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 개발

Search Result 12,966, Processing Time 0.056 seconds

A Design of Region-Development Plan Support Processor Using Knowledge Discovery in Database (지식발견(KDD)을 응용한 지역개발계획수립 지원 프로세서의 설계)

  • 한상진;김호석;김성희;배해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187-189
    • /
    • 2004
  • 최근 정보기술의 가속적인 발전과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으로 인하여 우리는 다양하고 방대한 양의 지역정보를 접하고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개발사업을 추진하는데 있어서 계획수립이 차지하는 중요성이 매우 큼에도 불구하고 지역을 대표하는 객관적이고 유용한 정보를 찾아내어 지역개발계획수립에 활용하는 예는 거의 없었다. 이에 여러 곳에 산재되어있는 지역정보들을 통합하여 관리하고 이러한 대량의 지역 데이터들로부터 지역을 특징지을 수 있는 보다 현실적이고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거나 생성하여 지역정보 분석에 활용하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지역개발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방대한 양의 데이터로부터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고 발견하는 지식발견(KDD : Knowledge Discovery in Database)(1) 프로세서의 전체과정에 지역개발계획 수립 목적에 맞추어 지역개발이론에 기초한 지역정보 분석과정을 삽입함으로써 보다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지역개발계획이 수립되도록 지원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설계한다.

  • PDF

A study on the Adequacy about the Establishment of the Planning Region in the Spatial Policy of Underdevelopment Regions (낙후지역개발사업의 공간단위 설정에 관한 연구)

  • 이정섭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4.05a
    • /
    • pp.63-63
    • /
    • 2004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낙후지역개발사업들에 있어 개발계획지역에 대한 공간단위 설정의 적합성과 계획공간단위와 실제 공간간의 불일치에 대한 연구이다. 지역개발에 있어 그 대상이 되는 지역은 개발의 목표 달성을 위해 그에 상응하는 적합한 공간단위로 설정될 필요가 있다. 현행의 여러 낙후지역개발사업들은 개발계획지역 공간단위 설정이 법률, 정책, 제도, 주체별로 다양한 범위와 편차를 보이고 있고, 그 적합성과 효율성에 대한 논의들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중략)

  • PDF

The development environment of Yong Yeon cave in Tae Back (태백시 용연동굴의 개발환경)

  • 홍충열;권동희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41 no.42
    • /
    • pp.55-68
    • /
    • 1995
  • 지자제 시행에 앞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경제 자립도나 지역개발에 있어 관심이 집중되는 지역중의 하나가 바로 이 태백시 지역이다. 이 연구는 태백시의 가장 현실적인 당면 과제의 하나인 지역개발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이 지역의 개발에 따르는 환경조건을 검토한 연구이다. 물론 이에 앞서 본 학회에서 주관, 조사하였던 이 용연동굴에 있어 개발의 조건을 조사한 일부를 다시 재정리하여 여기에 소개하는 바이다.(중략)

  • PDF

Multipurposed Detention Pond Design for Improve Watershed Management

  • Park, Dae-Ryong;Jang, Suk-Hwan;Roesner Larry 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880-1884
    • /
    • 2006
  • 도시 지역 개발후 하류지역에 유출량의 증가로 인해, 첨두유량의 완화는 도시 호우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고려 대상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설계기준의 호우에 대해서 개발지역의 첨두유량이 개발전의 첨두유량을 넘지 않도록 설계한다. 유수지는 오리피스와 위어를 이용하여 높은첨두율을 개발전의 첨두유량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비싼 토지비용 때문에 한국에서 도시지역의 유수지 사용은 그렇게 일반적이지 않다. 따라서, 많은 도시 지역이 개발로 인한 유량의 증가를 겪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새로 개발된 한국의 울산 화봉지역의 11 ha 소유역에서 첨두유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어떻게 유수지와 오리피스와 위어를 설계하는지 조사하였다. 이 지역은 새로 개발된 한국의 도시지역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지역으로 고려됐으며, 유수지는 2년 빈도, 10년 빈도 그리고 100년 빈도의 설계 강우에 대한 첨두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설계 유수지 모의를 위하여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SWMM)의 윈도우 최신 버전인 5.006a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얼마만큼의 유수지 면적이 다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지 제시하려 하였다.

