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연시간 보정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4초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을 위한 보정적 동기화 알고리즘 (A Compensative Synchronization Algorithm for Multimedia Presentation System)

  • 정희경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123-129
    • /
    • 1995
  • 본 논문은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보정적 동기화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이다.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에서 표현되는 미디어들의 지연시간을 미리 예측하여 보정해 줌으로써 지연시간을 최소화하는 보정적 동기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이 보정적 동기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텍스트, 라스터 그래픽스, 도형 그래픽스, 오디오와 같은 미디어 객체를 갖는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 PDF

시간 지연차를 이용한 표적의 위치 추적 (A Position Estimation Using Time Delay Difference)

  • 윤동욱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7권 2호
    • /
    • pp.197-200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방법에 의해 추정된 시간 지연의 차를 이용하여 표적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표적 위치를 추정하는 알고리즘의 전단에서 시간 지연의 차를 보정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후단에서 칼만 필터로 smoothing을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 방법을 사용하여 최소 2N-2개의 시간 지연 차를 이용하여 표적의 위치를 보다 정확히 추적할 수 있다.

  • PDF

관측위치오차와 시간지연오차를 보정하는 소나방위정확도 측정 장비 구현 (Implementation of Sonar Bearing Accuracy Measurement Equipment with Parallax Error and Time Delay Error Correction)

  • 김성덕;김도영;박규태;신기철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245-251
    • /
    • 2019
  • 소나방위정확도는 소나에서 예측한 표적방위와 실 표적방위와의 일치성을 나타내며 측정을 통해 구해진다. 하지만 소나방위정확도 측정 시에는 복잡하고 다양한 환경 요인이 작용하는 해상에서 이루어지는 관계로 여러 오차가 결과에 포함된다. 특히 GPS 수신장치와 소나센서 위치 차이로 발생하는 관측위치오차와 수중 음파 속도와 공기 중 전자파 속도 사이에서 발생되는 시간지연오차는 정확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이런 관측위치오차와 시간지연오차를 자동화도구 없이 보정하는 것은 많은 노력이 들어가는 작업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측위치오차와 시간지연오차를 보정하는 소나방위정확도 측정 장비를 제안하였다. 실험은 모의데이터와 실 해상데이터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실험 결과 관측위치오차와 시간지연오차가 시스템적으로 보정되어 모의데이터인 경우 51.7%, 실 해상데이터인 경우 18.5% 이상 보정됨을 확인하였다. 제안한 방법을 통해 향후 소나시스템 탐지성능 검증의 효율성 및 정확성 향상을 기대한다.

인터넷 시각동기 클라이언트를 통한 안정적 시각오류 보정 방법 (A Stable Time Error Correction using Time Synchronization Client over Internet)

  • 강봉호;민충식;이영종;김영호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3)
    • /
    • pp.543-545
    • /
    • 1999
  • 컴퓨터 시스템은 주파수를 제공하는 수정발진자의 환경적 요인에 의한 오차 등으로 인해 정확한 시각을 유지하지 못한다. 정확한 시각 유지를 통해 외부 시각원으로부터 시각신호를 받아 로컬 시스템의 시각오류를 보정하는 시각동기 클라이언트를 이용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정밀도 향상을 위해 다중서버 선택기능을 보강하였고, 지연시간에 따른 시각원의 가중치를 적용하였다. 특히 시각변화에 민감한 프로세스가 많은 시스템에서 시각 오류 보정시 시각의 급변은 시스템에 무리를 일으키므로 점근적 보정을 통한 안정적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축적결과기반 시각오류 보정방법을 적용하여 네트워크 지연의 급작스런 변화에도 분산을 통한 충격을 완화하여 안정적인 시각보정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시각오류 요인과 시각동기방법, 클라이언트 구현과 실험결과를 제시한다.

