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연 시간

Search Result 6,22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ime Delay Prediction of Networked Control Systems using Cascade Structures of Fuzzy Neural Networks (종속형 퍼지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의 시간 지연 예측)

  • Lee, Cheol-Gyun;Han, Chang-Wook
    • Journal of IKEEE
    • /
    • v.23 no.3
    • /
    • pp.899-903
    • /
    • 2019
  • In networked control systems, time-varying delay of the transmitting signal is inevitable. If the transmission delay is longer than the fixed sampling time, the system will be unstable.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proposes the method to predict the delay using logic-based fuzzy neural networks, and the predicted time delay will be used as a sampling time in the networked control system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the delay data collected from the real system are used to train and test the logic-based fuzzy neural networks.

MAC Protocol for achieving energy efficiency and end-to-end delay minimiz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에너지 효율성과 전송 지연 최소화를 동시에 고려한 MAC 프로토콜)

  • Song Young-Mi;Suh ChangSu;Ko You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493-495
    • /
    • 2005
  • 지금까지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많은 라우팅 및 MAC 프로토콜들이 개발되어 왔다. 특히 에너지 효율적 센서 MAC 프로토콜들 중 Sensor-MAC (S-MAC) 프로토콜은 listen 시간과 sleep 시간을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데이터 전송이 없을 경우 노드의 통신 모듈을 Sleep시킴으로써 그 만큼의 에너지를 절약한다. 노드의 sleep시간이 길수록 더 많은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나, 대신 sleep시간에 발생된 데이터는 다시 다음 주기의 listen시간이 시작될 때까지 지연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데이터 전송 지연은 센서 네트워크에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해 반드시 개선되어야 할 사항이다. 본 논문에서는 S-MAC의 listen/sleep 주기를 그대로 사용하여 에너지를 절약하면서도, 큰 오버헤드를 발생시키지 않고 데이터 전송시의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는 기법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존의 S-MAC 및 Adaptive S-MAC 프로토콜과 지연시간 및 에너지 소비량을 비교하여, 제안된 기법이 지연시간을 감소시키면서도 기존 MAC 프로토콜들과 비슷한 에너지 소비량을 갖는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 PDF

JPS 할당규칙의 Transitivity 증명을 통한 총납기지연 최소화

  • 전태준;박성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1999.12a
    • /
    • pp.485-491
    • /
    • 1999
  • 총납기지연 최소화 문제에서 많은 할당규칙들이 개발되어져 왔는데, 대부분의 개발 배경이 모든 Job이 동일한 시작시간을 갖는 Single Machine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이 할당규칙들을 Job의 시작시간이 다르게 주어지는 문제에 그대로 적용했을 때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른 시작시간을 갖는 Single Machine문제에서 총납기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먼저, 새로운 작업쌍 순서(Job Pair Sequencing) 할당규칙을 제시한다. 제시되는 할당규칙은 Job들간의 Sequence를 쌍으로 비교하여 총납기지연 측면에서 선행이 바람직한 Job을 선택한다. 그리고 제시된 할당규칙에 대하여 다수개의 Job에 적용 시 선택된 Job들간에 Transitivity 가 성립됨을 증명함으로서 총납기지연을 최소화 시린 수 잇.음을 증명하였다.

  • PDF

An Analysis on I/O latency of Guest OS based on Xen-Arm Virtualization (Xen-ARM에서 게스트 운영체제의 I/O 지연 시간 분석)

  • Kwak, Keun-Hwan;Jo, Jae-Hyun;Yoo, See-Hwan;Yoo, Chu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a
    • /
    • pp.531-534
    • /
    • 2011
  • 최근에는 가상화 기술이 임베디드 시스템 분야에도 적용 되면서, 다양한 종류의 임베디드 시스템이 하나의 물리 머신에서 동시에 실행되어야 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임베디드 시스템은 다양한 특성을 가지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I/O 처리에 되한 지연시간의 보장이다. 본 논문에서는 임베디드 가상화 환경에서 I/O 지연 시간이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 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실험을 통해서 I/O 지연시간이 개선 될 수 있음을 보인다.

Delay optimization algorithm for the high speed operation of FPGAs (FPGA를 고속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지연시간 최적화 알고리듬)

  • 김남우;허창우;최익성;이범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1999.11a
    • /
    • pp.525-529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고속 FPGA 설계를 위한 논리 수준의 조합회로 합성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제안 된 알고리듬은 회로의 지연시간을 줄이기 위해 critical path를 분할한 후 분할된 회로를 동시에 수행하는 구조의 회로를 생성한다. MCNC 표준 테스트 회로에 대한 실험에서 제안된 지연시간 최적화 알고리듬이 기존 알고리듬에 비해 지연시간이 평균 33.3 % 감소된 회로를 생성함을 보였다.

  • PDF

Adaptive Multimedia Synchronization Using Delay Jitter (지연지터를 이용한 적응형 멀티미디어 동기화 기법)

  • Lee, Keun-Wang;Oh, Taek-Hwa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6.11a
    • /
    • pp.236-238
    • /
    • 2006
  • 본 논문은 동기화 구간 조정을 처리하기 위해 지연 지터를 적용함으로써 트래픽 증가로 인한 미디어 데이터의 손실 시간 및 지연시간의 변화로 인한 데이터 손실을 감소시켰다. 그리고 스무딩 버퍼의 대기 시간을 가변으로 처리함으로써 지연시간의 변화로 인한 불연속을 감소시켰다. 제안된 논문은 고품질 서비스의 보장을 요구하는 시스템에 적합하며, 재생율 증가와 손실율 감소 등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켰다.