  • PDF

지수분해분석을 적용한 지역별 연구개발 투자 요인 분석

  • Jang, Han-Su;Lee, Ju-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3-11
    • /
    • 2017
  • 한국의 지역별로 특화된 과학기술 연구개발과 투자가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연구개발 특구로 지정도 확대되었다. 광역시도별 연구개발 투자가 확대되는 분위기에서 각 지역별 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학술적 검토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수분해분석(Index Decomposition Analysis) 방법론을 적용하여 광역시도의 연구개발 투자 요인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통계청에서 발행된 2010~2015년 동안 지역별 인구, 연구원수, 연구개발 투자비 등이다. 분석 결과 대전, 서울, 경기 지역의 연구개발 투자 증가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지역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소규모 개발지역의 토사재해예측에 관한 연구

  • Park, Ki-Bum;Park, Eun-Yeong;Cha, Sang-Hwa;Kim,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12-515
    • /
    • 2012
  • 최근의 재해 발생은 하천에 의한 범람, 제방의 붕괴 등에 의한 피해발생보다는 일정지역에 국한적으로 내수배제 불량, 토사유출, 산사태 등으로 인한 피해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나 도시지역과 신규개발지역을 중심으로 집중호우로 인한 토사유출 등으로 인한 배수로 막힘, 산사태등의 2차적인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2011년의 서울의 우면산 산사태 등과 같은 도시중심에서의 피해와 강원도 등의 신규개발지역에서의 토사로 인해 2차, 3차 피해는 국지적이고 예측이 불가능한 곳에서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토사유출, 산사태에 의한 예측기법은 최근의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해 보다 다양한 방법의 접근들이 시도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기법들이 개발되고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지지형의 소규모 개발지의 토사재해의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GIS 기술을 이용한 사면의 안정성과 산사태 위험성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Pack et al. (1998)이 제안한 수리적 무한사면 안정모델과 결합하여 사면안정분석을 위해 개발된 SINMAP을 이용하여 소규모 개발지역의 토석류 해석과 사면의 안정성 검토 그리고 범용토양공식을 이용하여 토사유출량을 산정하여 개발지역내 사면 및 토사재해의 위험성을 평가하였다. GIS를 이용한 지형적 특성에 따른 사면의 위험성과 토사유출량 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소규모 개발지역의 토사재해의 위험성을 정량적이고 다각적으로 평가하여 재해발생에 따른 위험성을 노출하고 이에 대한 대책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Regional Disparities and Balanced Development Strategy in North Korea (북한의 지역격차와 균형개발전략)

  • 이재하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1
    • /
    • pp.77-93
    • /
    • 2000
  • 본 연구는 북한의 지역격차를 분석하고,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에 대한 개발전략으로서, 북한의 경제발전을 위해 확대.설치가 불가피한 경제특구와 연계하여 지역균형개발전략을 모색해 보았다. 북한의 지역간 인구성장 분석에 의하면, 북한은 지역균형개발정책에도 불구하고, 종주도시 평양과 여타 지역간에 극심한 지역격차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경제특구는 낙후된 지역 즉, 평양을 제외한 여타 지역에 고르게 입지하는 전략이 요구된다는 점을 가조하였다. 그리고 경제특구는 북한의 보유자원 관점에서 노동집약적인 가공공업형 경제특구와 관광형 경제특구로 나누어 추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입지 후보지로는 신의주.남포.해주.청진.김책.함흥.원산 등의 지구는 가공공업형 경제특구로, 금강산.백두산.묘향산 등의 지구는 관광형 경제특구로 적합하다고 제안하였다.

  • PDF

Tourism Development in the Eastern Part of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수도권 남동부지역의 관광개발)

  • Kim, Won-Jin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81
    • /
    • pp.75-77
    • /
    • 2007
  • 관광의 활성화에서 지방정부 및 지역사회의 관심은 절대적인 요소에 해당한다. 수도권 동부지역은 관광서비스와 관련하여 지방정부 및 지역사회의 관심이 부족하다고 판단된다. 지속적인 관광의 활성화보다는 일시적이고 가시적인 관광효과에 치중한다고 판단된다. 지속 가능한 관광개발은 가시적 효과보다는 지역의 잠재력을 최대화할 수 있는 측면에 초점을 두는 것이 바람직한데, 연구지역은 이러한 지속적인 관광개발이 체계적으로 전개되지 못하고 있어, 향후 관광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의 모색이 요구된다.

