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연 시간 예측

검색결과 518건 처리시간 0.025초

차세대 네트워크에서의 적응형 절대적 지연 차별화 방식 (Adaptive Absolute Delay Differentiation in Next-Generation Networks)

  • 백정훈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55-63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패킷 네트워크에서의 성능 품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하나의 접근 방안으로 패킷 지연에 대한 절대적 차별화 기능을 제공하는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듬은 임의 시간 구간에 도착될 입력 트래픽을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연 제어 기능을 수행한 후 실제로 입력된 트래픽을 측정하여 예측 오차를 도출하고 이를 다음 시간 구간에서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된 방식은 매 시간 구간마다 지속적으로 예측 오차를 보상함으로서 예측 편차가 높은 버스트 트래픽에 대하여 특히 우수한 성능을 제공한다. 모의 실험을 통해 제안된 방식은 절대적 성능 지표를 충족하고 기존 방식에 비해 버스트 트래픽에 대하여 우수한 적응성을 제공하는 것을 확인한다.

  • PDF

이동로봇의 인터넷 기반 원격제어시 시간지연에 따른 경로 보상 제어 (Path Compensation Control for Remote Control of Internet Based Mobile Robot with Time Delay)

  • 유봉수;이상민;조중선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 /
    • pp.161-165
    • /
    • 2001
  • 최근 인터넷은 전 세계적으로 대중화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응용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을 이용한 Telerobot 시스템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인터넷상에서의 네트워크 상태나 대역폭에 따른 시간지연 문제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이는 조작자가 의도하는 데로 이동로봇을 제어하기 위해 반드시 해결되어야할 문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원격지의 조작자가 지시하는 데로의 원활한 주행을 위하여 이동로봇에 전송되는 명령에 신간정보를 함께 보냄으로써, 이를 수신한 이동로봇이 지연시간을 계산하여 시간지연에 따른 경로오차를 보상하거나, 이전의 경로를 이용하여 앞으로의 경로를 예측함으로써 이동로봇이 적절한 경로를 주행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 PDF

n-Butanol과 n-Decane계의 최소자연발화온도 측정 및 예측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Autoignition Temperature of n-Butanol + n-Decane System)

  • 하동명;홍순강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184-18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ASTM E659 장치를 이용하여 가연성 혼합물인 n-butanol + n-decane 계의 발화지연시간과 AIT관계를 측정하였다. 2성분계를 구성하는 순수물질인 n-butanol과 n-decane의 측정된 최소자연발화 온도는 각 각 $340^{\circ}C$, $211^{\circ}C$였다. 그리고 n-butanol + n-decane계에서 측정된 발화지연시간은 제시된 식에 의한 예측된 발화지연시간과 적은 평균절대오차에서 일치하였다.

Aging Effect를 고려한 점성토의 압밀특성 (Consolidation Characteristics of Clays Considering the Aging Effect)

  • 김영수;이상웅;김대만;현영환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109-118
    • /
    • 2004
  • 점토의 압밀은 시간적 지연을 갖는 현상으로 시간적 지연은 소성적 지연시간과 수리적 지연시간으로 나눠진다. 본 연구에서는 점토의 2차압밀이 압밀침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고자 CRS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소성적 지연시간은 선행압밀하중을 구하는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압밀하중과 압밀지연시간으로부터 유사선행압밀하중을 예측하는 식을 제안하였다. 또 압밀지연시간에 따른 압밀계수의 특징은 선행압밀 전까지는 큰 범위의 값을 가지나 선행압밀하중의 약 2배 지점을 지나서는 압밀지연시간에 관계없이 일정한 값으로 수렴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리고 정규압밀영역에서의 투수계수는 간극비와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Samarasinghe 등의 제안식을 이용하여 시험결과로부터 투수상수 n, $C_1$값을 결정하였고, Kozeny-Carman 제안식과 비교분석하여 보았다. 투수계수와 간극비 관계에서도 압밀지연시간에 의한 지연압축으로 인하여 aging effect를 관찰할 수 있었다.

과도상태의 압력데이터로부터 평형상태 압력 예측방법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Equilibrium-Pressure Prediction from Transient Data)

  • 이종국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9-28
    • /
    • 2004
  • 본 논문은 과도상태의 압력데이터로부터 평형상태의 압력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압력을 측정하는 곳과 압력센서는 튜브로 연결되어져 있다. 측정하고자하는 압력 (측정압력)이 높은 경우에는 압력센서가 빠른 시간 내에 측정압력에 반응을 한다. 그러나 매우 낮은 압력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압력센서가 실시간으로 측정압력에 반응을 하지 못하여 압력지연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압력지연현상을 파악하고자 여러 가지 실험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제시된 평형압력예측방법은 낮은 압력을 측정함에 있어서 측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음성 특징에 대한 시간 지연 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Time Delayed Effect for Speech Feature)

  • 안영목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00-103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음성 특징의 시간 지연 효과에 대해서 분석한다. 여기에서 시간 지연 효과란 과거의 음성 특징 벡터가 현재의 음성 특징 벡터에 미치는 영향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선형 예측 계수를 바탕으로 한 켑스트럼을 사용하였으며, 켑스트럼의 시간 지연 효과는 음성 인식 시스템의 성능을 바탕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음성 데이터는 남성 화자 50명이 발성한 22단어 이며, 50명의 화자 중에서 25명은 음성 인식기의 훈련용으로 사용하였으며 나머지 25명은 평가용으로 사용하였다. 실험의 결과, 특징 벡터에서 시간 지연 효과는 저차원으로 갈수록 그 영향이 커지고, 고차원에서는 시간 지연 효과가 적었다.