  • PDF

마이크로파 폴라 송신기의 시간지연 보상 알고리즘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the Compensation Algorithm of Time Delay for Microwave Polar Transmitters)

  • 김민수;이건준;이영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6권9호
    • /
    • pp.790-797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마이크로파용 소프트웨어 기반 폴라 송신기를 구현하고, 경로 간의 동기화를 분석하였다. 폴라 송신기의 위상신호와 진폭신호의 두 경로 간 시간 지연부정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순화된 보정알고리즘을 적용하였으며, 보정 전과 보정 후의 두 경로 간 동기화 결과를 비교하였다. 동기화 보정하기 전, 9.3 GHz에서 두 경로 간 지연부정합은 최대 97 nsec가 발생하였으며, 이에 따른 점유대역폭은 12 MHz이었으며, 제안한 보정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 두 경로 간 동기화를 이루었고, 점유대역폭도 기존의 3.7 MHz로 복원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LAGEOS 11 위성의 LASER 관측자료를 이용한 정밀 거리 결정

  • 김광열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1992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2권1호
    • /
    • pp.7.1-7
    • /
    • 1993
  • 위성의 정밀 거리 결정을 위해 1993년 9월 5일부터 IS일간 중국의 상해 천문대 Sheshan관측소와 장춘 인공위성 관측소에서 LAGEOS 11 (Laser Geodynamics Satellite II)에 대한 SLR (Satellite Laser Ranging) 관측을 수행하였다. SLR 관측에서는 지상의 관측소에서 발사한 LASER 펄스 (pulse)가 반사경들(retroflectors)로 둘러싸인 인공위성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RTT (Round Trip Time)를 측정하여 위성까지의 거리를 결정하는데, 관측된 시간과 거리 자료는 많은 잡음(noise)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자료를 얻기 위해서는 많은 보정이 필요하다. 관측된 시간, 거리 자료를 지상 목표물 조준(ground target ranging )에 의한 system보정, 원자시계와 GPS에서 수신된 시간과의 시간 비교, 측정된 온도, 기압, 상대 습도에 따른 대기 영향의 보정 등을 통해 오차를 줄이고 다시 LASERF beam의 대기 굴절에 따른 거리 변화 보정, 위성의 질량 중심 거리(offset) 보정, 조석력에 의한 변화값 보정, 전자기적 지연(electromagnetic delay)에 의한 상대론적 보정등을 통해서 정밀한 거리 자료를 얻었다.

  • PDF

Deep Q 학습 기반의 다중경로 시스템 경로 선택 알고리즘 (Path selection algorithm for multi-path system based on deep Q learning)

  • 정병창;박혜숙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50-55
    • /
    • 2021
  • 다중경로 시스템은 유선망, LTE망, 위성망 등 다양한 망을 동시에 활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으로, 통신망의 전송속도, 신뢰도, 보안성 등을 높이기 위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 시스템에서 각 망의 지연시간을 보상으로 하는 강화학습 기반 경로 선택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의 강화학습 모델과는 다르게, deep Q 학습을 이용하여 망의 변화하는 환경에 즉각적으로 대응하도록 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보상 정보를 일정 지연시간이 지나야 얻을 수 있으므로 이를 보정하는 방안 또한 함께 제안하였다.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분산 데이터베이스와 텐서플로우 모듈 등을 포함한 테스트베드 학습 서버를 개발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 알고리즘이 RTT 감소 측면에서 최저 지연시간을 선택하는 방안보다 20% 가량 좋은 성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IGS RTS와 Ultra Rapid 실시간 성능 분석 (An Analysis on the Real-Time Performance of the IGS RTS and Ultra-Rapid Products)

