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역 마케팅

Search Result 682,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The Contribution of Place Marketing to Regional Development -A Case Study on Koyang, Kyongki-Do- (장소 마케팅을 통한 지역 활성화에 관한 연구 -고양시를 사례로-)

  • 김숙진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4 no.2
    • /
    • pp.209-225
    • /
    • 1999
  • 세계화는 각 도시들이 살아남기 위해 경쟁하지 않으면 안되도록 하였고, 이러한 담론 속에서 장소는 정말로 '상품화'되고, '소비'되며, '광고'될 뿐만 아니라 '판매'되는 대상으로 간주되었다. 새로운 도시성장전략으로서의 장소 마케팅이란 공공·민간 주체들이 기업가와 관광객 심지어 그 장소의 주민들에게 매력적인 곳이 되도록 하기 위해 주로 문화적인 전략을 통해서 지역의 이미지를 제고시키고 지역의 경제 활성화를 꾀하는 다양한 방식의 노력들이라고 할 수 있다. 고양시는 지역에 특화된 화훼산업을 기반으로 한 꽃 전시회라는 지역의 작은 행사를 '고양 세계 꽃 박람회'라는 장소 마케팅으로 발전시켰다. 이것은 지역 이미지 제고, 지역정체성과 시민단합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지역경제 활성화의 측면에서는 화훼업의 특성상 국내의 전반적인 경기침체와 같은 이상 변수로 직접적인 효과는 뚜렷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경제적 효과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고양시의 사례 연구는 서구에서 발전한 장소 마케팅이 우리 나라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PDF

A Study on Place-Marketing of Regional Museum (지역박물관의 장소마케팅에 관한 연구)

  • Kim, Jin-Hy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276-279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지역박물관을 장소 마케팅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지방자치제의 시행과 지방 문화 사업 지원책에 힘입어 지역 박물관은 어느 때보다 활발히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지역 문화 시설 확충과 관광자원의 확대라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건립에만 초점이 맞춰진 현실에서 지역 박물관은 자칫 난립으로 기울 수도 있다. 재정과 인력의 부족이라는 현실적 문제에 놓인 지역 박물관은 그 아이덴티티를 확충하고 지역주민과 외부지역 방문객에게 만족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지역의 장소 마케팅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 PDF

In regional economic conditions, Women Targeted Fashion Tights, Leggings for Marketing Activation Strategy (지역경제 여건에서 여성 타깃 패션 스타킹, 레깅스 마케팅 활성화 전략)

  • Lee, Hyun Chang;Jin, Chan Yong;Xu, Chen Lin;Shin, Seong 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7a
    • /
    • pp.193-194
    • /
    • 2013
  • 사회구조의 발전과 산업의 가속화는 중앙지역과 지역경제의 경계를 더욱 분명하게 만들고 있다. 인구 밀도와 경제규모의 차이가 이를 대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의 중규모 도시에서 마케팅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여성을 타겟으로 패션 스타킹과 레깅스 등 여성용 제품에 대한 마케팅 전략을 위한 서비스 개발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역 경제를 구성하고 있는 주민의 절반인 여성고객을 대상으로 마케팅 활성화를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에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영국지역상권활성화정책:영국TCM과BID

  • Seo, Y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11a
    • /
    • pp.463-485
    • /
    • 2005
  • 2000년대 이후 영구 지방 정책의 목표는 지역의 ‘균형 발전’과 ‘지속 가능 발전’을 촉진하는 것이다. 최근 영국에서는 미국에서 도입된 BID 제도가 정부의 적절한 지원과 개발 주체들의 협업의 성공으로 영국 전역에 급속히 퍼지고 있다. 성공사례를 분석한 결과 다양한 프로젝트 참여자들의 이해관계와 참여를 조정하는 ‘프로젝트 매니저’의 역량이 가장 중요하며 영국 TCM과 BID 제도의 핵심은 지역 마케팅(place marketing)이자 지역 브랜딩 (place branding)임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의 경우 영국형 TCM과 BID가 도입되기 위해서는 정보의 섬세한 마스터 플랜과 프로젝트 ‘종합성과평가’(CPA)가 먼저 준비되어야 하며 동시에 지역 마케팅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지금보다 획기적으로 제고 시켜야 한다.

