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연시간 보정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34초

GPS/INS 통합시스템의 측정치 시간지연오차 보상 (Measurement Delay Error Compensation for GPS/INS Integrated System)

  • 유준;임유철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1권1호
    • /
    • pp.1-8
    • /
    • 2004
  • INS는 위치, 속도 및 자세정보를 고속으로 제공하며 스스로 항법정보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으나 오차가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GPS는 데이터를 저속으로 제공하며 재밍(Jamming)에 영향을 쉽게 받으나 오차가 시간에 상관없이 일정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호보완적인 특성을 가지는 INS와 GPS를 통합하였을 때 더욱더 정확한 항법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INS와 GPS를 통합하는 과정에서 INS정보와 GPS정보의 정확한 시각적 동기가 어려우며, 시각적 비동기에 의한 오차는 일정한 측정오차를 유발하며 고속으로 운항하는 경우에는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는 GPS/INS 통합항법 시스템에서 측정치 시간지연에 의해 유발되는 오차를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해 바이어스 분리형 칼만필터를 이용한 시간지연오차 보상기법을 강결합 방식과 약결합 방식에 대하여 각각 제안하였다. 각각의 통합모델에서 위치와 속도보정의 측정방정식을 지연시간에 관하여 선형화하였고 지연 상태변수를 기존의 선형 오차방정식에 추가하고 바이어스 분리형 칼만필터를 적용하여 시간지연을 초기에 추정하여 보상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성능을 검증하였다.

H.264/AVC 표준의 디블록킹 필터를 가속하기 위한 ASIP 설계 (An ASIP Design for Deblocking Filter of H.264/AVC)

  • 이형표;이용석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5권3호
    • /
    • pp.142-148
    • /
    • 2008
  • 복호된 영상의 블록 경계에서 발생하는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 사용된 H.264/AVC 표준의 디블록킹 필터는 개선된 품질의 영상을 제공하지만, 이에 사용되는 복잡한 필터링 연산은 복호기의 처리 시간을 지연시키는 주된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필터링 연산을 더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명령어를 제안하고 ASIP을 구성하여 디블록킹 필터를 가속하였다. LISA를 이용하여 MIPS 기반의 기준 프로세서를 설계하고 디블록킹 필터 모델을 시뮬레이션하여 제안하는 명령어 적용에 따른 실행 사이클의 성능 향상을 비교하였으며, 설계된 기준 프로세서를 CoWare의 Processor Designer를 통해 HDL을 생성하고 Synopsys의 Design Compiler를 이용하여 TSMC 0.25um 공정으로 합성하고 제안하는 명령어를 추가할 경우에 대해 면적 및 동작 지연시간 등을 비교하였다. 합성 결과, 제안하는 명령어 셋을 적용함에 따라 면적 및 동작 지연시간에서 각각 7.5%와 3.2%의 증가를 보였으며, 이로 인해 실행 사이클 면에서는 평균 18.18%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유전자 알고리즘 기반의 수동측거소나 부배열 위치오차 추정 (Position error estimation of sub-array in passive ranging sonar based on a genetic algorithm)

  • 엄민정;김도영;박규태;신기철;오세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630-636
    • /
    • 2019
  • 수동측거소나는 잠수함 플랫폼의 좌/우현에 각각 3개의 부배열로 구성된 수동소나의 한 종류로서 표적을 탐지하고 방위와 거리를 산출하는 특성을 갖는다. 방위와 거리 산출에는 물리적인 부배열 위치로 인하여 발생되는 시간지연과 삼각측량 기법이 활용된다. 이러한 기법에는 부배열의 정확한 위치정보가 요구되며 부배열의 위치정보가 부정확할 경우 방위와 거리정확도 성능이 저하되는 한계가 있다. 특히 하나의 시간지연을 사용하는 방위보다 두 개의 시간지연 값을 사용하는 거리 정확도 성능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부배열의 위치 오차 추정 및 오차보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최적화 탐색 기법인 유전자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부배열 위치오차를 추정하며, 위치오차로 인한 시간지연 오차 값을 보상하여 거리정확도 성능 개선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해상시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시한 알고리즘과 성능을 검증하고자 한다.

