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혁신지원체제

Search Result 3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지역산업진흥과 지역기술지도와의 연계

  • Lee, Gyeong-Mi
    •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 /
    • 2005.06a
    • /
    • pp.33-45
    • /
    • 2005
  • 현재 지역산업진흥계획이 수립되기까지 수도권 억제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 및 법령들이 수립${\sim}$제정되어 왔으나, 그 성과는 미흡하였고, 첨단산업과 지역의 발전을 함께 추구한 과학기술 집적지 조성정책도 연구기관과 산업체간의 기술개발에 대한 수급의 불일치, 지역별 특성화와 차별화 미흡, 사업간 연계성 부족 등으로 성과는 미약하였다. 중앙 부처에서 다양한 지역산업 관련 기술개발 지원사업도 전개해 왔으나, 부처별로 독자적으로 사업을 추진하여, 정책 상호간의 연계성이 부족하고 투자 효율성이 저조하여, 산업자원부에서 산업발전법에 근거하여 2002년 '지역산업진흥계획'을 수립하였다. 이 계획은 지역별 전략산업을 중심으로 한 지역혁신체제 구축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지역의 내생적 성장을 위한 네트워크 형성, 투입요소 증대에서 지역 산업경쟁력 강화로의 전환,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공동 계획입안 등에서 기존의 정책들과 차이를 보인다. 지역산업정책의 최종목표는 '지역균형발전'이며, 중간목표는 '지역산업의 활성화'라고 할 수 있다. '지역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기본전략으로 '3개 권역별 전략산업 집중 육성'과 '제도적 기반 구축'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기본전략은 매우 포괄적이어서 정책수단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본전략 하에 추진하고자하는 사업들을 검토하고 평가의 목적에 맞게 유형화함으로써 동지역균형발전과 지역경쟁력의 강화이며, 그 기본전략으로는 지자체의 역할제고를 바탕으로 한 전략산업 중심의 지역혁신체제(Regional Innovation System : RIS) 구축을 제안하고 있다. 지역 내에서는 각 조직 간의 역할분담이나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아 인력과 재원 및 특정분야에 대한 중복투자 문제가 지적되고 있으며 각각 소규모여서 규모의 경제효과를 꾀할 수 없고 경제적 효과가 가시화되는 데에는 오랜 시일이 걸리고 있고, 지역의 산업발전을 체계적으로 기획하고 지역내 다양한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총괄 추진기구가 없어 효율적인 지역산업육성에 한계가 있었다. 지방정부의 과학기술예산 및 전담조직, 산업경제예산 및 전담 조직의 부족과 미 정착으로 독자적인 지역과학기술정책이나 지역산업정책은 물론이고 지역혁신정책을 수행하기 어려웠으나, 지역의 특성과 잠재력에 맞는 사업을 발굴하여 중앙정부에 건의하고 지역 내 각 프로젝트를 총괄 조정하는 중개자 역할을 지역전략산업기획단이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지역혁신체제의 중심기관으로 중개기관과 협력 프로그램에 의한 플랫폼 구축 및 지역산업발전의 기획${\sim}$조정기구로서, 선진국의 지역발전기구(Regional Development Agency : RDA)인 지역전략산업기획단이 2002년도부터 산업자원부와 9개 시도에 의해 설립되어 지역네트워크의 활성화와 클러스터의 형성 촉진을 하게 되었고 2004년도에는 13개시도로 확대${\sim}$운영되고 있고, 지역특화사업(H/W)과 지역산업기술개발과제(S/W)와 함께 패케지 형태로 지원되며, 주요역할은 크게 지역산업의 정책기획 분야와 평가관리, 지역혁신역량 조사 및 DB구축 등으로 구분된다. 그중에서도 권역별, 지역별, 지역산업진흥사업 육성과 중장기 산업발전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지역혁신역량을 바탕으로 한 지역 Technology Road Map(TRM)작성사업은 전국공통의 1단계 사업으로 실시 ?榮쨉?, 2005년 3월 기준으로 9개 지역(강원, 대전, 충남, 충북, 경북, 울산, 전남, 전북, 제주) 26개 산업분야를 대상으로 23개가 완료된 상황이다. 이를 근거로 한 지역정책과 R&D 과제 및 필요 인프라의 도출이 체계적으로 구축되어 지역산업 발전을 위한 기술역량이 강화될 것이다.

  • PDF

Performance and Alternative Policies of Techno-Park Built-up Project in Korea (테크노파크 조성사업의 성과와 정책과제)

  • Lee, Chul-Woo;Kim, Myeong-Yeob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2 no.1
    • /
    • pp.19-37
    • /
    • 2009
  • The techno-park built-up project of Korea had begun in order to support regional enterprises since 1997. The number of techno-parks increased from 6 in 1997 to 17 in 2009 with various enterprise supporting services such as a new enterprise breeding, pilot production, and education and training. By way of renewing regional innovation promoting system, revising technopark law, and starting second step techno-park project, techno-parks have become centers for regional technology innovation, and cultivation of regional technology-based companies. Alternative policies for the development of techno-park projects are as follows: revitalizing the network among enterprises,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and government; strengthening the ability to draw up projects in nurturing regional industry; and the establishment of fixed channels to support SME in the region.