  • PDF

A Study on Marketing of Regional Museum by the VIew of Consumer Science (소비자 관점의 지역박물관의 공간마케팅에 관한 기초연구)

  • Kim, Jin-Hy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12a
    • /
    • pp.140-143
    • /
    • 2011
  • 지역박물관은 규모와 재정의 영세성이라는 한계와 더불어 수도권에 극심한 집중을 보이는 우리나라의 사회 문화적 특성에 따라 상대적으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역 박물관은 교통 수단의 발달과 지방자치제의 시행으로 낙관적인 시각에서 개관이 이루어진 경우가 많다. 그러나 저출산과 인구의 노령화 등으로 우리나라도 성장이 둔화되고 과거와 같은 성장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지역박물관은 나름의 자구책을 찾고 있는 상황이다. 문화기관의 마케팅은 과거에는 생소한 개념이었으나 치열해진 경쟁 속에서 이제는 박물관 경영의 필수 요소로 요구되는 시점이다. 본 연구는 지역 박물관의 공간 마케팅을 소비자 이해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Plan of Local Character for SNS Marketing -Focused on Korean and Japanese Local Character- (SNS 마케팅을 위한 지역 캐릭터 개발 방안 연구 -한국과 일본 지역 캐릭터 비교를 중심으로-)

  • Cho, Yoon-ju;Kim, Seung-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12
    • /
    • pp.457-462
    • /
    • 2016
  •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needs of local character design for SNS marketing and find development plan. We analyzed successful cases in Korea and Japan to find out development plan of competitive local character for SNS marketing. Method of study was literature research, case study and in-depth interview, based on component of character. These are the results. First, development of local character has to consider the use in SNS marketing. Second, local character has to be more concerned with intimacy than Symbolic. Third, it should have attractive visual, reflecting the taste of people. Fourth, it should have creative design to arouse people's curiosity. Finally, name and design of the character should be intuitive. Therefore, we expect improvement of Korean local characters, which reflect SNS marketing and current trends.

Experiential Marketing Exploratory Study for Application of the Festival (체험마케팅의 축제적용을 위한 탐색적 연구)

  • Lee, ik-su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99-400
    • /
    • 2011
  • 본 연구는 최근 활발하게 연구되어지고 있는 체험마케팅을 중심으로 이론적 내용을 살펴봄과 동시에 지역축제 적용을 위해 요인분석을 통한 축제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체험마케팅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중 감각마케팅, 감성마케팅, 인지마케팅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Strategic In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Business Performance in Incheon Free Economic Zone (인천 경제자유구역내 다국적기업의 전략적 외국인직접투자 마케팅과 성과에 관한 연구)

  • Park, Nancy;Yo, Kyongchol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6 no.1
    • /
    • pp.327-349
    • /
    • 2012
  • This paper examined the strategic in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business performance in free economic zone. attractive of segment and country's competitive advantage were as proxy for the matrix of appropriateness. The marketing differentiation, inducement promotion, incentive, and business support were as proxy for the business performance. Based on the analysis of one hundred twenty cas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First, based on the attractive of segment and country's competitive advantage, the types of four segments was drawn. Second, the segment 4 have a significantly difference on their business performance. Third, strategic foreign direct investment have a significantly high difference on their marketing differentiation but a significantly low difference on their business support. Finally, the business performance, in order of performance, have a significantly difference on their marketing differentiation, inducement promotion, incentive, and business support. Limitation and suggestions for further are also highlighted.

The Regional Mix Types and Models in Place Marketing Strategy : Focusing on Gwangju-Jeonnam Region (장소마케팅 전략의 지역믹스 유형 분석과 시론적 모델 연구 - 광주.전남 지역을 사례로 -)

  • Lee, Mu-Y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5 no.2
    • /
    • pp.226-249
    • /
    • 2009
  •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regional mix types and models of place marketing strategy. For this purpose, eighty seven cases of place marketing in Gwangju-Jeonnam region during the last two years are reviewed, Twenty seven types of regional mix are abstracted according to space, theme, subject, target, and factor. There are five spatial types(urban mix, zoning mix, zoning urban mix, package urban mix, zoning mix, and space package mix), eight thematic types(culture mix, history mix, tourism mix, industry mix, administration mix, environment mix, transportation mix, and PR mix), five subject types(central government led public mix, local government led public mix, enterprise led private mix, civil society led private mix, and private public partnership mix), four target types(resident mix, tourist mix, enterprise mix, and common mix), and five factor types (organization mix, image mix, point mix, target mix, and channel mix). In the basis of these types, the twenty two primary model of regional mix, and the one hundred twenty six secondary model of regional mix are established.

  • PDF

Research on Utilization of Boryeongmud Marketing through SNS(Social Network Service) Marketing (SNS마케팅을 통한 보령머드 마케팅 활용방안 연구)

  • Choi, Moon-He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a
    • /
    • pp.169-172
    • /
    • 2012
  • 본 연구는 지식경제부 지역연고육성산업인 보령머드는 2011년에 참여기업인 전문마케팅사인 인포마스터(주)의 주도로 SNS마케팅을 시도하였다. 국내외 SNS마케팅 업체 중에서 국내 토종 브랜드인 위메프를 선택하였고, 연말 크리스마스 특별전의 형태로 새로운 시대에 부합하는 신매체 마케팅을 단행하였다. 홍보적 측면과 광고적 측면에서 새로운 매체를 통한 공격적 마케팅을 통하여 12,741,540건의 노출, 3,691건의 클릭, 노출대비 구매 전환율은 0.62%의 성과를 획득하였다. 이것을 기반으로 향후 보령머드의 마케팅에 있어서 중요한 진단도구로 활용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