머신비전검사를 위한 기하학적 특징 기반 지능 패턴 정합 (Intelligent Pattern Matching Based on Geometric Features for Machine Vision Inspection)

  • 문순환;김경범;김태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1-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인쇄회로기판을 위한 자동 광학 검사시스템에서 핵심적인 기능인 보정 데이타 산출을 위한 기하학적 특징 기반 방법을 제안하였다. 현재 적용되고 있는 자동 광학 검사 시스템에서는 보정데이타 산출을 위해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모델을 설정하고 있고, 검사영상에 기하학적인 변화가 있는 경우 비검사영역이 생기는 등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는 검사 작업의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게 됨은 물론 검사 처리 시간을 지연시키는 요인이 된다. 제안된 방법은 주어진 PCB 영상으로부터 기하학적인 모양이 적합한 모델을 자동으로 선정할 수 있고, 기하학적인 모델 매칭 기법을 통해 신뢰성 있는 보정데이타를 산출할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의 사용으로 검사 시스템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수작업에 의한 모델설정으로 발생되는 불필요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기하학적인 변화량에 관계없이 보정데이타 산출이 가능하고, 잘못된 모델 선정 등 부정확한 보정데이터의 사용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 PDF

레이저유도 플라즈마분광법을 이용한 방사성폐기물 유리의 현장분석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in-situ Analysis System for Radwaste Glass Using Laser Induced Breakdown Spectroscopy)

  • 김천우;박종길;신상운;하종현;송명재;이계호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4년도 학술논문집
    • /
    • pp.137-146
    • /
    • 2004
  • 방사성폐기물 유리화 공전 중 용융로 내에서 유리시료를 직접분석 하기 위한 레이저유도 플라즈마분광법(LIBS: Laser Induced Breakdown Spectroscopy)을 개발 중이다. LIBS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하여 분광기, 검출기, 레이저 등의 장비들을 구축하였다. 분광기는 CCD(charge coupled device)가 보정되어 내장되어있는 ESA 3000을 레이저는 Q-switched Nd-YAG인 Brilliant로 구매하여 분석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분석시스템 분야별 성능들을 확인하였으며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 번째 단계로 Fe가 함유된 시료에 레이저를 주사하였을 때 발광스펙트럼을 측정하였으며 검출기의 지연시간을 변화시켰을 때의 발광스펙트럼의 특성과 이를 이용한 여기온도를 Einstein-Boltzmann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시료에 532nm Nd-YAG 레이저를 주사하고 검출기의 지연시간을 500, 1000, 1500, 2000ns로 변화시켰을 때의 분광선의 intensity 및 여기온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검출시간이 1500㎱ 일 때 여기온도는 7820k로 가장 최적의 상태를 확인하였다. 향후 이 시스템은 유리화 실증시설에 적용되어 용융로 외부로의 유리시료 이송 없이 현장에서 유리성분들의 정량분석을 수행할 예정이다.

  • PDF

QoS 기반의 미디어내 동기화 설계 (The Design of Intramedia Synchronization based QoS)

  • 박홍진;이준연;김창민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8호
    • /
    • pp.2042-2049
    • /
    • 1999
  • 멀티미디어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기존 데이터 통신과 비교하여 멀티미디어 통신은 여려 가지 요구사항을 지원해야한다. 특히, 분산 환경에서 연속적으로 생성된 미디어를 목적지에서 시간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재생시킬 수 있는 동기화 메커니즘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문제이다. 그런, 생성지에서 일정하게 생성된 미디어는 전송 에러나 네트워크 전송 지연시간 때문에 목적지에서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재생을 보장받지 못한다. 본 논문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오디오나 비디오 같은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연속적인 재생을 보장하기 위해 미디어내 동기화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모델은 QoS 기반의 버퍼크기와 재생 보정 알고리즘을 통해 목적지에서 연속적인 미디어 재생을 보장한다.

