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중심성

Search Result 4,56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Generalized Measure for Local Centralities in Weighted Networks (가중 네트워크를 위한 일반화된 지역중심성 지수)

  • Lee, Jae 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2 no.2
    • /
    • pp.7-23
    • /
    • 2015
  • While there are several measures for node centralities, such as betweenness and degree, few centrality measures for local centralities in weighted networks have been suggested. This study developed a generalized centrality measure for calculating local centralities in weighted networks. Neighbor centrality, which was suggested in this study, is the generalization of the degree centrality for binary networks and the nearest neighbor centrality for weighted networks with the parameter ${\alpha}$. The characteristics of suggested measure and the proper value of parameter ${\alpha}$ are investigated with 6 real network datasets and the results are reported.

Accessibility to the Central City and the Development of Backward Regions : Towards a New Spatial Strategy (중심도시 접근성과 낙후지역 발전방안 : 새로운 공간전략의 모색)

  • Lee, Won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9 no.3
    • /
    • pp.436-445
    • /
    • 2013
  • This study, by focusing on the concept of accessibility to the central city, analyses its importance for understanding baward regions and aims to investigate a new spatial strategy for developing backward regions in Korea. The study investigates the EU accessibility case study and formulates the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the analysis, which is applied to the case of Jeonnam-do and Gyeongbuk-do in order to evaluate the backwardness of the regions in terms of the accessibility to the central city. Finally, this paper discusses a new spatial strategy for developing backward regions based on the concept of the accessibility to the central city, which includes the creative expansion of rural public services and promoting efficient delivery system, improving public and private service provision through the accessibility to the central city and securing long-term development potential through investing in regional human capital.

  • PDF

연안여객의 대중교통화를 위한 항로 네트워크 분석 연구

  • Jeong, Wan-Hui;Kim, S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164-166
    • /
    • 2014
  • 주5일제 시행과 여가 활동으로서 여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서 연안여객의 활용도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국내 연안여객 이용의 실태는 항로 부족, 항구의 노후화 등 개선해야할 과제가 많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연안여객의 대중교통화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논문은 현재 연안여객의 항로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대중교통화로 나아갈 수 있는 현재의 실태를 확인했다. 사용된 네트워크 분석지수는 지역중심성(degree centrality), 연결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이다. 두 가지 지수에 따라 대중교통화에 기여하고 있는 항구의 순위를 확인했다. 분석결과가 연안여객의 대중교통화에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Awareness of Patient-Centeredness and Transitional Care Services for Older Patients Among Primary Care Physicians in Korea (일차진료 의사들의 환자중심성 및 노인환자 대상 전환기 돌봄서비스 인식)

  • Dronina, Yuliya;Kim, Su Kyoung;Jo, Heui Sug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47 no.3
    • /
    • pp.143-153
    • /
    • 2022
  • 목적: 병원에서 재가 및 시설로 퇴원한 환자가 지역사회에서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환기 돌봄서비스(Transitional care services)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 내 의료서비스와 자원을 연계하는 주치의의 역할이 중요시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일차진료 의사들의 환자중심성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환자중심 기반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정책을 제시하였다. 또한 Transitional Care Service에 대한 일차진료 의사들의 인식을 확인하고 인구사회학적 요인과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서비스 우선순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전국의 가정의학과, 내과, 신경과 등 노인 질환과 관련 있는 과의 전문의 자격증이 있으며 자발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에 참여할 의사를 표현한 일차진료 의사 259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환자중심성 및 전환기 돌봄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개발하였으며, 조사전문업체를 통해 2019년 10월 28일부터 2019년 11월 22일까지 온라인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 대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차진료 의사들을 대상으로 9가지 전환기 돌봄서비스 인식에 대해 살펴본 결과 "입원 시 진단, 건강상태, 치료계획 및 결과 에 대한 설명(4.4)"과 "퇴원 후 자가 건강관리를 위한 정보 및 훈련 (4.2)"에 대한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35세 이상 일차진료 의사가 34세 이하 일차진료 의사보다 전환기 돌봄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F=7.3, p<0.01). 또한, 환자중심성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서울 외 지역에서 근무할수록 전환기 돌봄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일차의료를 제공하는 의료진들을 위한 교육프로그램과 지역사회에서 일차의료 의사들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 연계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Proposed Application Design for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Services Access in Community Care System: Occupation and Activity Based (커뮤니티케어 제도 내 지역사회중심재활 서비스 접근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디자인의 제안 : 작업과 활동 중심으로)

  • Bae, Seong-Hwan;Jang, Yeon-Sig;Baek, Ji-Young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5 no.4
    • /
    • pp.325-335
    • /
    • 2021
  • Chronic diseases have been increasing recently as the average life expectancy of humans has been extended, and this trend has caused problems such as the widespread demand for health and rehabilitation services and rising medical cost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has been developed and strengthened in Korea and gradually promoted since 2019. It is important to secure access to clients who want to use services to revitalize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So in this study, as part of the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intends to devise smartphone applications designs and develop a prototype to secure access to commun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based on occupation and activities. For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OTPF),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and Allen Diagnostic Module-2 (ADM-2) were used to devise and categorize occupation and activity based application content, and link OTPF, ICF, and ADM-2 through prior research analysis and expert meetings. The derived content was visuali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activity analysis, and was implemented to enable direct playback within the application using the YouTube API, and finally developed a prototype application. The Android Studio 3.5.2 for Windows 64-bit was used to build the application prototype. In further research, converging various digital technologies for user convenience and additionally researching commun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service providers opinions and service user satisfaction will improve accessibility to commun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for clients who have difficulty occupational performance in the community.