  • PDF

WDM Optical True Time-Delay for X-Band Phased Array Antennas (X-밴드 위상 배열 안테나를 위한 WDM 광 실시간 지연선로)

  • Jung, Byung-Min;Shin, Jong-Dug;Kim, Boo-Gyoun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18 no.2
    • /
    • pp.162-166
    • /
    • 2007
  • In this paper, we propose a WDM optical true time-delay (OTTD) beam former for phased way antenna (PAA) systems. It is composed of a delay lines matrix and a multiwavelength source with discrete DFB laser diodes. The building block of a delay lines matrix is a $2\times2$ optical MEMS switch with proper fiber-optic delay line connected between cross ports. A $4\times3$ matrix using four DFB lasers has been fabricated with unit time-delay difference of 12 ps. Maximum time-delay error was measured to be -1.74 ps and +1.14 ps at a radiation angle of $46.05^{\circ}$, corresponding to error range of $-2.87^{\circ}\sim+1.88^{\circ}$. By measuring time-delays at six different RF frequencies from 5- to 10-GHz, we verified the true time-delay characteristic of our OTTD.

An Efficient Distributed Delay-Constrained Unicast Routing Algorithm (지연시간을 고려한 효율적인 분산 유니캐스트 라우팅 알고리즘)

  • Shin, Min-Woo;Lim, Hyeong-Seok
    • Journal of KIISE:Information Networking
    • /
    • v.29 no.4
    • /
    • pp.397-404
    • /
    • 2002
  • We propose a heuristic distributed unicast routing algorithm for minimizing the total cost of the path in a point to point network with do]ay constraint. The algorithm maintains a delay vector and a cost vector about the network states and finds the path using this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show that our algorithm always finds a delay-constrained path if such a path exists and has O(│E│) message complexity(│E│is the number of links in the network). Also,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has better cost performance than other delay-constrained routing algorithms.

An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s of Fast Handovers for Mobile IPv6 (Fast Handovers for Mobile IPv6 구현 및 성능 평가)

  • 김용성;권동희;서영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c
    • /
    • pp.4-6
    • /
    • 2004
  • 이동 장치의 발전과 인터넷의 급격한 성장에 따라, 호스트의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해 IETF에서는 Mobile IPv6를 제안하였다. Mobile IPv6는 노드의 위치 및 이동성 관리를 통해 호스트에게 끊김없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Mobile IPv6에서는 노드가 이동하는 동안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없는 시간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것을 핸드오버 지연 시간이라 한다. Mobile IPv6는 VoIP와 같은 지연 시간에 민감한 트래픽을 지원하기에는 핸드오버 지연 시간이 크다. FMIPv6는 이러한 지연 시간을 줄이고자 제안된 프로토콜로서 두 가지 모드, 즉 predictive 모드와 reactive 모드가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FMIPV6 구현을 통해 기존의 MIPv6와의 핸드오버 성능을 실제 테스트베드 네트워크에서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reactive FMIPv6가 기존의 MIPv6보다 predictive FMIPv6가 reactive FMIPv6보다 더 좋은 성능을 보여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FMIPv6 역시 지연 시간에 민감한 트래픽을 지원하기에는 부족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

The effect of immediate and delayed recognition on Event-Related Potentials in a continuous recognition memory task (연속재인과제에서 즉각적 재인과 지연 재인이 사건관련전위에 미치는 영향)

  • 김명선;조상수;권준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5a
    • /
    • pp.55-60
    • /
    • 2000
  • 연속재인과제에서 자극을 즉각적으로 반복 제시하거나 지연 반복 제시할 경우 사건관련전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만약 차이가 관찰되면 자극 제시 후 어느 시점에서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지를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즉각적 재인이 지연 재인에 비해 더 높은 반응정확율과 더 빠른 반응시간을 보였고 사건관련전위에서는 P300의 진폭이 더 컸고 잠재시간도 더 빨랐다. 그리고 지연재인에서 관찰되는 N400이 즉각적 재인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연재인에 비해 즉각적 재인에서 P300의 진폭이 더 크고 잠재시간이 더 빠르게 나타난 것은 P300이 template matching을 통한 정보처리 과정을 반영해 준다는 주장을 지지해 준다. 즉 즉각적 재인에서는 지연 재인에 비해 template matching이 훨씬 더 정확하고 빨리 일어나며 이 결과 P300의 진폭이 커지고 잠재시간이 더 빨라진 것으로 이해된다. 즉각적 재인에서는 방금 제시된 자극(시간 간격은 2초)을 재인하기 때문에 기억의 탐색 과정이 요구되지 않는 반면 5개의 간섭 단어 후에 반복 제시되는 단어를 재인하는 지연 재인에서는 단어에 대한 탐색 과정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N400이 초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 결과는 N400이 기억 탐색 과정을 반영한다는 주장을 지지해 준다. 사건관련 전위에서 즉각적 재인과 지연 재인의 차이는 자극 제시 300ms에서 450ms사이에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