체계동태기법을 이용한 지속 가능한 지역발전 전략 평가모형의 정립과 적용 - 담양군 대나무 신산업 육성전략의 파급효과 분석

  • Jeong, Hoe-Seong;Jeon, Dae-Uk;Kim, Byeon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ystem Dynamics Society
    • /
    • 2006.04a
    • /
    • pp.79-100
    • /
    • 2006
  • 지역개발과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전략의 수립을 위해 지역의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특성을 통합한 지속가능발전 모델을 구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지속가능발전 전략의 모색과 관련정책의 파급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이러한 통합모델의 개발과 적용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높은 환경질을 유지하고 대나무와 같은 생태자원을 육성함으로써 생태관광과 대나무신산업 등의 새로운 지역개발 정책을 수행하는 전라남도 담양군을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 체계동태모형을 구축한다. 담양군 사례분석의 결과는 죽림육성 정책과 대나무신산업과 같은 지역특화산업에 대한 기술개발 및 각종 재원의 병행이 인구유입과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매우 효과적임을 제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지역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시스템적 사고를 통해 지역개발에 있어서 지역의 환경적 특성을 살린 생태자원의 육성과 적절한 산업정책을 병행하는 생태발전 전략이 지역의 지속가능발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PDF

동서 광역개발 협력체계구축 방안 - 광양만, 진주권 개발을 중심으로 -

  • Mun, Deok-Hyeong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2
    • /
    • pp.59-79
    • /
    • 1998
  • 전라남도와 경상남도는 강 하나를 사이에 둔 아주 가까운 이웃이며, 주민생활권이나 지역경제권이 상로연계성을 갖고 있다. 뿐만아니라 사회, 경제 문화와 보유자원의 여러 측면에서도 상로 본완적 성격을 갖고 있는 지역이다. 따라서 대승적 차원에서 볼 때 국토의 균형박전을 도모하고 진정한 동서화합을 위해 상로연계성을 갖고 있는 광양만, 진주권 광역새발을 공동으로 추진하여 동시화합의 대전기를 마련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동서지역의 광역개발 필요성을 요약하면, 첫째, 최근 일정지역의 행정구역을 넘어서 인구와 물자 및 자원의 이용이 활발하게 이러나고 있어 통합적 계획 및 집행이 요구된고 있다. 따라서 광양만 진주권개발은 2개도에 걸쳐 광역개발권역을 설정한 우리나라 최초의 시범적인 계획으로써 세계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다. 둘째,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신산업지대의 조성과 연계교통망의 구축이 요망된다. 셋째 국토균형발전을 위해 수도권에 대응한 지방거점 도시권의 육성이 팽배하며, 넷째, 중북투자를 피하고 상호보완적인 기능을 극대화하여 진정한 동서화합에 대한 시대적 여청이 증대되고 있는 시절이다. 따라서 광양만 진주권 광역개발의 기본구상은 우선 경제적 물리적통합으로 실절적인 동서이익을 보색하는 차원에서 추진되어야 한다. 그리고 광양함을 국제물류의 중심지로 확충하고 주변지역에 대규모 물류 유통 및 국제기능을 유치하여 국제적 교류거점으로서의 기반 조성을 강화 하여야 한다. 또한 국제관광벨트 및 신산업지대의 형성과 함께 세계화 고속화에 걸맞는 교통기반시설을 정비하는 한편 자연친화적인 개발전략을 이룩함으로써 지구촌 경제하에시 지역균형개발과 지역의 국제경쟁역 확보차원에서 실현되어야 한다. 나아가 과양만권과 진주권의 경제 사회적인 통합을 달성함으로써 국민적 염원인 동서화합의 장으로 승화 발전 시킬 수 있도록 공간구조 및 기능의 분담배분이 요구된다. 기능은 동시지역을 연결하는 통합적인 기능 분담으로 과양만은 생산 및 물류지원기능의 강화와 전주 사천권은 첨단산업 연구 및 지원기능의 강화차원에서 배분이 요구된다. 이러한 광역개발계획이 세계적으로 추진될 때에 진정한 동서화합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도서화합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광역개발을 실펀하기 위한 제도적인 협력체계의 구축이 요구된다. 동서지역의 광영개발을 위한 협력체계의 구축 방안은 첫째, 양 지역간에 협약제도르 도입함으로써 광역개발의 집행력을 강화하여야 한다. 즉, 개별 개발사업별로는 협약이 체결됨으로써 자치단체간의 역활분담이 분명하고 여차별 예산의 확보는 물론 사업시행이 구체화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는 양 자치단체간의 광역행정을 진담하는 기구의 절차가 필요한다. 광역개발 계획 추진 뿐만아니라 실질적으로 양권역이 공존공영을 위해 필요한 사업들을 추진 할 수 있도록 협의회 기능을 보완한 새로운 전담기구의 설치가 필요하다. 셋째. 광양만 진주권 광역개발 계획은 동서지역의 화합이라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중앙정부는 동서지역간의 진정한 화합을 유도하기 위해 제주도개발 특별법과 같은 �G동서지역개발 특별법�H을 제정하여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개발을 유도 하여야 한다. 지역발전을 이룩할 수 있도록 자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