  • 김민규;김정래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99-206
    • /
    • 2015
  • IGS에서는 실시간 정밀 측위에 사용할 수 있도록 궤도 예측값인 IGU (IGS Ultra-rapid)와 실시간 궤도 추정값인 RTS (real-time service) 보정정보를 제공한다. IGU는 데이터 지연시간이 없지만, RTS는 5~30 초의 지연시간을 갖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사용하기 위해선 지연시간만큼 예측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사용 측면에서 RTS와 IGU의 성능 분석을 수행하였다. 한반도 내에서 RTS 제공 비율을 파악하기 위하여 한반도에서 관측되는 위성 대비 RTS 제공 비율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 99.3%로 나타났다. RTS의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해 보정정보를 방송궤도력에 적용하여 오차를 분석하였으며 이 때 3D 궤도 RMS 오차는 0.043 m으로 나타났다. 실시간 사용 측면에서 RTS와 IGU를 비교하였는데, 실시간으로 가정하였기 때문에 IGU는 예측 정보만 이용하였고, RTS는 데이터 지연시간동안 다항식 모델로 예측을 수행하였다. RTS와 IGU를 1초 간격으로 각각 외삽, 보간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 궤도 예측 성능은 비슷하였으며 시계 예측 성능은 RTS가 0.13 m 더 뛰어났다.

WCDMA 통신용 I-Q 채널 12비트 1GS/s CMOS DAC (I-Q Channel 12bit 1GS/s CMOS DAC for WCDMA)

  • 서성욱;신선화;주찬양;김수재;윤광섭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5권1호
    • /
    • pp.56-63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WCDMA 통신용 송신기에 적용 가능한 12비트 1GS/s 전류구동 방식의 혼합형 DAC를 설계하였다. 제안된 DAC는 혼합형 구조로써 하위 4비트는 이진 가중치 구조, 중간비트와 상위비트는 4비트 온도계 디코더 구조로 12비트를 구성하였다. 제안된 DAC는 혼합형 구조에서 발생되는 지연시간에 따른 성능 저하를 개선하기 위해 지연시간보정 회로를 사용하였다. 지연시간보정 회로는 위상주파수 검출기, 전하펌프, 제어회로로 구성되어 이진 가중치 구조와 온도계 디코더 구조에서 발생하는 지연시간을 감소시킨다. 제안한 DAC는 CMOS $0.18{\mu}m$ 1-poly 6-metal n-well 공정을 사용하여 제작되었고 측정된 INL/DNL은 ${\pm}0.93LS/$ 0.62LSB 이하로 나타났다. 입력 주파수 1MHz에서 SFDR은 약 60dB로 측정되었고 SNDR은 51dB로 측정되었다. 단일 DAC의 전력소모는 46.2mW로 나타났다.

일방향 파동방정식을 이용한 복잡한 구조의 키리히호프 중합전 심도구조보정 (Kirchhoff Prestack Depth Migration for the Complex Structure Using One-Way Wave Equation)

  • 고승원;양승진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5권1호
    • /
    • pp.18-22
    • /
    • 2002
  • 단일 도달주시로서 최대에너지 도달주시는 카르히호프 구조보정을 위한 가장 적합한 연산자로 알려져 있다. 단순구조모델의 경우에 초동주시나 최대에너지 도달주시는 모두 정확한 카르히호프 구조보정 연산자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구조가 복잡하고 속도대비가 큰 모델에 대해서 초동주시를 이용한 구조보정은 정확한 심도단면도를 얻을 수 없다. 즉 카르히호프 구조보정에서 요구되는 주시는 최대에너지 도달주시이지만 이 주시는 초동주시에 비해 상당히 많은 계산시간을 요한다. 본 논문에서는 일방향 파동방정식을 이용하여 최대에너지 도달주시에 근사한 주시를 계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일방향 파동 방정식을 이용해 초동주시를 계산할 때 사용되는 WAS(Wrap Around Suppression, 두루마리현상억제)계수를 수평방향의 격자간격과 깊이에 대한 함수로 정의하고 음원 파형의 지연시간을 고려하여 최대 에너지 도달 시간에 근사한 주시를 구하였다. 이 주시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계산된 주시를 단순구조 및 복잡한 구조의 구조보정에 적용하고 그 심도단면도를 초동주시를 이용해 구한 심도단면도와 비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