  • PDF

The Role of Government Laboratory within Small Business' Technology Support Policy;Focusing on Industry-Academy-Laboratory Collaborations (중소기업 기술지원에 있어서의 정부출연연구소의 활용문제;산학연 협력을 중심으로)

  • Jang, Ji-Ho;Lee, Byeong-Heo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4a
    • /
    • pp.107-137
    • /
    • 2006
  • 우리나라에서의 기존 산학연 협력에 관한 연구는 주로 대학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출연(연)이 지난 $30^{\sim}40$년간 연구개발 수행과정에서 축적된 혁신역량을 국가차원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최근 들어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정부출연기관에 의한 중소기업 지원의 타당성과 필요성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도출한 연구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 연구는 기존의 추상적인 정책제안을 탈피하여 1,077개의 중소기업과 13개 정부연구기관의 373명의 연구원들을 대상으로 한 광범위한 설문조사를 분석하여 중소기업이 실질적으로 요구하는 기술의 유형과 지원의 형식 및 정부연구기관의 연구원들이 체감하는 기술공급의 문제점들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설문조사결과 정부연구기관이 지역을 기반으로 한 중소기업과 대학 등 국가기술혁신체제 속의 연구개발주체들을 네트워크화 하여 기술지식과 정보의 유통, 활용을 촉진하는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지역혁신 지원 조직이 공동으로 지역 중소기업을 위한 산 학 연 종합기술지원 사업을 추진할 것을 요구함을 발견하였다.

  • PDF

지방과학기술정책의 추진현황 및 발전과제

  • Yun,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13-36
    • /
    • 2017
  •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국가전체의 경쟁력 강화는 물론, 지역의 산업과 경제를 발전시키고 국가의 균형발전을 도모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지역경제 활성화의 주역인 중소 벤처기업을 육성하고, 지역산업을 체계적으로 발전시키며, 지역주민의 생활편의 향상을 위한 각종 지역개발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서 과학기술이 핵심적인 요소이자 중요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각 국가들은 1970년대 이후 지방의 과학기술을 육성하고 지원하기 위한 지방과학기술정책을 지속적으로 수립하여 추진해 나가고 있다. 우리나라의 지방과학기술정책이 실질적으로 수립되고 추진된 것은 1990년대 초반 이후 과학기술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유효한 수단으로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경제 관련 부처를 중심으로 지역과 연계한 각종 사업들을 추진하면서 부터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과학기술의 지방화 내지 과학기술 지방분권에 관한 논의와 정책적 노력은 1995년에 도입된 지방자치제도의 본격적인 시행과 함께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진전과 발전은 아직도 여전히 미흡한 상황이다. 이는 과학기술의 연구개발과 진흥이라는 정책의 특성에 기인하기도 하지만, 지방자치단체 스스로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할 수 있는 기반과 여건이 제도적인 측면에나 실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취약하였던데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 글은 과학기술의 지방분권을 강화하여야 한다는 최근의 사회적 논의와 관련하여 지방과학기술정책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그동안의 지방과학기술정책 추진현황 및 지역의 과학기술 혁신기반과 역량을 살펴보고, 앞으로 지방 스스로가 지역의 과학기술혁신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할 수 있는 역량과 기반을 강화하는데 필요한 제도적 과제들을 검토하여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Industrial Development Direction at Transitional Periods of Industrial Structure in Chungcheongbuk-do Region (산업구조 전환기 충북지역 산업의 발전방향)

  • 한주성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6 no.2
    • /
    • pp.293-306
    • /
    • 2003
  •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change in industrial structure and industry itself, and makes suggestions for the industrial development direction at transitional periods in the Chungcheongbuk-do(province) region. Because profits of regional gross production in Chungcheongbuk-do region flow out of the region, basic industries must be brought up. For this phenomenon, main manufacturing must be developed for the industrial power of the next generation of high added values that combined with digital industry; the petrochemistry, semiconductor industry as major type of industry, and automobile industry as minor type of industry. Also for supporting industry, education service, health and welfare, research and development services that are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ies in Chungcheongbuk-do region, must be formated the network among corporations and constructed regional innovation system linked with educational institutions, precision chemistry industry and biology technology as major type of industry, and precision machinery and tools industry as minor type of industry.

