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oposed Application Design for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Services Access in Community Care System: Occupation and Activity Based

커뮤니티케어 제도 내 지역사회중심재활 서비스 접근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디자인의 제안 : 작업과 활동 중심으로

  • Bae, Seong-Hwan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shin University) ;
  • Jang, Yeon-Sig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Chunnam Techno University) ;
  • Baek, Ji-Young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shin University)
  • 배성환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장연식 (전남 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 백지영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Received : 2021.05.21
  • Accepted : 2021.06.25
  • Published : 2021.06.30

Abstract

Chronic diseases have been increasing recently as the average life expectancy of humans has been extended, and this trend has caused problems such as the widespread demand for health and rehabilitation services and rising medical cost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has been developed and strengthened in Korea and gradually promoted since 2019. It is important to secure access to clients who want to use services to revitalize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So in this study, as part of the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intends to devise smartphone applications designs and develop a prototype to secure access to commun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based on occupation and activities. For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OTPF),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and Allen Diagnostic Module-2 (ADM-2) were used to devise and categorize occupation and activity based application content, and link OTPF, ICF, and ADM-2 through prior research analysis and expert meetings. The derived content was visuali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activity analysis, and was implemented to enable direct playback within the application using the YouTube API, and finally developed a prototype application. The Android Studio 3.5.2 for Windows 64-bit was used to build the application prototype. In further research, converging various digital technologies for user convenience and additionally researching commun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service providers opinions and service user satisfaction will improve accessibility to commun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for clients who have difficulty occupational performance in the community.

최근 인간의 평균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만성 질환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보건 및 재활 서비스의 광범위한 수요와 의료비 등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에서는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을 발전 및 강화하여 2019년부터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클라이언트의 접근성 확보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의 일환으로써 작업과 활동 중심의 지역사회중심 작업치료 서비스 접근성 확보를 위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디자인을 고안하고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자 한다. 작업과 활동 중심의 애플리케이션 콘텐츠를 고안하고 범주화를 위해 작업치료 실행체계(OTPF), 국제 기능·장애·건강 분류(ICF)와 알렌진단모듈(ADM-2)이 사용되었으며, 선행연구 분석 및 전문가 회의를 통해 OTPF, ICF와 ADM-2를 링킹하였다. 도출된 콘텐츠는 문헌고찰과 활동분석을 통해 영상으로 제작하였으며, YouTube API를 활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직접 재생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였고, 최종적으로 애플리케이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애플리케이션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Android Studio 3.5.2 for Windows 64-bit를 사용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융합하고 지역사회중심 작업치료 서비스 제공자의 의견과 서비스 이용자의 만족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실용성에 대해 입증하고 이를 보완한다면, 지역사회 내 작업수행에 어려움을 겪는 클라이언트들의 지역사회중심 작업치료 서비스 접근성을 향상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재활원(2010). 지역사회 중심 재활서비스 모형(안) 개발.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2. 국립재활원(2011). 장애인의 사회복귀 촉진을 위한 ICF기반 재활서비스 프로그램 운영 및 평가.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3. 이춘엽, 박영주, 박강현, 지석연, 김희정(2018). 커뮤니티 케어 제도 내 생활기능 향상 중심의 작업치료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8(3): 1-12. https://doi.org/10.18598/kcbot.2018.8.3.01
  4.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 한국건강증진개발원(2020). 2020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안내.
  5. 통계청(2019). 2019 스마트폰 이용 여부, 지출 비용 및 만족도.
  6. 통계청(2019). 스마트폰 보유현황 및 이용용도.
  7. 허명, 백윤웅, 최원석, 권민지, 김문주, 이은지, 이제성(2016). 뇌손상 후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개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0(4): 321-326.
  8. 송요한, 정채원, 이현민(2017). 뇌졸중 환자 및 보호자를 위한 일상생활 가이드라인 애플리케이션 개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5): 245-252.
  9. 임형준, 송제영, 조윤경, 김연준, 김현정, 강윤주(2013). 국내 뇌졸중 재활 분야에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적용 및 이용 현황. Brain & NeuroRehabilitation, 6(1): 33-40. https://doi.org/10.12786/bn.2013.6.1.33
  10. 정봉근, 이성아, 민세동(2014). ICF를 활용한 효과적인 장애인 재활보조기기 신청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5(1): 377-385.
  11. Nelson, D.L.(1994). Occupational form,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therapeutic occupation. AOTA self study series: The practice of the future: Putting occupation back into therapy, Lesson, 2.
  12. 배성환, 장연식, 김희동, 백지영(2020). OTPF와 국제 기능.장애.건강 분류 간의 연관성: 라이프케어 중심의 활동과 참여 관점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7): 623-632.
  13. 양영애(2020). 작업치료학개론(3판). 에듀팩토리
  14. Allen, C. K., & Reyner, A.(1997). How to start using the Allen Diagnostic Module.
  15. 보건복지부(2016). 국제 기능.장애.건강 분류(한글번역본 2차 개정판).
  16. Earhart, C. A.(2011). Allen Diagnostic Module.
  17. 박헌주(2015). 작업치료와 ICF의 개념 및 가치 비교분석연구. 우송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Haglund, L., & Henriksson, C.(2003). Concepts in occupational therapy in relation to the ICF.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10(4): 253-268. https://doi.org/10.1002/oti.189
  19. 송요한, 정채원, 이현민(2017). 뇌졸중 환자 및 보호자를 위한 일상생활 가이드라인 애플리케이션 개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5): 245-252.
  20. 장연식(2020). 노인의 사회참여를 위한 사회 지각활동 과제 개발. 동신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Earhart, C. A, Allen Diagnostic Module-2nd Edition. Colchester, CT: S&S Worldwide, 2006.
  22.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14).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3rd Editio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8(1): S1-S48.
  23. 의료관계법규교재편찬위원회(2020). 2020 작업치료사 의료관계법규. 에듀팩토리.