A Study for the Change of City Network in China through the Analysis of Railway Network (철도망 분석을 통한 중굴 도시 네트워크의 변화)

  • Nan, Ying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8 no.4
    • /
    • pp.591-609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hibit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city network in China through the analyses railway structures and movement of passengers and goods in China. On the basis of accessibility analysis., central China area shows the highest level of accessibility, and it declines toward periphery areas. The center of City network was transfered from the central area to the east. Three main lines from north to south and the central status of main cities remain unchanged. The city network stratum structure of China can be divided into three levels. The first level is in a pattern of linear distribution within provices along main lines. The second level, shows a pattern of strengthened linear distribution and crossed influencial regions. The third level includes 5 areas.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in Ulsan (울산광역시 교통사고 유형별 공간적 분포 특성 분석)

  • Kim, Mi-Song;Goo, Sin-Hoi;Pyo, Ky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261-262
    • /
    • 2016
  • 교통사고의 발생요인에는 다양한 원인들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으로 접근하여 사고유형별 분포특성을 도출하기 위해 공간적 자기상관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논문에서는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울산광역시에서 발생된 교통사고를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울산시 전체 교통사고 약 53%는 안전운전불이행이며 다음으로는 안전거리미확보, 신호위반 순으로 나타났다. 밀도분석 결과는 사고유형별로 분포가 차이가 있었으며 안전운전불이행의 경우 가장 큰 군집은 중심시가지인 달동과 삼산동 중심에 나타났으며 중앙선침범은 도시의 중심부 보다는 면지역에 넓게 퍼져서 발생되었으며 산업단지가 있는 동구지역에 군집이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읍면동별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Moran's I분석과 LISA분석을 수행한 결과 안전운전불이행, 안전거리미확보, 신호위반, 교차로운행방해 모두 중심시가지인 신정동, 달동, 삼산동이 공간적 자기상관성이 높았으며 중앙선침범의 경우 밀도분석 결과와 마찬가지로 중심시가지 이외에 읍면 지역도 자기상관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사고유형별 공간의존성 및 이질성을 파악하여 교통사고 다발지역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지역특성에 맞는 저감 대책 마련에 활용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Localization and Efficiency in Chinese Advertising Industry (중국 광고산업의 지역화와 효율성 분석)

  • Kim, Sang-Wook;Jung, Sang-Chul
    • Review of Culture and Economy
    • /
    • v.19 no.2
    • /
    • pp.171-193
    • /
    • 2016
  • China's advertising industry has rapidly increased owing to economic growth and big market size. This paper covers the localization and relative efficiency in the Chinese advertising industry. To analyze localization level and efficiency of advertising industry, this paper uses Location Quotient(LQ) and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first finding shows that the higher regional development level have the relative efficiencies, the higher regional development level also have regional specialization degree. The second finding indicates that Chinese advertising industries are multipolalized region by region. The last finding reveals that advertising industry of middle and west regions has long term development potentiality owing to high specialization degree with low relative efficiencies.

Vegetation Structural Restoration Model for Naturalness of Robinia pseudo-acacia Forest in the Case of Korean National Capital Region (수도권 지역 아까시나무림의 식생구조의 자연성 복원 모델)

  • 강현경;방광장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5 no.2
    • /
    • pp.159-172
    • /
    • 2001
  •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의 아까시나무림을 중심으로 식물군집의 식생구조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도시녹지의 자연성 복원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지역은 서울도심지역으로 중구 남산과 서대문구 안산, 서울외곽지역으로 은평구 봉산과 부천시, 성주산, 비도시지역으로 경기도 천마산을 선정하였다. 주요 연구분야는 생태적 특성과 복원모델로 구분하였가. 생태적 특성평가는 천이단계, 자연성 및 다층적 식생구조와 종다양성을 실시하였으며, 복원모델은 적정수종, 개체수, 흉고단면적, 수목간 최단거리를 선정하였다. 조사결과, 복원모델은 비도시지역 중 자연성이 높으며 다층구조를 이루고 있는 자생식물군집을 선정하였으며 적정식물은 교목성장 3종, 아교목성정 7종, 관목성장 16종, 주연부 수종 4종 초본식물 27종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향후, 아끼시나무림읜 자연성 복원을 위해서 자연림인 참나무류로의 천이를 유도할 수 있도록 자생종 중심의 생태적 복원방안의 모색이 이루어져할 것이다.

  • PDF

지역건축탐방(12) - 진주ㆍ마산ㆍ창원

  • Go, Seong-Ryong
    • Korean Architects
    • /
    • no.6 s.362
    • /
    • pp.77-109
    • /
    • 1999
  • 경남지역 역사이래 구한말까지 지역중심도시였으나 근대화의 길에서 빗겨나간 1천년 역사도시 진주, 개화기부터 제3공화국까지 경남의 산업도시로서 지역발전에 중심역할을 다하고 있는 산업도시 마산, 그리고 정치적 결단으로 재빠르게 건설된 계획도시이며 경남도청소재지인 행정도시 창원. 각 도시가 살아온 배경이 너무나 다른 세 도시를 하나의 권역으로 묶어 논하기는 정말 어렵지만 경남 남부지역의 거점도시들로서 각 도시들이 띠고 있는 지역적 특성과 건축의 모습, 그리고 각 도시에서 지역적 특성들을 만들어내고 있는 지역건축가들을 개관한다. 아울러 경남 남부지역건축의 지역성은 가능한가에 대해 토론하며 지역의 정체성을 찾아보아 진주 ㆍ마산ㆍ창원으로 대표되는 경남남부 지역의 도시건축의 미래와 발전방향을 가름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