 203-245.
  9. 참여연대. 2011. 이명박 정부 정보공개제도 운영 모니터 보고서. 2011. 참여연대 이슈리포트 제2011-11.
  10. 행정자치부. 2017. 2016 정보공개연차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