  • PDF

채널 부정합 보정 회로를 가진 3-GSymbol/s/lane MIPI C-PHY 송수신기 (A 3-GSymbol/s/lane MIPI C-PHY Transceiver with Channel Mismatch Correction Circuit)

  • 최석원;송창민;장영찬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1257-1264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산업 프로세서 인터페이스(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의 C-PHY 사양 버전 1.1을 지원하는 3-GSymbol/s/lane 송수신기가 제안된다. 제안한 송수신기는 3 개 채널에서 3 개 레벨 신호의 사용으로 인해 저하된 신호 보존성을 개선하기 위해 채널 부정합 보정을 수행한다. 제안된 채널 부정합 보정은 수신기에서 채널 부정합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송신기에서 전송 데이터의 지연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수행된다. 수신기에서 채널 불일치 검출은 송신기로부터 전송된 정해진 데이터 패턴에 대하여 수신된 신호의 위상을 비교함으로써 수행된다. 제안된 MIPI C-PHY 송수신기는 1.2 V 공급 전압의 65 nm CMOS 공정을 사용하여 설계되었다. 각 송수신기 레인의 면적과 전력소모는 각각 0.136 ㎟와 17.4 mW/GSymbol/s이다. 제안된 채널 부정합 보정은 채널 부정합으로 인한 88.6 ps의 시간 지터를 34.9 ps로 줄인다.

십진수 계산을 위한 3초과 부호 가감산기 설계 (An Excess-3 Code Adde $r_{}$tracter Design Decimal Computation)

  • 최종화;한선경;유영갑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0권6호
    • /
    • pp.32-38
    • /
    • 2003
  • 인간 친화적인 10진 계산을 위한 3초과 십진 가·감산기 회로를 제안한다. 십진 회로를 이용한 계산 시속도 문제는 carry lookahead (CLA) 회로를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제안하는 3초과 십진수 가산기 설계에서는 CLA와 함께 보정회로 및 변환회로를 개선함으로서 지연시간을 줄일 수 있다. 3초과 코드를 사용함으로서 감산과정에서 가산기만을 사용하여 계산을 할 수 있다 이 3초과 십진 가ㆍ감산회로는 기존의 설계에 비하여 상당한 속도 개선효과를 얻게 해준다.

3.3V 8-bit 200MSPS CMOS folding/interpolation ADC의 설계 (Design of a 3.3V 8-bit 200MSPS CMOS folding/interpolation ADC)

  • 송민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8권3호
    • /
    • pp.44-4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CMOS로 구현된 3.3V 8-bit 200MSPS의 Folding / Interpolation 구조의 A/D 변환기를 제안한다. 회로에 사용된 구조는 FR(Folding Rate)이 8, NFB(Number of Folding Block)가 4, Interpolation rate 이 8이며, 분산 Track and Hold 구조를 회로를 사용하여 Sampling시 입력주파수를 Hold하여 높은 SNDR을 얻을 수 있었다. 고속동작과 저 전력 기능을 위하여 향상된 래치와 디지털 Encoder를 제안하였고 지연시간 보정을 위한 회로도 제안하였다. 제안된 ADC는 0.35㎛, 2-Poly, 3-Metal, n-well CMOS 공정을 사용하여 제작되었으며, 유효 칩 면적은 1070㎛×650㎛ 이고, 3.3V전압에서 230mW의 전력소모를 나타내었다. 입력 주파수 10MHz, 샘플링 주파수 200MHz에서의 INL과 DNL은 ±1LSB 이내로 측정되었으며, SNDR은 43㏈로 측정되었다.

이종 무전기의 통신접속지연차에 따른 음성통신성능 개선 연구 (Heterogeneous Study of Voice Communication Delay According to Connection Delay Difference of Heterogeneous Radios)

  • 박진희;이순화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9-35
    • /
    • 2013
  • 우리나라 재난관리 기관에서는 재난발생시 대응활동을 위해 이종의 재난통신 무전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무전기들은 통신 방식에 따라 각기 다른 통신접속지연을 보이므로 이들 간에 원활한 음성통신을 위해서는 시간차에 따른 보정기술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아날로그와 디지털 그리고 직접 통신과 기지국 통신에 따른 각각의 통신지연에 따른 무전기간 음성 전송권 획득 및 음성데이터의 손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