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오시맨틱스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1초

비구조적 공간정보를 지원하는 개념적 지오시맨틱 웹 서비스 프레임워크의 설계 (Design of a Conceptual Geosemantic Web Service Framework supporting Textual Geospatial Information)

  • 하수욱;남광우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9권4호
    • /
    • pp.91-97
    • /
    • 2011
  • 본 연구는 공간정보 분야에서 시맨틱 웹 기술을 접목한 서비스 아키텍처를 제안한다. 최근 웹 서비스 기술의 발달과 함께 무선 인터넷 및 스마트폰의 보급을 통해 지리정보와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다. 또한 시맨틱 웹 기술이 주요 검색 포털들에 적용됨으로써 일반인들은 온라인상에 공개된 다양한 정보들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공간정보 분야에서는 이질적인 데이터 저장 구조를 갖는 공간정보 데이터에 대한 연계 이외의 활용 가능한 서비스 유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간정보 웹 서비스 및 시맨틱 웹과 관련된 표준들을 바탕으로 시맨틱 공간정보 서비스를 구성하는 기능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적용 가능한 유즈케이스들과 시맨틱 공간정보 서비스 아키텍처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향후 시맨틱 공간정보 서비스 구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마이크로 블로그기반의 공간 지식 추출 기법연구 (A Technique for Extracting GeoSemantic Knowledge from Micro-blog)

  • 하수욱;남광우;류근호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129-136
    • /
    • 2012
  • 최근 ISO/TC211, OGC, INSPIRE 등 국제기구들을 중심으로 시맨틱 기술을 활용한 공간정보의 공유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의 활성화로 인해 온라인 소셜 커뮤니티에서 이슈를 추출하기 위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응용 수준에서 가용한 공간정보 온톨로지는 부족한 실정이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의 공간정보 추출 역시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지오코딩 부분에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소셜 미디어 정보에서 공간 현상을 추출하여 시맨틱 공간 지식으로 변환하기 위한 방법은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공간 현상을 단순한 빈발 키워드가 아닌 연관 이슈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공간상에 발생하는 이슈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소셜 미디어 서비스의 하나인 마이크로 블로그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 마이닝 기술을 접목하여 연관 이슈를 추출하고, 이를 시공간 지식으로 변환하기 위한 공간 이슈 온톨로지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관련 시스템의 개발을 위한 참조모델 및 공간 온톨로지 구축을 위한 모델로써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