  • PDF

Roles of Regional Innovation Agencies and their Performance in Dortmund, Germany (지역혁신 지원기관의 역할과 성과: 독일 도르트문트시를 사례로)

  • Shin, Dong-H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1 no.4
    • /
    • pp.409-424
    • /
    • 2018
  • Since the 1950s, many of the traditional industrial cities of advanced economies in Europe and North America were affected by a series of de-industrialization. The de-industrialization process, characterized by company shut-downs and massive lay-offs, has resulted in high unemployment rates and massive redundancies in physical infrastructure. Since the 1980s, many of the old industrial cities have attempted to overcome such problems.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not many of the cities are found to be successful. The City of Dortmund, one of the core cities of the large German industrial conurbation of the past, the Ruhr, is found to be an exceptional case demonstrating a clear success in overcoming deindustrialization problems. The City in fact strategically pursued transforming backbone of its economy from steel-making, coal-mining and beer-brewery to high-technology and future-oriented industries, based on microsystems, biomedical, electronic logistics and information technology. This paper attempts to analyse the processes and outcomes of transforming Dortmund beginning from the 1980s to articulate the roles of the agencies contributing to the success.

Interaction between Innovation Actors in Innovation Cluster: A Case of Daedeok Innopolis (혁신클러스터 내에서의 혁신주체들 간 상호작용의 변화: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 Lee, Sunje;Chung, Sunyang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7 no.4
    • /
    • pp.820-844
    • /
    • 2014
  • Various innovation theories, such as innovation system, innovation cluster, triple helix model, are different in their focus. However they all emphasize the interaction between innovation actors in order to generate, diffuse, and appropriate technological innovations successfully. This study analyzes how the interaction of innovation actors in Daedeok Innopolis has been changed since the introduction of innovation cluster policy like the designation of Daedeok Innopolis. Based on the analysis of survey data, Innopolis statistics, and patent joint-application data, we come to the conclusions that the Daedeok Innopolis has characteristics of multi-level governance structure, in which innovation cluster, i.e. Daedeok Innopolis, regional innovation system, and national innovation system directly overlap under the framework of innovation system. In addi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triple helix model, we are able to verify that the inter-domain interactions between innovation actors, such as tri-lateral network, have been constantly increased in the Daedeok Innopolis. Based on our analysis, we identify some policy suggestions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Daedeok Innopolis as well as other innovation clusters in Korea. First, the network activities between innovation actors within innovation cluster should be strengthened based on the geographical accessibility. Second, private intermediate organizations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ir roles should be extended. Third, the entrepreneurial activities of universities within innovation cluster should be strengthened. In other words, the roles of universities within the Innopolis should be activated. Finally,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relevant policy supports to activate the interactions between innovation actors within innovation cluster.

Boosting Enterprise-Support Services for Regional Industrial Development in Korea (우리나라 기업지원서비스의 유형과 활성화 방안)

  • Jeong, Jun-Ho;Kim, Sun-Bae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7 no.5
    • /
    • pp.465-479
    • /
    • 2002
  • This paper seeks to Produce a typology of enterprise-support services. Drawing upon this typology, this study will attempt to identify the status quo of the government enterprise-support services system and also examine the demand for and supply of these services according to regional differences and industrial characteristics (old versus new). Based on results of the survey taken in the Seoul software industry cluster especially around the Seocho, Gangnam-Gu, the Daejeon ICT industry cluster and the Gumi electronics industry cluster, it can be said that the demand for and supply of enterprise-support services are differentiated by the nature of an industry, the characteristics of a region and the growth stage of a firm. Finally, some policy suggestions will be addressed.

Effective analysis of Regional Industry Development Project (글로벌 경제체제 하에서의 지역 R&D 효율화 방안)

  • Bae, Jeong-Hwan;Lee, Jae-Ky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4
    • /
    • pp.292-297
    • /
    • 2010
  • The Economic region, the strategy for regional development, is a global trend and has become the blue ocean. Korea has also moved forward with the concept of economic region as the strategy for regional development. So,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strategies to improve the regional R&D competitive power and making regional R&D support system. As a goal of regional innovation and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the business adds new jobs and new products, resulting in growth of the community.

Research on the Transition Process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System Support Project (대학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 사업의 변천과정 연구)

  • Bog Im Jeong;Tae Hui Kim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10 no.2
    • /
    • pp.273-278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imitations of university operating system changes as a result of the policy changes and outcomes of the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system support project by project period, and based on this, to propose a development plan to support the university's adult learning system. In this study, we sought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higher education environment and changes in lifelong education in universities through analysis of literature and various data. The changing tim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hanges in knowledge require continuous learning even after school education, and the need for re-education and improved education is increasing. Therefore,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National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have been actively carrying out support projects for lifelong learning-centered universities since 2008 to provide adult learners with opportunities to study. This project is centered around universities and the local community, and is promoting various types of changes in educational operation, such as reforming the university's academic system to be adult-friendly and operating night or weekend classes in order to provide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adult learners. Now, universities must play a role as a hub of regional lifelong education for the coexistence of the region and university, and as a key institution responsible for the contemporary task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oexistence between the university and the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