  • PDF

외부영향요인을 고려한 콘크리트 강도예측 뉴럴 네트워크 모델 (Concrete Strength Prediction Neural Network Model Considering External Factors)

  • 최현욱;이성행;문성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7-13
    • /
    • 2018
  • 콘크리트 강도는 시멘트, 물, 자갈, 모래 그리고 혼화재 등 내부영향요인뿐만 아니라 실제 현장에서 발생하는 현장기온과 타설지연시간 등 외부영향요인의 영향을 받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콘크리트 배합설계 시 내부영향요인과 외부영향요인을 고려하여 현장 콘크리트 타설시 최적의 콘크리트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내부영향요인과 외부영향요인에 대한 수준을 정의하고, 모두 24개의 조합에 대한 콘크리트 강도 테스트를 한 후 콘크리트 강도예측 뉴럴 네트워크 모델을 개발했다. 본 콘크리트 강도예측 뉴럴 네트워크 모델은 현장 콘크리트 타설 시 현장기온과 타설지연시간을 고려하여 콘크리트 강도를 예측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콘크리트 강도예측 뉴럴 네트워크 모델은 내부영향요인과 외부영향요인을 분석하고 실제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양생온도와 타설지연시간을 뉴럴 네트워크 입력변수로 처리하여 콘크리트 강도를 예측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시공사는 콘크리트 강도예측 결과를 활용하여 콘크리트 배합을 조정함으로써 현장타설 콘크리트 강도를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Levenberg-Marquardt알고리즘을 이용한 시내버스 지연요소 추정 (Estimation of City Bus Delay Element using Levenberg-Marquardt)

  • 이진우;이현미;이현수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493-498
    • /
    • 2017
  • 최근 국내 외에서 버스운행의 효율화 및 D2D(: Door to Door)서비스, 대중교통의 자율주행을 위해 교통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한 분석결과를 도출해내고 있다. 하지만 대중교통, 특히 버스 지연시간의 예측을 위해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나 단순분석, 데이터 취득의 한계로 현재까지의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버스의 운행정보를 기반으로 요일, 날씨, 시간대 등의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수집 가공하여 지연시간 추정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향후 변수를 추가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자율주행 대중교통 및 대중교통 관제시스템에 활용이 가능하다.

온도장 측정 정밀도 향상을 위한 시간 지연 벡터의 재형성 (Regeneration of the Retarded Time Vector for Enhancing the Precision of Acoustic Pyrometry)

  • 김태균;이정권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18-125
    • /
    • 2014
  • 역문제에 기반한 음향 온도 측정법에서는 단면의 음속 분포 계산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하여 단면 외곽에 위치한 센서들 간의 지연시간을 계측하고, 이를 입력으로 하는 전달행렬과 계수 벡터를 이용한 역문제를 이용하여 음속 분포를 예측한다. 그러나, 센서 개수의 부족으로 인하여 충분한 수의 음향 경로가 확보되지 못하면, 지연시간 벡터의 개수가 한정될 수 있다. 지연시간 벡터의 개수는 공간 해상도와 관련 있으며, 부족한 지연시간 벡터의 개수는 공간 해상도의 저하를 초래하여 정확한 온도 재구성 결과를 얻지 못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제 측정된 지연시간으로부터 온도장을 재구성 한 뒤, 임의의 경로에 해당하는 지연시간을 재구성 된 온도장으로부터 재형성하여 지연시간 벡터의 개수를 증가시켰다. 측정된 지연시간 벡터와 재형성 된 지연시간 벡터를 함께 사용할 경우, 음향 경로의 개수가 증가하므로 공간 분해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임의의 온도 분포를 가지는 2차원 단면을 수치 예제로서 채택하였고, 측정된 지연시간만을 이용한 결과와 재형성 된 지연시간을 함께 사용한 재구성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재형성 된 지연시간과 측정된 지연시간을 함께 사용한 경우의 온도 재구성 오차가 측정된 지연시간만을 사용한 온도 재구성 오차보다 최대 15 % 감소하였다.

n-Pentanol p-Xylene 과 혼합물의 최소자연발화온도와 발화지연시간의 측정 및 예측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Autoignition Temperature (AIT) and Ignition Delay Time of n-Pentanol and p-Xylene Mixture)

  • 하동명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5호
    • /
    • pp.1-6
    • /
    • 2017
  • 가연성물질의 화재 및 폭발 특성치는 안전한 취급, 저장, 수송, 처리 및 폐기하는데 반드시 필요하다. 공정 안전을 위한 대표적인 연소특성치로 최소자연발화온도(AIT)를 들 수 있다. 최소자연발화온도는 가연성 액체의 안전한 취급을 위해서 중요한 지표가 된다. 최소자연발화온도는 가연성물질이 주위의 열에 의해 스스로 발화하는 최저온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ASTM E659 장치를 이용하여 가연성 혼합물인 n-Pentanol과 p-Xylene 혼합물의 최소자연발화온도와 발화지연시간을 측정하였다. 2성분계를 구성하는 순수물질인 n-Pentanol과 p-Xylene의 최소자연발화온도는 각각 $285^{\circ}C$, $557^{\circ}C$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측정된 n-Pentanol과 p-Xylene 혼합물의 최소자연발화온도와 AIT에서의 발화지연시간의 실험값은 제시된 식에 의한 계산값과 적은 평균절대오차에서 일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예측식들을 이용하여 n-Pentanol과 p-Xylene 혼합물의 다른 조성에서도 최소자연발화온도와 발화지연시간을 예측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